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S 여러분! 반갑습니다.    [로그인]   
  
키워드 :
  메인화면 (다빈치!지식놀이터) :: Dav! 지식창고 > (참조)원문/전문  
(참조)원문/전문
자 료 실
(B) 지식구성
고전
우리나라의 고전
동양의 고전
서양의 고전
문학
우리나라 문학
동양 문학
서양 문학
역사 문서
우리나라의 역사 문서
세계의 역사 문서
동양의 역사 문서
서양의 역사문서
법령 문서
우리나라의 법령
해외각국의 법령
종교도서
불교
기독교/천주교
기타종교
기타도서
동화
전설/설화
전기/위인전/자서전
학습자료
보고서/논문
철학/인문
사회과학
자연과학
역사/지리
경영/경제/비즈니스
기타 자료
기타 자료
about (참조)원문/전문
지식자료관리(A)
지식구성관리(B)
지식분류관리(C)

Dav! 우리나라의 역사 문서

  

현대 (2000 ~ 현재)

2014. 7. 3   한·중 정상회담 공동성명   (서울) 박근혜 / 시진핑
박근혜 대통령은 2014년 7월 3일 오후 청와대에서 시진핑(習近平) 중국 국가주석과 정상회담을 하고 본문과 부속서로 구성된 '한·중 공동성명'을 채택했다.
2013. 6. 27.   한·중 미래비전 공동성명   (베이징) 박근혜 / 시진핑(習近平)
박근혜 대통령은 2013년 6월27일 중국 베이징 인민대회당에서 시진핑(習近平) 중국 공산당 총서기 겸 국가주석과 정상회담을 하고 양국 관계 발전과 한반도 비핵화 실현을 위한 '한·중 미래비전 공동성명'을 채택했다.
2013. 3. 28.   드레스덴 선언   (드레스덴, 독일) 박근혜
독일을 국빈방문중인 박근혜 대통령은 28일(현지시간) 통독의 상징도시인 드레스덴에서 평화통일 기반조성을 위한 대북 3대 제안을 발표했다.
2013.2.25   제 18 대 박 근혜 대통령 취임사
2013년 2월 25일 제18대 박근혜 대통령 취임식이 국회의사당에서 열렸다.
2008.2.25   제 17대 이 명박 대통령 취임사
제 17대 대통령으로 선출된 이명박 대통령의 취임식은 2008년 2월 25일 국회의사당 앞 광장에서 거행되었다.
2007.10.4   10.4 남북 공동선언문   (평양) 노 무현 / 김 정일
대한민국 노무현 대통령과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김정일 국방위원장 사이의 합의에 따라 노무현 대통령이 2007년 10월 2일부터 4일까지 평양을 방문했다.
2007.10.3 (목)   2007 남북정상회담 회의록   노 무현 / 김 정일
2007년 10월 2일부터 10월 4일까지 평양에서 대한민국 대통령 노무현과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국방위원장 김정일 간에 진행된 정상회담으로, 2000년 남북정상회담에 이어 두 번째 남북정상회담이다.
2006. 4. 24.   제18차 남북장관급회담 공동보도문
제18차 남북장관급회담이 2006년 4월 21일부터 24일까지 평양에서 진행되었다. 회담에서 쌍방은 6.15 남북공동선언 이후 이룩한 성과들을 평가하고, 남북관계를 우리민족끼리의 정신에 맞게 보다 높은 단계로 발전시키기 위해 적극 노력하기로 하고 다음과 같이 합의하였다.
2005.12.16   제17차 남북장관급회담 공동보도문
제17차 남북장관급회담이 2005년 12월 13일부터 16일까지 제주도에서 진행되었다. 쌍방은 6.15 남북공동선언 이행에서 새로운 전기가 마련된 올해의 남북관계 발전을 긍정적으로 평가하고 새해 2006년에는 남북관계를 보다 높은 단계로 진전시켜 나가야 한다는 공통된 인식과 의지로부터 다음과 같이 합의하였다.
2005.9.19,   9.19 공동성명   (베이징) 제4차 6자회담
2005.9.19, 2005.9.19, 제4차 6자회담 공동성명 (2005.9.19, 베이징)
2005.9.16   제16차 남북장관급회담 공동보도문
