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
|
|
|
|
|
경상남도농업기술원(원장 이상대)은 지속적 폭염에 따른 가축사양관리와 위생관리에 각별히 주의를 기울여 줄 것을 축산농가에 당부하며 현장기술지원에 나섰다.
|
|
|
|
|
|
|
|
|
|
|
|
여름철 폭염피해를 예방하기 위해서는 축사 내부에 온도가 올라가지 않도록 차광시설을 갖추고, 환기를 통해 온․습도 관리를 해주어야 한다.
|
|
|
|
|
|
|
|
|
|
|
|
소나 돼지의 경우 적정 사육밀도를 유지해 주고, 한 낮에는 축사 내 선풍기나 송풍기 등을 설치하여 가축(소나 돼지 등)의 체감온도를 낮추어 쾌적한 환경을 조성해 준다. 닭은 땀샘이 발달하지 않아 체온조절이 불가하여 고온에 취약하므로 쿨링패드와 터널식 환기를 동시에 실시하면 좋다.
|
|
|
|
|
|
|
|
|
|
|
|
영양분 보충을 위해서는 단백질, 비타민 및 광물질 함량이 높은 사료를 아침, 저녁으로 시원할 때 급여해야한다.
|
|
|
|
|
|
|
|
|
|
|
|
사료는 오래 보관하면 변질되기 쉬우므로 적은 양을 자주 구입하는 것이 좋다. 급수조를 청결히 하고, 시원한 물이 상시 공급되는지 점검하는 것도 중요하다.
|
|
|
|
|
|
|
|
|
|
|
|
또한 전력 사정이 좋이 못해 정전이 되면 축사 내 냉방, 환풍 시설 가동이 중단되어 내부의 온도가 올라가고, 유해가스가 높아져 자칫 대량 폐사의 원인이 될 수 있으니 각별한 주의가 필요하다.
|
|
|
|
|
|
|
|
|
|
|
|
가축 위생관리를 위해 밀집된 시설에서는 질병이 발생하기 쉬우므로 적정사육두수 유지하고, 농장안과 밖의 정기 소독을 실시해 가축 질병을 예방해야 한다.
|
|
|
|
|
|
|
|
|
|
|
|
손창환 경남농업기술원 기술보급과장은 “고온으로 인한 피해가 발생하지 않도록 축산농가의 가축사양관리와 철저한 위생관리를 부탁드린다.”며, “아울러 가축재해보험에 미리 가입해 화재 등에 대비하는 것도 중요하다.”고 말했다.
|
|
|
|
|
|
|
|
|
|
|
|
|
|
|
|
|
|
※ 원문보기
|
|
|
|
|
|
|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