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S 여러분! 반갑습니다.    [로그인]
키워드 :
제주시
자 료 실
마을 소식
지식지도
원문/전문
시민 참여 콘텐츠
관련 동영상
참여 시민
(A) 상세카탈로그
예술작품
여행∙행사
안전∙건강
인물 동향
(C) 제주시의 마을

일도동
이도동
삼도동
용담동
건입동
화북동
삼양동
봉개동
아라동
오라동
연동
노형동
외도동
이호동
도두동
about 제주시


내서재
추천 : 0
대한민국 문화재청(文化財廳) 제주시(濟州市) 국립 해양 문화재 연구소(國立海洋文化財硏究所) 국립제주박물관(國立濟州博物館) 남송(南宋) # 수중발굴 # 수중유적 # 수중탐사
최근 3개월 조회수 : 3 (5 등급)
【문화】
(게재일: 2019.09.30. (최종: 2019.10.09. 15:41)) 
◈ (국영문 동시 배포)제주 신창리 바다에서 중국 남송대 인장(印章)‧인장함 발견
문화재청 국립해양문화재연구소(소장 이귀영)는 올해 4월부터 6월까지 국립제주박물관(관장 김유식)과 공동으로 제주시 한경면 신창리 인근해역을 조사한 결과, 국내 최초로 중국 남송(南宋, 1127~1279)대 인장 두 과(顆)와 인장함이 일습(一襲)으로 발굴되었다.【수중발굴과】
- 국립해양문화재연구소‧국립제주박물관 공동조사 / 9.30. 오전 11시 제주도청에서 공개 -
 
문화재청 국립해양문화재연구소(소장 이귀영)는 올해 4월부터 6월까지 국립제주박물관(관장 김유식)과 공동으로 제주시 한경면 신창리 인근해역을 조사한 결과, 국내 최초로 중국 남송(南宋, 1127~1279)대 인장 두 과(顆)와 인장함이 일습(一襲)으로 발굴되었다.
 
두 과의 인장과 인장함은 해저에 있는 바위 사이 모래를 제거하는 과정에서 발견되었다. 인장들은 선박에 타고 있던 상인이 사용한 것으로 추정되는데 두 과 모두 재질은 목재이다.
 
이 중 한 과(인장1, 1.7cm×1.7cm, 높이 2.3cm)는 정사각형 인신(印身, 도장 몸체) 위에 단순한 형태의 인뉴(印鈕, 손잡이)가 있다.
인면(印面)에는 ‘謹封(근봉)’이란 글자가 새겨져 있다. 근봉은 ‘삼가 봉한다’는 의미로 서신을 발송할 때 봉투에 찍거나, 물건을 포장하고 그 위에 찍는 용도일 것으로 추정된다. 인면에 새겨진 글자 획 사이에는 붉은색 인주까지 일부 남아있는 상태였다. 우리나라 인장 중에서도 ‘근봉’이 있으나 조선 시대 것들이다.
 
다른 한 과의 인장(인장2, 1.4cm×2.8cm, 높이 2.2cm)은 인면에 문양이 새겨져 있다. 중국 학계의 분류에 따르면 길상무늬를 새긴 초형인(肖形印)에 해당된다.
문양은 크게 위아래로 구분되는데 상부는 동전 모양으로 추정되나 명확하지 않으며, 하부는 불분명하다.
*초형인(肖形印): 인면에 길상(吉祥)의 그림이 새겨진 인장
 
인장함은 조각으로 발견되어 원래 형태를 완전히 알 수는 없지만, 사각형 몸체에 뚜껑이 있었을 것으로 추정되며 성분은 납과 주석이다.
 
제주 신창리 수중유적은 1983년 3월 해녀가 조업 중 발견한 금제장신구를 신고하면서 처음 알려졌다. 그해 4월, 당시 문화재관리국에서 수중조사를 진행하여 추가로 금제장신구 2점을 발견하였다. 1997년 제주대학교박물관에서 이 해역을 추가 조사하면서 중국 남송 시대 도자기(청자)를 확인하였다. 이들은 푸젠성(福建省)에서 제작된 것도 있지만, 대부분 ‘저장성(浙江省) 룽취안요(龍泉窯)’에서 제작된 청자들이었다. 국립해양문화재연구소는 지난해 9월 수중탐사로 ‘금옥만당(金玉滿堂)’, ‘하빈유범(河濱遺範)’ 명문이 찍힌 청자를 포함한 500여 점의 중국 남송대 청자(조각)를 추가로 수습하기도 하였다.
*수중탐사 : 수중의 현상 변경없이 해저면의 상태를 조사하는 방법으로 육상의 지표조사와 같음
 
이번 수중발굴조사는 지난해 9월 국립해양문화재연구소가 진행한 수중탐사 이후정밀조사의 필요성이 제기되어 이루어졌다. 기존 조사가 해저에 흩어져 있던 유물을 수습하는 과정이었다면, 이번 조사는 해저에 쌓인 모래를 제거하면서 해저상의 유물양상을 수중고고학적 조사방법으로 처음 확인하였다는데 의의가 있다.
 
발굴조사 결과, 좁은 범위(10m×30m)에서 인장, 인장함뿐 아니라 400여 점의 도자기 조각들도 집중적으로 발견되었다. 신창리 수중유적에서 발견된 다량의 남송 시대 도자기는 당시 중국, 한국, 일본 간의 해상교류를 보여주는 대표적인 증거들이다. 일본 가고시마(鹿兒島) 아마미오섬(奄美大島) 쿠라키자키(倉木崎) 수중유적에서도 같은 양식의 도자기들이 확인되었다. 인장의 경우 선박에 타고 있던 상인이 사용한 것으로 추정됨에 따라 특히 해양교류 등 관련 연구에도 새로운 활력을 불어넣을 것으로 기대된다.
 