제16차 남북장관급회담이 2005년 9월 13일부터 16일까지 평양에서 진행되었다. 회담에서 쌍방은 6.15 평양 민족통일대축전과 8.15 서울 민족대축전이 당국 대표단의 참가하에 성과적으로 진행된데 대하여 평가하면서 그 토대위에서 남북관계를 우리민족끼리의 정신에 맞게 발전시키기 위한 새로운 실천적 방안들에 대해 협의하고 다음과 같이 합의하였다.
2005. 7. 12   남북 경제협력추진위원회 제10차 회의 합의문   - 서울
남북 경제협력추진위원회 제10차 회의 합의문
2005.6.23   제15차 남북장관급회담 공동보도문
제15차 남북장관급회담이 2005년 6월 21일부터 24일까지 서울에서 진행되었다. 회담에서 쌍방은 6.15 남북공동선언 발표 이후 5년 동안 남북사이에 이룩된 성과를 평가하고, 공동선언의 기본정신인 우리민족끼리의 정신에 따라 한반도의 평화와 번영을 도모하기로 하고 다음과 같이 합의하였다.
2004. 9. 22.   한·러 공동선언
대한민국 노무현 대통령은 러시아연방 블라디미르 푸틴 대통령의 초청으로 2004년 9월 20일부터 23일까지 러시아연방을 공식 방문하였다. 양 정상은 따듯한 분위기 속에 이루어진 정상회담을 통해 양국관계 및 주요 국제사안 전반에 관해 건설적인 의견을 교환하였다.
2004. 6. 5   남북경제협력추진위원회 제9차 회의 합의문
2004. 5. 7.   제14차 남북장관급회담 공동보도문
2004.2.6   제13차 남북장관급회담 공동보도문
제13차 남북장관급회담이 2004년 2월 3일부터 6일까지 서울에서 진행되었다. 회담에서 쌍방은 6.15 남북공동선언의 기본정신에 따라 민족의 번영과 남북관계의 실질적 진전을 위한 제반 문제들을 진지하게 협의하고 다음과 같은 사항들에 합의하였다.
2003.10.17   제12차 남북장관급회담 공동보도문
2003.10.17
2003. 7.12   제11차 남북장관급회담 공동보도문
제11차 남북장관급회담이 2003년 7월 9일부터 12일까지 서울에서 진행되었다. 회담에서 쌍방은 6.15 남북공동선언의 정신에 따라 한반도의 평화와 남북 사이의 화해협력을 증진시켜 나가는데 상호관심사를 진지하게 협의하고 다음과 같이 합의하였다.
2003. 4. 29   제10차 남북장관급회담 공동보도문
제10차 남북장관급회담이 2003년 4월 27일부터 29일까지 평양에서 진행되었다. 회담에서 쌍방은 역사적인 6.15 남북공동선언을 실천해 나가는데 있어 상호 관심사를 진지하게 협의하고 다음과 같은 사항들에 합의하였다.
2003. 2.   제 16 대 노 무현 대통령 취임사
제 16대 대통령으로 선출된 노무현 대통령의 취임식은 2003년 2월 25일 국회의사당 앞 광장에서 거행되었다.
2003. 1. 24.   제9차 남북장관급회담 공동보도문
제9차 남북장관급회담이 2003년 1월 21일부터 24일까지 서울에서 진행되었다. 회담에서 쌍방은 역사적인 6.15 남북공동선언 발표 이후 남북관계가 발전하고 있는 데 대하여 긍정적으로 평가하고 앞으로도 6.15 공동선언을 계속 준수하고 이행해 나가기로 하였다.
2002.10.22   제8차 남북장관급회담 공동보도문
제8차 남북장관급회담이 2002년 10월 19일부터 22일까지 평양에서 진행되었다. 회담에서 쌍방은 최근 남북관계가 6.15 공동선언의 기본정신에 부합되게 좋게 발전하고 있는 데 대하여 긍정적으로 평가하고 남북공동선언을 이행하기 위하여 계속 노력하며 당면한 문제들을 풀어 나가기 위하여 다음과 같이 합의하였다.
2002. 8. 14.   제7차 남북장관급회담 공동보도문
제7차 남북 장관급회담이 2002년 8월 12일부터 14일까지 서울에서 진행되었다. 회담에서 쌍방은 역사적인 6.15 남북 공동선언을 확고히 이행해 나갈 의지를 확인하였으며, 4.5 공동보도문과 그밖의 상호 관심사를 실천해 나가기 위한 대책을 협의하고 다음과 같이 합의하였다.
