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S 여러분! 반갑습니다.    [로그인]
키워드 :
지식놀이터 ::【궁인창의 지식창고 궁인창의 독서여행
[광고]
[100 세트 한정] 행운의 2달러 스타노트+네잎클로버 컬렉션 35% 19,800원 12,800원
일반 (일자별)
◊ 궁인창의 독서여행 ◊
▣ 주요 키워드
독도 (21) 백과 김만덕 (20) 백과 금강산 (19) 백과 제17회 동해왕 이사부 항로 탐사 (18) 허베이성 (16) 백과 손기정 (15) 백과 남극 탐험 (11) 닝보시 (11) 백과 독도의용수비대 (9) 백과 몽골 (9) 백과 베이징 (9) 백과 스자좡시 (9) 백과 장승 (9) 백과 남극 (8) 백과 산시성 (8) 백과 양저우시 (8) 백과 이순신 (8) 백과 핑야오고성 (8) 백과 베를린 올림픽 대회 (7) 백과 부탄 (7) 백과
▣ 공개 페이지
◈ 조회순
2025.02.16
1798년 만들어진 대법당 상량문에 신통력 지닌 마라난타 존자 창건 알려져
【문화】 남도 기행, 나주 덕룡산 불회사 탐방 새해 들어 첫 여행지로 전라도를 방문했다. 이번 여행은 무등산(1,187m) 자락 광주에 사는 친구가 대학 동기들과 함께 운주사, 순천만 습지, 여수 밤바다를 함께 방문하고 싶다고 작년 여름에 전화를 걸어와 시작되었다. 그래서 친구에게 “무슨 사연이 있는가?”라고 물으니 “국문과 친구들과 대학생 때는 같이 여행도 가고 그랬는데, 대학을 졸업하고 40여 년이 지났지만, 바쁘다는 핑계로 한 번도 여행 간 적이 없어 죽기 전에 소원이다.”라고 말을 했다.
2025.02.18
북송 시기 도교의 신격으로 출현 ...망자의 영혼을 관장하는 위상이 높아져
【문화】 나주 불회사 석장승의 안내판을 보면서 장승에 적혀있는 명문(銘文) 상원주장군(上元周將軍)을 생각했지만, 누구를 칭하는지 기억이 나지 않아 페이스북에 적어둔 메모장을 펼쳐보았다. 한양대 국어국문학과 이승수 교수는 2016년 12월 전남대 호남문화연구 60권에 기고한 〈주장군(周將軍) 당장군(唐將軍) 석장승의 역사적 기원과 문화적 기능(전라도 지역을 중심으로)〉이란 발표 논문에서 문헌 자료를 통해 주장군은 17세기말 사찰 건축의 일환으로 조성되었다고 보았다.
2025.01.18
【남극 탐험 ⑦】 극지 ‘66° 탐험크루즈’, 작년 9월 9일 출범...중노년층에서 가족 단위 및 젊은층 주도
【문화】 중국의 66° Expedition Cruise가 2024년 9월 9일 광저우에서 극지 크루즈 상품 ‘66° 탐험 크루즈(66度探险部轮, 66° Expedition Cruises)’를 출범시켰다. 이는 중국 극지탐험 산업의 새로운 지평을 열고, 중국 문화관광 기업들이 세계의 끝이라 불리는 극지 탐험에 맞춤형 경험을 통해 극지방 관광에 진출한 것은 매우 중대한 의미가 있다.
2025.01.31
【남극 탐험 ⑩】금 캐는 사람 또는 극지탐험가 다양하게 불러...원양어선 타고 북극 정착한 조선여인 유모 고용도
【문화】 체코 모험가 ‘얀 벨츨’의 여행기 체코 모험가 얀 벨츨(Jan Welzl, 1868~1948)의 여행기는 정말 놀랍고 신기한 북극 지방 에스키모의 이야기로 가득 차 있다. 송파도서관에 빌려온 책에는 130여 년 전에 정어리 어장을 따라 원양어선을 타고 왔다가 섬에 남은 조선 여인의 이야기가 담겨 있었다.
2025.01.28
【남극 탐험 ⑨】공동 브랜드로 여행 일정 판매...나스닥 상장, 육상 생태 관광회사 매입 등 사세 확장
【문화】 내셔널 지오그래픽-린드블라드 탐험대 남극 여행을 처음 개발한 린드블라드의 아들 스벤 올로프 린드블라드(Sven Olof Lindblad)는 가족의 유산을 이어받아 린드블라드 탐험대(Lindblad Expeditions)를 설립하고 아버지가 구상한 혁신적인 여행 경험을 확장했다.
2025.03.24
17~18세기 천연두 창궐, 전국 110개 아미산 지명 생겨...
