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수렁에 빠진 사기 배 서구 경서동 146번지에 고려 중엽에 설치된 녹청자 도요지가 있다. 사기 그릇이 전국에 판매되었는데, 어느 상인이 사기그릇을 배에 싣고 가려다 밤이 되어 하루밤 자고 가기로 했던 바, 그만 배가 침몰하고 말았다. 배는 약 백년이 지나도록 돛대가 수렁 바깥에 솟아 있었다 한다.
◈ 최초의 천일염(天日鹽)생산지 인천 서구는 조선시대 염벗(소금 굽는 곳), 바닷물을 퍼올려 가마솥에 붓고 불을 때서 만드는 자연법에 의한 소금의 고장이었다. 그 후 1907년 천일염전 신기술을 도입하여 염전에 바다물을 넣어 소금을 생산한 곳이다.(지금의 5-6공단 부지 자리)
◈ 조반 - 조선초 조선의 태조 이성계의 부름을 받고 건국에 공헌, 개국공신 칭호 부여.
◈ 심혁성 - 1888, 독립유공자(지사).
◈ 유인무 - 1861, 애국지사(백범일지 표기)
◈ 송윤 - 선조36년, 학자이며 유교유림의 대표자, 가선대부동지 중추부사 겸 5위도환부총관
◈ 중봉 조헌 - 임진년 과거급제, 통진부사 지냄, 임란때 의병모집, 충청 금산 싸움에서 전사.
◈ 김제현 - 한말, 효행.
◈ 이교선 - 1848, 효자정려.
◈ 신흠 - 명종 21년, 조선조 문신, 학자.(저서:상촌집 야언구정록, 정외잡지).
◈ 김중환 - 고종 26년, 경무대문과시에 병과로 급제, 가선대부, 사간원정언, 내부형판 역임
◈ 박동선 - 명종 17년, 조선문신, 이조판서, 대사헌, 병조판서, 지의금부사를 지냄.
◈ 유희강 - 근세 서예 대가, 1969년, 뇌출혈과 오른손 마비로 왼손으로 붓을 잡았다.
◈ 박응인 - 중종 27년, 조선문신, 명종13년(1558)사마시에 합격, 의금부도사, 한성부서윤, 상의원정이 됨.
◈ 박임종 - 세종 16년, 조선문신, 사복시정, 상주목사, 첨지중추부사를 지냄.
◈ 양진룡 - 광해군, 사계 김장생 문인.
◈ 박정 - 선조 29년, 조선문신, 정시문과급제, 승무원부정자, 정사공신, 인조 3년 홍문관.
◈ 이여적 - 숙종5년, 조선문신, 무과급제, 선전관, 비변사 낭청, 훈련원정, 동총부부총관, 지중추부사에 이름.
◈ 한백륜 - 세종 9년, 조선문신, 식년문과에 급제, 내시별감, 사용원 별좌, 의빈부도사, 청천부원군에 봉착(딸 세자빈 책봉).
◈ 박상충 - 충숙왕 1년, 고려학자, 문신, 공민왕때 문과급제, 예조정랑, 우왕초 전교령이 되어 친명책 주장, 판전교시사.
◈ 신영 - 연산군 5년, 조선문신, 진사시에 합격, 1523년 알선문과에 장원, 홍문관 발탁, 이조, 호조, 예조, 병조참판, 지중추부사체직.
◈ 남두장 - 광해군 5년, 조선문신, 진사, 의령현감, 의금부도사, 공조정랑 한성부서윤, 광흥창수를 지냄
◈ 남정 - 선조 18년, 정예원사평, 전생서주부, 오위장을 지냄.
◈ 이동진 - 근세. 효자정려.
■ 사적(국가지정)
◈ 인천 녹청자 도요지 - 제211호 서구 경서동 385( 검암동 438-21)
■ 천연기념물(국가지정)
◈ 인천 신현동의 회화나무 - 제315호 서구 신현동 131-7
■ 유형문화재(시지정)
◈ 심즙신도비 - 제32호 서구 공촌동 산8
■ 기념물(시지정)
◈ 류사눌묘 - 제5호 서구 경서동 산200-1
◈ 조서강묘 - 제6호 서구 석남1동 산119-2
◈ 검단 대곡동 지석묘군 - 제33호 서구 대곡동 산123-1
◈ 숙의문씨 묘 - 서구 심곡동 산36
◈ 가정지 - 서구 가정동 456
◈ 경인고속도로 기공지 - 서구 가좌동 I.C
◈ 축곶봉수대지 - 서구 가정동 축곶산정산(가정산54)
◈ 허암지 - 검암동 허암산 북쪽(검암111)
◈ 중심성지 - 서구 공촌동 산1-1
◈ 연희진지 - 서구 연희동 247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