2001. 9. 18.   제5차 남북장관급회담 공동보도문
제5차 남북장관급회담이 2001년 9월 15일부터 18일까지 서울에서 진행되었다. 회담에서 쌍방은 6.15 남북공동선언을 철저히 이행해 나가려는 서로의 의지를 확인하고 남북관계의 지속적인 발전과 평화 보장을 위하여 적극 노력하기로 하면서 다음과 같은 사항들에 합의하였다.
2000. 12. 16   제4차 남북장관급회담 공동보도문
제4차 남북 장관급회담이 2000년 12월12일부터 16일까지 평양에서 진행되었다. 회담에서 쌍방은 역사적인 남북 공동선언 이행을 위한 지난 6개월 동안의 사업추진결과를 평가하고 2001년을 맞으며 남북공동선언을 적극 이행해 나가야 한다는 데 인식을 같이하고, 다음과 같은 사항들에 합의하였다.
2000. 11.   제 2차 남북경협 실무 접촉   - 평양
2000년 11월 8-11일 평양에서 열린 제2차 남북 경협 실무 접촉에서 가서명된 투자보장 등 4개항의 합의서.
2000. 9. 30   제3차 남북장관급회담 공동보도문
제3차 남북장관급회담이 2000년 9월 27일부터 30일까지 제주도에서 진행되었다. 이번 회담에서 남북 쌍방은 역사적인 6.15 남북공동선언 발표후 합의한 사항들이 성실히 이행되고 있는 데 대해 긍정적으로 평가하고 남북공동선언을 변함없이 적극 이행해 나갈 것을 다짐하면서 다음과 같은 사항들에 합의하였다.
2000. 9. 26   제1차 국방장관회담 공동보도문
대한민국 국방부장관과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인민무력부장간 제1차 회담 공동보도문 역사적인 남북정상회담서 채택된 6.15 남북공동선언 이행을 군사적으로 보장하기 위하여 대한민국 국방부 장관과 조선민주주주의인민공화국 인민무력부장 사이의 회담이 9월 25일부터 26일 사이에 남측 제주도에서 진행되었다.
2000. 9. 26   남북경협 실무접촉 공동보도문   - 서울
남과 북은 경제협력을 확대.발전시키고 민족경제의 균형적 발전을 위한 제도적 장치 마련을 위해 2000년 9월25일부터 26일까지 서울에서 경제협력 실무접촉을 개최하였다.
2000. 9. 23   제2차 남북 적십자 회담 합의서
남북 적십자단체 대표들은 2000년 9월 20일부터 9월 23일까지 금강산호텔에서 이산가족문제 해결을 위한 사업들의 세부 이행절차를 협의하고 다음과 같이 합의하였다.
2000. 9. 14   임동원ㆍ김용순 회담 공동보도문
2000. 9. 1   제2차 남북장관급회담 공동보도문
제2차 남북 장관급 회담이 2000년 8월 29일부터 9월 1일까지 평양에서 진행되었다. 회담에서 쌍방은 6.15 남북공동선언의 중대한 의의를 다시금 강조하고 그것이 훌륭한 결실을 가져오고 있는데 대하여 평가하였다.
2000. 7. 31   제1차 남북장관급회담 공동보도문
제1차 남북장관급회담이 2000년 7월 29일부터 31일까지 서울에서 진행되었다. 회담에서 쌍방은 남북 정상들의 역사적인 평양 회담과 6.15 남북공동선언의 중대한 의의를 강조하고 공동선언을 성실히 이행해 나가기 위하여 다음과 같은 당면사항들에 합의하였다.
2000. 6. 30   제1차 남북 적십자 회담 합의서
남북 이산가족방문단 교환과 면회소 설치.운영 및 비전향장기수 송환에 관한 합의서 남북적십자단체대표들은 역사적인 「남북공동선언」에 따라 2000년 6월 27일부터 6월 30일까지 금강산호텔에서 올해 8.15에 즈음하여 이산가족방문단 교환과 면회소 설치.운영 및 비전향장기수 송환에 관한 문제를 협의하고 다음과 같이 합의하였다.
2000. 6. 15   6·15 남북공동선언
조국의 평화적 통일을 염원하는 온 겨레의 숭고한 뜻에 따라 대한민국 김대중 대통령과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김정일 국방위원장은 2000년 6월 13일부터 6월 15일까지 평양에서 역사적인 상봉을 하였으며 정상회담을 가졌다.