【문화】 조선왕조의 아미산 - 1 / 조선왕조에서는 왕자들의 건강을 기원하기 위해 왕비가 생활하는 거처인 경복궁 교태전 뒤에 가산(假山)을 만들어 화초를 심고 아미산이라고 불렀다. 고종 3년(1866)에 만들어진 아미산 굴뚝에는 십장생과 화마와 악귀를 물리치는 상서로운 짐승이 조화롭게 표현되어 있다.
2025.03.17
1827년 울산 상인-어부 12명 시마네현 표착...마쓰에역사관, 초상화 전시회 개최
【문화】 조선 표류민 초상화 전시회 / 17~18세기에 한반도를 횡단하는 태풍이 자주 발생하면서 금강산과 설악산을 비롯하여 동해안의 여러 사찰과 마을에 막대한 피해를 주었다. 태풍이 지나가면서 엄청난 폭우를 동반하여 계곡에 홍수가 발생해 하류 쪽 마을들은 모두 사라졌다.
2025.03.14
오페르트 선단, 남연군 묘 도굴 실패 일파만파 ...삽교천 방조제 완공으로 뱃길 끊겨
【문화】 역사에서 사라진 예산군 구만포 / 흥선대원군의 부친 남연군(南延君, 1788~1836) 묘를 도굴하기로 계획한 상인 오페르트와 페롱 신부 일행은 청나라 상하이 무역항을 출항해 일본 나가사키 항에서 모든 도구를 챙겼다.
 
◈ 최근등록순
2025.04.01
힐트만 교수, 운주사 계곡 불상과 탑은 미륵 강림 용화세계를 꿈꾸는 민중 염원 담겨
【문화】 미륵―한국의 성스러운 돌들 / 한국을 처음 방문한 독일 조각가 요헨 힐트만(Jochen Hiltmann, 1935~ )은 화순 운주사 천불천탑에 관해 본격적으로 연구를 시작하고 사진 1백여 장을 《미륵―한국의 성스러운 돌들(Miruk- Die heiligen Steine Koreas, 227쪽)》 이란 책에 수록하여 1987년 독일 프랑크푸르트에서 출간했다.
2025.03.31
담양 출신 송현숙 화가와 결혼...전남대 교환교수 근무 때 방문 매료돼 독일서 전시회 개최
【문화】 화순 운주사와 조각가 요헨 힐트만 / 전남 화순 운주사 천불천탑을 독일에 처음 알린 사람은 독일인 조각가 요헨 힐트만(Jochen Hiltmann, 1935~ )이다. 그는 1986년 독일 뮌헨에서 개최된 운주사 사진 전시회에서 “화순은 땅의 에너지가 왕성하게 넘치고 평화롭고 바람이 잔잔하게 부는 신비롭고 평화로운 곳이다.
2025.03.24
17~18세기 천연두 창궐, 전국 110개 아미산 지명 생겨...
【문화】 조선왕조의 아미산 - 1 / 조선왕조에서는 왕자들의 건강을 기원하기 위해 왕비가 생활하는 거처인 경복궁 교태전 뒤에 가산(假山)을 만들어 화초를 심고 아미산이라고 불렀다. 고종 3년(1866)에 만들어진 아미산 굴뚝에는 십장생과 화마와 악귀를 물리치는 상서로운 짐승이 조화롭게 표현되어 있다.
2025.03.23
스촨성 아미산에
【문화】 동해 바다를 건너간 장승 2 / 일본 제국(日本帝國, 日帝, 1868.1.3~1947.5.2)은 1867년 메이지유신 이후 부국강병과 식산흥업(殖産興業)을 목표로 기치를 내걸고 천황제에 근거한 근대국가를 확립하고 1889년 대일본제국헌법을 공포하였다.
2025.03.22
무진전쟁 때 승리한 번주, 정관원 당주에 하사...백과사전에 등장할 만큼 유명
【문화】 동해 바다를 건너간 장승 1 / 1825년(文政 8, 仁孝天皇) 음력 12월 아침 니가타현(新鴻) 가시와자키시(柏崎市) 미야가와하마 해변에 2.6m나 되는 나무가 표착(漂着)했다. 새벽에 한 어민이 해변에 널려있는 나무를 주우러 왔다가 이상한 형태의 나무를 보고 무척 놀랐다.
2025.03.17
1827년 울산 상인-어부 12명 시마네현 표착...마쓰에역사관, 초상화 전시회 개최
【문화】 조선 표류민 초상화 전시회 / 17~18세기에 한반도를 횡단하는 태풍이 자주 발생하면서 금강산과 설악산을 비롯하여 동해안의 여러 사찰과 마을에 막대한 피해를 주었다. 태풍이 지나가면서 엄청난 폭우를 동반하여 계곡에 홍수가 발생해 하류 쪽 마을들은 모두 사라졌다.