국립해양문화재연구소는 제주 신창리 해저 발굴결과를 기존 조사유물을 소장하고 있는 국립제주박물관과 공동으로 발굴보고서를 작성하고 공유할 계획이다. 또한, 신창리 해역을 추가 조사하는 한편, 양 기관이 협력하여 제주도 전 해역에 대한 수중문화재를 체계적으로 조사하여 제주도가 과거 국제교류 상에서 어떠한 위치를 차지하고 있는지 적극적으로 밝힐 것이다.
 
Two Seals and A Seal Case Made in the Southern Song Dynasty of China Discovered in the Coastal Waters off Sinchang-ri, Jeju
- An Excavation Team Formed Jointly by the National Research Institute of Maritime Cultural Heritage and the Jeju National Museum/ The Artifacts will be released at 11.00 AM in Jeju Special Self-Government Provincial Office -
Contact: Senior Researcher Yang, Soon Seok (Tel: 061-270-2063), Researcher Heo, Mun Nyeong (061-270-2073)
Underwater Excavation Division, The National Research Institute of Maritime Cultural Heritage
 
A seal case contained with two seals was recovered from the coastal waters of Sinchang-ri, Hangyeng-myeon, Jeju, by a joint excavation team composed of researchers from the National Research Institute of Maritime Cultural Heritage (Director Lee, Gwiyoung) and the Jeju National Museum (Director Kim, Yoo Sik), which conducted the underwater excavation of the site from April to June, 2019. These items are the first seals from the Southern Song Dynasty of China (1127-1279) ever discovered in Korea.
 
Seals made of wood were discovered in the process of removing the sands between rocks on the seabed. It is assumed that the seals were possessions of the merchant on board the ship.
 
Seal No. 1, which measures 1.7 cm in length, 1.7 cm in width, and 2.3 cm in height, has a knob on the top of its body. Judging from the engraved Chinese characters, 謹封 (geunbong), meaning 'respectfully sealed', this seal was used for stamping on envelopes or packages. Red seal pastes were remained between strokes. All Korean seals inscribed with the Chinese characters, 謹封, to have been found in Korea to date were the products of the Joseon Period.
 
Seal No. 2. which measures 2.8 cm in length, 1.4 cm in width, and 2.2 cm in height, is a portrait seal (肖形印) that is inscribed with auspicious signs. Its pattern can be divided into two parts, the upper and the lower. It is assumed that its upper part is a coin-shaped pattern; but the pattern engraved in its lower part is unclear.
 
The original shape of a seal case made of the alloy consisting of lead and thin is unclear, because it is too fragmented.
 
The Sinchang-ri Underwater site became known in March, 1983, as a female diver reported a gold ornament collected in the region to the government office. In April 1983, the excavation team of the Bureau of Cultural Heritage that conducted the underwater excavation in the region collected two gold ornaments. The underwater excavation campaign of this coastal waters carried out by the Jeju National University Museum in 1997 revealed celadon vessels of the Southern Song Dynasty. Most of them were products fired in Longquan kilns (龍泉窯) in Zhejiang Province; and a few celadon vessels produced at kilns in Fujian Province were also collected. An underwater archaeological survey team of the National Research Institute of Maritime Cultural Heritage collected more than 500 pieces of the broken Chinese celadon vessels in the Southern Song Dynasty, which include items engraved with the Chinese characters ‘金玉滿堂 (geumokmandang)’, '河濱遺範 (habinyubeom)’ in September, 2018.
 
The necessity of a series of the detailed excavations of the site was raised after completing the underwater survey carried out by the institute in October last year; and this year's underwater excavation campaign was planned conducted as part of them. Whereas researchers collected artifacts scattered on the seabed in the previous surveys, they identified the distribution pattern of the artifacts by removing sands deposited on the seabed in this year's excavation.
 
Along with two seals and a seal case, the excavation revealed more than 400 pieces of broken celadon vessels distributed in a narrow area measuring 30 m in length and 10 m in width. In considering that celadon vessels of the Southern Song Dynasty showing the common typological characteristics with those in the site have been found at the Kurakijaki Underwater Site (倉木崎海底遺跡), Amami Islands (奄美群島), Kagoshima Prefecture, (鹿児島県), Japan, these artifacts suggest the active maritime exchange between Korea, China and Japan in those days. Notably, the seals assumed to be the possessions of the merchant on board the ship provide new impetus of the studies on various aspects of the maritime exchanges of the pre-modern Northeast Asia.
 
Together with the Jeju National Museum that collects the artifacts recovered from the previous surveys, the institute plans to publish the excavation report of the site. In addition to the joint excavation campaigns of the coastal waters at Sinchang-ri, the joint investigation team composed of the staffs from both institutes has a plan to reveal the maritime trade routes centered at Jeju Island by conducting the systematic underwater investigation on the seas around the island.
 
 
 
첨부 :
0930 제주 신창리 바다에서 중국 남송대 인장(印章) 인장함 발견(본문).hwp
0930 제주 신창리 바다에서 중국 남송대 인장(印章) 인장함 발견(붙임).pdf
0930 Two Seals and A Seal Case Made in the Southern Song Dynasty of China Discovered in the Coastal Waters off Sinc.docx
 

 
※ 원문보기
▣ 커뮤니티 (참여∙의견)
내메모
페이스북 공유하기 트위터 공유하기
심화항목(D)
▣ 참조정보
백과 참조
제주도의 도청 소재지.
목록 참조
 
외부 참조
 
▣ 분류체계
(C) 제주도의 마을

제주시 (濟州市)
서귀포시 (西歸浦市)
북제주군 (北齊州郡)
남제주군 (南濟州郡)
©2021 General Libraries 최종 수정일: 2021년 1월 1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