현대 (1960 ~ 2000)

1998. 2.   제 15 대 김 대중 대통령 취임사
제 15대 김대중 대통령 취임식은 1998년 2월 25일 국회의사당 앞 광장에서 거행되었다. 취임식은 아키노 필리핀 전 대통령 등의 외빈과 각계 인사 45,000여명이 참석한 가운데 55분간 진행되었다.
1995.12.15   한반도에너지개발기구·북한간 경수로 공급협정
한반도에너지개발기구·북한간 경수로 공급협정(한반도에너지개발기구와 조선민주주 의인민공화국 정부간의
1995. 3. 9   한반도에너지개발기구 설립에 관한 협정
한반도에너지개발기구는 북한에 제공할 경수로 발전소에 대한 재원조달을 목적으로 한국·미국·일본 3개국이 설립한 국제 컨소시엄이다. 협정은 전문과 15개조로 이루어졌으며, 1995년 3월 9일 발효되었다.
1994. 10. 21   제네바 미·북 핵 기본 합의문
1994년 9월 23일에서 10월 17일 개최된 북한과 미국 간 3단계고위급회담 2차 회의에서 양국이 서명한 기본 합의문을 말한다.
1993. 2.   제 14 대 김 영삼 대통령 취임사
제 14대 대통령으로 선출된 김영삼 대통령의 취임식은 1993년 2월 25일 국회의사당 앞 광장에서 약 38,000여명이 참석한 가운데 거행되었다.
1992. 6.   한·러 기본 조약
대한민국과 러시아연방간의 기본관계에 관한 조약 (Treaty on Basic Relations between the Republic of Korea and the Russian Federation) 서명일 1992년 11월 19일 서명장소 서울 발효일 1993년 07월 07일 (조약 1178 호) 관보게재일 1993년 06월 14일
1992. 1. 20   한반도의 비핵화에 관한 공동선언
한반도를 비핵화함으로써 핵전쟁 위험을 제거하고 한반도의 평화와 평화 통일에 유리한 조건과 환경을 조성하며, 아시아와 세계의 평화와 안전에 이바지하기 위해 남북한이 1991년 12월 31일 공동 채택한 선언.
1991. 12. 13   남북 기본합의서
남북 사이의 화해와 불가침 및 교류·협력에 관한 합의서
1988. 2.   제 13 대 노 태우 대통령 취임사
직접선거에 의해 제13대 대통령으로 선출된 노태우 대통령의 취임식은 1988년 2월 25일 국회의사당 앞 광장에서 25,000여명이 참석한 가운데 거행되었다.
1981. 3.   제 12 대 전 두환 대통령 취임사
전두환 대통령은 제 8차 개헌에 의해 새로이 구성된 대통령선거인단의 간접선거에 의해 제 12대 대통령으로 선출되었다. 취임식은 1981년 3월 3일 잠실실내체육관에서 거행되었으며, 약 9,000여명의 인사가 취임식에 참석하였다.
1980. 9.   제 11 대 전 두환 대통령 취임사
통일주체국민회의에 의해 제 11대 대통령으로 선출된 전두환 대통령 취임식은 1980년 9월 1일 잠실실내체육관에서 진행되었다. 취임식에는 약 8,800여 명의 인사가 참석하였고, 취임식 식순이나 장소는 그 이전과 비슷하게 거행되었다.
