당나라 때 현장(玄奘) 스님부터 의정(義淨) 스님에 이르기까지 약 50년 동안 인도로 구법 여행을 떠난 스님들의 전기이다. 줄여서 『구법고승전(求法高僧傳)』·『대당법고승전(大唐法高僧傳)』·『서역구법고승전(西域求法高僧傳)』이라 한다.
중국 당(唐)나라 때 의정(義淨)이 700년에서 711년 사이에 한역하였다.
총 2권으로 구성된 이 경은 당 나라 때 현장(玄奘) 스님부터 의정(義淨) 스님에 이르기까지 약 50년 동안 인도로 구법 여행을 떠난 스님들의 전기이다. 대략 60인에 이르는 스님들의 행로와 주변 정황을 비교적 상세히 기록하며, 특히 혜륜(慧輪) 스님을 비롯한 신라 출신 스님 8인을 포함하는 점이 주목을 끈다. 이 전기는 의정이 저술한 『남해기귀내법전(南海寄歸內法傳)』과 함께 스님들의 구법 행로와 더불어 당시 인도와 불교의 상황을 알 수 있는 사료적 가치가 높은 문헌이다.
【인용】불교학술원 아카이브
구성
1) 태주(太州)의 현조법사(玄照法師)
2) 제주(齊州)의 도희(道希)법사
3) 제주의 사편(師鞭)법사
4) 신라(新羅)의
아리야발마(阿離耶跋摩)법사
8) 신라의 두[二] 법사
9) 도화라(都貨羅)의 불타발마사(佛陀跋摩師)
10) 병주(幷州)의 도방(道方)법사
11) 병주의 도생(道生)법사
12) 병주의 상민선사(常愍禪師)
13) 상민(常愍)의 제자 한 사람
14) 경사(京師)의 말저승하사(末底僧揀師)
15) 경사의 현회(玄會)법사
16) 질다발마사(質多跋摩師)
17) 토번공주(吐蕃公主)의 유모(乳母) 아들 두 사람
18) 융법사(隆法師)
19) 익주(益州)의 명원(明遠)법사
20) 익주의 의랑율사(義朗律師)와 그 아우
21) 익주의 지안(智岸)법사
22) 익주의 회녕(會寧)율사
23) 교주(交州)의 운기(運期)법사
24) 교주의 목차제바사(木叉提婆師)
25) 교주의 규충(窺沖)법사
26) 교주의 혜염(慧琰)법사
27) 신주(信冑)법사
28) 애주(愛州)의 지행(智行)법사
29) 애주의 대승등(大乘燈)선사
30) 강국(康國)의 승가발마사(僧加跋摩師)
31) 고창(高昌)의 피안(彼岸)과 지안(智岸) 두 법사
32) 낙양(洛陽)의 담윤(曇潤)법사
33) 낙양의 의휘논사(義輝論師)
34) 대당(大唐) 승려 세 사람
36) 형주(荊州)의 도림(道琳)법사
37) 형주의 담광(曇光)법사
38) 또 한 사람의 대당(大唐) 승려
39) 형주(荊州)의 혜명(慧命)선사
40) 윤주(潤州)의 현규(玄逵)율사
41) 진주(晋州)의 선행(善行)법사
42) 양주(襄州)의 영운(靈運)법사
43) 예주(澧州)의 승철(僧哲)선사와 그 제자
44) 낙양(洛陽)의 지홍(智弘)율사
45) 형주(荊州)의 무행(無行)선사
46) 형주(荊州)의 법진(法振)선사
47) 형주의 승오(乘悟)선사
48) 양주(梁州)의 승여(乘如)율사
49) 예주(澧州)의 대진(大津)법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