2025.03.14
오페르트 선단, 남연군 묘 도굴 실패 일파만파 ...삽교천 방조제 완공으로 뱃길 끊겨
【문화】 역사에서 사라진 예산군 구만포 / 흥선대원군의 부친 남연군(南延君, 1788~1836) 묘를 도굴하기로 계획한 상인 오페르트와 페롱 신부 일행은 청나라 상하이 무역항을 출항해 일본 나가사키 항에서 모든 도구를 챙겼다.
2025.03.11
독일로 간 문화재 1만여점... 상인, 선교사에 의해 헐값에 대량 반출
【문화】 독일 베를린민족학박물관의 조선 장승 / 독일 ‘베를린민족학박물관 훔볼트 포룸’에는 조선 인천부(仁川府) 조동면(鳥洞面) 담방리(淡方里) 별리고개(別離峴, 星峴) 장승백이(長僧店)에 있던 장승 대후(大堠)가 전시되어 있다. 훔볼트 포럼은 인류 역사, 예술, 문화에 전념한 프로이센 학자 빌헬름과 알렉산더 폰 훔볼트를 기리기 위해 명명된 곳이다.
2025.03.07
바닷가에 100여 일본 병사들의 시신, 수습해 倭德山, 야산 묻고 넋 달래줘
【문화】 진도 상만리 비자나무 / 세상은 우연의 연속이다. 전혀 생각하지 않은 때에 전남 진도군 임회면 상만리에 있는 수령 600년으로 추정되는 높이 25m, 둘레 6m의 우람한 비자나무를 만났다. 2021년 7월 22일 범선 코리아나호는 대천해수욕장에서 개최하는 머드 축제에 참여하기 위해 여수 소호요트경기장에서 승객 20여 명을 태우고 새벽 4시 30분에 출항했다.
2025.03.01
청해진 장도 원목렬, 비자나무 확인...사시사철 푸르고 잘 자라며 약효 많아
【문화】 전남 나주 덕룡산 불회사를 처음 방문한 친구는 불회사의 비자(榧子)나무 숲이 정말 아름다워 놀랐다고 말했다. 불회사 계곡에는 등산로가 잘 정비되어 등산객은 불회사 석장승을 보고 편백숲을 지나 절에 도착하여 부처님께 참배하고는 덕룡산 정상으로 걸어간다.
2025.02.26
도교 신봉 목적, 선인이 되어 선계에 승려도 속인도 아닌 삶 추구
【문화】 영락궁은 원(元)나라 때 전진교(全眞敎)가 번성하던 시기에 중국 산시성 융지현(永济县) 융러진(永乐镇)에 세워진 건물로 대순양만수궁(大純陽萬壽宮)이라 하며 영락궁은 약칭이다. 여동빈은 당(唐)나라 덕종(德宗) 정원(貞元) 년간(785~805)에 태어났다.
2025.02.26
설훈과 경천, 의겸 등 화승, 독창적인 화풍으로 전수... 추사, 초의 스승 해붕과 교류
【문화】 서울대 조인희 선생은 2014년 《미술사학연구》에 〈조선 후기의 여동빈에 대한 회화 표현〉이란 논문을 발표하였다. 여동빈(呂洞賓)은 조선왕조 후기 유불선(儒佛仙) 회화에 모두 포용되는 독특한 위상을 가졌다.
2025.02.21
도사 여동빈을 그린 신중도... 사원에는 관운장 부장 주창과 관평 신격화
【문화】 도교의 팔선과 삼원 명절 중국 도교(道敎)의 3대 명절은 상원, 중원, 하원으로 위진남북조시대부터 시작되어 주변 국가에 큰 영향을 주었다. 필자는 도교가 우리나라에 깊이 뿌리를 내리고 사찰 벽화나 신중도에 도사 여동빈이 그려져 있었지만, 관심을 가지지 않아 그동안 잘 몰랐다.
2025.02.20
흉노족 침입 물리치기 위해 수호신 모심...몽골 훈촐로는 제주 돌하루방 상관 없어
【문화】 옹중석, 장승의 기원? 국립민속박물관 학예사였던 정승모(1953~ ) 선생은 우리나라 장승의 기원을 진나라 장수 옹중석(翁仲石, 石翁仲)과 관련이 있다고 보았다.