1980. 5.   광주시민군 궐기문
광주시민군 궐기문
1979.12.   제 10 대 최 규하 대통령 취임사
제 10 대 최 규하 대통령 취임사
1978.12.   제 9 대 박 정희 대통령 취임사
통일주체국민회의에 의해 제9대 대통령으로 선출된 박정희 대통령의 취임식은 1978년 12월 27일 정충문화체육관에서 거행되었다.
1978. 10.   자연 보호 헌장
‘자연보호헌장’은 자연을 아끼고 사랑하여 소중한 자연자원을 영원히 후손들에게 물려주고자 지난 1978년 10월 5일 제정 선포됐으며 개인의 자연 사랑과 환경 보전의 성실한 실천을 강조하고 있다.
1972.12.   제 8 대 박 정희 대통령 취임사
제8대 대통령은 통일주체국민회의에서 간접선거에 의해 선출되었다. 제8대 대통령으로 선출된 박정희 대통령의 취임식은 1972년 12월 27일 정충문화체육관에서 옥내행사로 거행되었다.
1972. 7.   7ㆍ4 남북 공동 성명
1972년 7월 4일 남북한 당국이 남북 조절 위원회를 구성 운영할 것을 합의하고 발표한 공동 성명.
1971. 7.   제 7 대 박 정희 대통령 취임사
제7대 대통령에 당선된 박정희 대통령의 취임식은 1971년 7월 1일 약 2,200여 명이 참석한 가운데 중앙청광장에서 거행되었다.
1968.12.5   국민교육헌장
국민 도덕의 기본 방향을 밝히고, 국민 각자가 나아갈 바 교육의 지표를 제시한 헌장. 1968년 11월 26일 국회 본회의에서 만장 일치로 가결, 1968년 12월 5일 정부가 이를 선포하였다.
1967. 7.   제 6 대 박 정희 대통령 취임사
박정희 대통형은 1967년 대통령선거에서 재선되어, 같은 해 7월 1일에 대통령취임식을 거행하였다.
1966. 7   한·미 행정 협정
한·미 상호 방위 조약 제4조에 따라 1966년 7월에 서울에서 맺은 행정 협정. 주로 주한 미군의 지위에 관해 형사 재판관할권(1차 재판권은 한국에 있음), 노동 조항(우리 나라 노동법에 따름), 민사 청구권(우리 나라 민법과 국가 손해배상법에 따름) 등을 주요 내용으로 한다.
1965. 6.   한·일 기본 협정
대한민국과 일본이 서로 일반적 국교 관계를 규정하기 위해 1965년 6월 22일에 조인한 조약이다. 4개 협정과 25개 문서로 되어 있다.
1963.12.   제 5 대 박 정희 대통령 취임사
직접선거에 의해 제 5대 대통령에 당선된 박정희 대통령의 취임식은 1963년 12월 17일 중앙청 광장에서 거행되었다.
1960. 8.   제 4 대 윤 보선 대통령 취임사
국회에 의해 대통령으로 선출된 윤보선 대통령의 취임식은 1960년 8월 13일 당시 국회의사당(지금의 서울시의회 건물) 에서 당시 헌법에 따라 국회양원 합동회의에서 거행되었다. 초청인원의 규모는 기록으로 남아있지 않다.

현대 (1945 ~ 1959)

1953.10.   한·미 상호 방위 조약
한국과 미국 사이에 평화 안전의 유지와 집단적 방위를 목적으로 맺은 조약. 1953년 10월 1일에 조인하여 1954년 11월 17일에 발효한 조약으로 전문과 본문 6조로 이루어져 있다.
1953. 7. 27   정전협정 [서지작성중]
1952. 8.   제 2 대 이 승만 대통령 취임사
6.25 전쟁기간 중이던 1952년 8월 5일 직접 선거에 의해 대통령으로 선출되어, 1952년 8월 15일 중앙청 광장에서 취임식을 가졌다.
1948. 7.   초대 이 승만 대통령 취임사
1948년 7월 20일 제헌 국회에서 대한민국 초대 대통령으로 선출된 이승만 박사가 7월 24일 중앙청 광장에서 열린 대통령 취임식에서 행한 연설이다.
1948. 7.   대한민국 헌법 [신규]
1947.   나의 소원   김구 백범일지 중
김구선생님의 애국정신이 잘 나타나 있는 문장. 백범 김구 선생의 자서전 《백범일지(白凡逸志)》의 상·하편 뒤에 붙은「나의 소원」은 완전독립의 통일국가건설을 지향하는 김구의 민족이념정신이 잘 나타나 있다.

근대화 시기 (1876 ~ 1945)

1919. 7. 10.   조선독립의 서   한용운. 서대문 감옥.
1919년 7월 일인 검사에게 제출한 만해 자신의 소견을 적은 대변서로서, 옥중에서 집필한 것이다.
1919년 4월   대한민국 임시정부 헌장
1919년 4월 11일 공포된 대한민국 임시 정부의 첫 헌법이다. 국호를 '대한민국'으로 정하였고, 정치 체제를 '민주공화제'로 한다고 명시하였다.
1919년 3월   기미 독립 선언서
1919년 3월 1일 3·1 운동에 맞추어 민족대표 33인이 당시 일제 강점 하에 있던 조선의 독립을 국내외에 선언한 글. 3·1 독립 선언서(三一獨立宣言書)라고도 불린다
1910년 8월   한일합방조약
1910년 8월 29일에 일본이 이른바 경술 국치 조약(한일합병조약)을 강압적으로 맺게 하여 대한 제국의 통치권을 빼앗은 일을 말한다. (1910. 8. 27 체결, 8. 29 발포)
1907년 7월   한·일 신협약
1907년(융희 1년)에 일본이 우리 나라의 주권을 빼앗기 위한 마지막 조처로서 강제로 맺은 조약. 정미 칠조약(丁未七條約)이라고도 한다.
1905년 11월   민영환의 유서   민영환
1905년 11월 20일, 민영환 시종무관장이 을사조약 체결 이후 자결하고 남긴 유서
1905년 11월   시일야방성대곡   황성신문 논설
《황성신문》의 주필인 장지연이 1905년 11월 20일 《황성신문》에 올린 글의 제목이다. 시일야방성대곡이란 "이 날에 목놓아 통곡하노라"라는 의미이다.
1905년 11월   을사조약
1905년(광무 9년) 11월 17일에 일본이 우리 나라의 식민지화 계획의 예비 수단으로 대한 제국의 외교권을 빼앗기 위해 강제로 맺은 조약.
1904년 8월   제1차 한·일 협약
1904년 8월 22일에 일제에 의해 강제로 체결된 조약. 러·일 전쟁이 일본측에 유리해지자, 일본은 우리 나라의 재정과 외교를 돕는다는 이유로 일본이 추천하는 사람을 초빙하여 고문으로 삼을 것을 강요하여 이 조약이 체결되었다.
1904년 2월   한·일 의정서
1904년 2월 23일에 우리 나라가 일본의 강압에 못 이겨 합의한 외교 문서. 이 의정서에 따라 1904년 5월에 우리 나라와 러시아 사이에 맺어졌던 모든 조약을 폐기시켰고, 경인선, 경의선 철도 부설과 통신망 가설 등의 이권을 그들이 차지하였다.
1902년 7월   한·정 수호 조약
한정수호통상조약(韓丁修好通商條約) 및 부속통상장정(附屬通商章程) 덴마크. 대한제국 전권대신 유기환(兪箕煥)
1899년 4월   독립신문 창간호 논설
[본문] 우리가 독립신문을 오늘 처음으로 출판하는데 조선 속에 있는 내외국 인민에게 우리 주의를 미리 말씀하여 아시게 하노라.
1894년 12월   홍범(洪範) 14조
1894년 음력 12월 12일(1895년 1월 7일) 제정·선포된 한국 최초의 근대적 헌법이다
1886년 4월   한·불 수호 조약
1886년 6월 4일에 조선과 프랑스가 맺은 조약이다. 쇄국정책을 펴던 흥선대원군이 하야하고 고종의 친정이 시작되면서 미국 등에 뒤이어서 프랑스와도 우호 통상 조약을 맺게 된 것이다
1883년   한·독 수호 조약
쇄국정책으로 일관해온 조선 정부가 1880년대에 들어와 「조미수호통상조약」을 선두로 서양국가들과 맺은 조약들의 하나이다.
1883년 4월   한·영 수호 조약
1883년(고종 20년)에 우리 나라와 영국이 국교와 통상을 목적으로 체결한 조약.
1882년   제물포 조약
(조·일 수호조규) 1882년(고종 19년)에 임오군란의 사후 처리를 위해 일본과 맺은 조약.
1882년 4월   한·미 수호 통상 조약
한·미 수호 통상 조약(조·미 수호통상조약) 1882. 4. 4
1880년 (고종 17)   조선책략   청 황준헌(黃遵憲)
1880년(고종 17년)에 청나라 시인이며 외교관인 황쭌셴이 주일 청국 공사관 참찬관으로 있을 때, 수신사로서 일본에 가 있던 김홍집에게 당시 국제 정세에 대한 자신의 견해를 기술하여 건네어 준 책.
1876년 2월   강화도조약
고종 13년(1876년) 2월 강화부에서 조선과 일본 사이에 체결된 조약으로, 이 조약의 정식 명칭은 조일수호조규 이며, 병자수호조약 이라고도 한다.