2025.02.18
북송 시기 도교의 신격으로 출현 ...망자의 영혼을 관장하는 위상이 높아져
【문화】 나주 불회사 석장승의 안내판을 보면서 장승에 적혀있는 명문(銘文) 상원주장군(上元周將軍)을 생각했지만, 누구를 칭하는지 기억이 나지 않아 페이스북에 적어둔 메모장을 펼쳐보았다. 한양대 국어국문학과 이승수 교수는 2016년 12월 전남대 호남문화연구 60권에 기고한 〈주장군(周將軍) 당장군(唐將軍) 석장승의 역사적 기원과 문화적 기능(전라도 지역을 중심으로)〉이란 발표 논문에서 문헌 자료를 통해 주장군은 17세기말 사찰 건축의 일환으로 조성되었다고 보았다.
2025.02.16
1798년 만들어진 대법당 상량문에 신통력 지닌 마라난타 존자 창건 알려져
【문화】 남도 기행, 나주 덕룡산 불회사 탐방 새해 들어 첫 여행지로 전라도를 방문했다. 이번 여행은 무등산(1,187m) 자락 광주에 사는 친구가 대학 동기들과 함께 운주사, 순천만 습지, 여수 밤바다를 함께 방문하고 싶다고 작년 여름에 전화를 걸어와 시작되었다. 그래서 친구에게 “무슨 사연이 있는가?”라고 물으니 “국문과 친구들과 대학생 때는 같이 여행도 가고 그랬는데, 대학을 졸업하고 40여 년이 지났지만, 바쁘다는 핑계로 한 번도 여행 간 적이 없어 죽기 전에 소원이다.”라고 말을 했다.
2025.02.04
【남극 탐험 ⑫】아델리안 펭귄 명명 후 기차 화재로 사망...라페루즈 제독, 울릉도 발견해 ‘다줄레’ 이름 붙여 서양지도 기록
【문화】 프랑스 탐험가 쥘 뒤몽 뒤르빌Ⅱ 뒤몽은 항해를 마치고 돌아와 사령관으로 승진했다. 1826년 4월 22일부터 Astrolabe 호를 타고 남태평양 탐험을 35개월 동안 하기로 해군성에 보고하였다. 그는 항해를 통해 현재 파푸아뉴기니에서 거의 알려지지 않은 16,000km 이상의 해안선과 작은 섬의 위치를 ​​확인할 수 있으며 그중 약 60개는 아직도 지도에 표시되지 않았다고 생각했다.
2025.02.03
【남극 탐험 ⑪】‘밀로의 비너스’를 루이 18세 헌납해 기사 칭호 얻음...미케네 및 티린스 놀라운 유물 발굴 앞장
【문화】 프랑스 탐험가 쥘 뒤몽 뒤르빌Ⅰ 프랑스 탐험가 쥘 뒤몽 뒤르빌(Jules-Sébastien-César Dumont d’Urville, 1790~1842)은 1790년 5월 23일 프랑스 북부 노르망디 지역 칼바도스 주의 자치도시인 콘데 쉬르 누아로(Condé-sur-Noireau)에서 태어났다. 태어난 지역은 15세기에는 영국인들이 점령했고 전쟁이 잦은 지역이었다.
2025.01.31
【남극 탐험 ⑩】금 캐는 사람 또는 극지탐험가 다양하게 불러...원양어선 타고 북극 정착한 조선여인 유모 고용도
【문화】 체코 모험가 ‘얀 벨츨’의 여행기 체코 모험가 얀 벨츨(Jan Welzl, 1868~1948)의 여행기는 정말 놀랍고 신기한 북극 지방 에스키모의 이야기로 가득 차 있다. 송파도서관에 빌려온 책에는 130여 년 전에 정어리 어장을 따라 원양어선을 타고 왔다가 섬에 남은 조선 여인의 이야기가 담겨 있었다.
2025.01.28
【남극 탐험 ⑨】공동 브랜드로 여행 일정 판매...나스닥 상장, 육상 생태 관광회사 매입 등 사세 확장
【문화】 내셔널 지오그래픽-린드블라드 탐험대 남극 여행을 처음 개발한 린드블라드의 아들 스벤 올로프 린드블라드(Sven Olof Lindblad)는 가족의 유산을 이어받아 린드블라드 탐험대(Lindblad Expeditions)를 설립하고 아버지가 구상한 혁신적인 여행 경험을 확장했다.
[광고]
제주 클레르 드 륀 펜션 제주시 애월읍, M 010-6693-3704
페이스북 공유하기 트위터 공유하기
로그인 후 구독 가능
구독자수 : 0
▣ 다큐먼트 작업
▶ 지식지도
알림∙의견
모든댓글보기
▣ 참조 지식지도
▣ 다큐먼트
▣ 참조 정보 (쪽별)
©2021 General Libraries 최종 수정일: 2021년 1월 1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