조선시대

1455 년경   조의제문   김종직
조선시대의 문신 김종직이 생전에 세조의 왕위 찬탈을 은유적으로 비판했던 글. 조의제문(弔義帝文)이란 제목은 '의제를 조문하는 글'이란 뜻이다.
1443년 12월.   훈민정음 [신규]   세종

고려시대

980년경.   시무(時務) 28조(條)   성종때 최승로
고려 초 문신 최승로(崔承老)가 6대 임금 성종에게 건의한 28조의 시무책(時務策)이다.
943년 4월.   훈요10조   고려 태조
고려 태조 26년(943년)에 태조가 자손들에게 귀감으로 남긴 10개조의 훈계.

고대 (선사 ~ 신라)

880년경.   토황소격문   최치원
신라의 최치원이 지은 글. 문장가인 최치원이 당나라에서 벼슬하고 있을 때 황소의 난이 일어나자, 이 난을 토벌하기 위하여 지은 글이다.
고조선   범금팔조   漢書
『한서(漢書)』 「지리지』에서는 낙랑군(樂浪郡)과 관련한 고조선의 문화와 풍속을 기술하고 있는데, 그 일부로 범금(犯禁) 8조가 전하고 있다.
지식카탈로그 가기
백과사전 연결하기
▣ 상위 디렉터리
(C) 지식디렉터리
기본카테고리
지식분류
부가디렉터리
원문/전문
참조카테고리
(참조)원문/전문
(참조)분류 정보
(참조)도식화 자료
(참조)연표모음
정보디렉터리
Dav! 가이드
Dav! Books
Dav! Media
Dav! Tours
▣ 인용 디렉터리
©2004 General Libraries

페이지 최종 수정일: 2015년 7월 1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