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
|
개요
|
|
|
|
|
|
|
|
역대 제왕의 중요 사적을 기록한 〈本紀〉 12편, 왕후장상(王侯將相) 및 걸출한 인물의 전기를 기록한 〈世家〉 30편, 각계각층 인물의 전기를 기록한 〈列傳〉 70편, 천문 역법 등 방면의 제도를 기록한 〈書〉 8편, 시간 순서에 따라 배열한 대사건 연표를 기록한 〈表〉 10편을 포함한 130편의 52만 6,500 글자로 되어있다.
|
|
|
|
|
|
|
1. 고전 공부의 필요성
|
|
|
|
|
|
1) 고전은 원전을 그대로 읽는 것이 최선--현재는 “악화(惡貨)가 양화(良貨)를 구축(驅逐)하는”상황
|
|
|
|
|
|
2) 인간성 파괴현상이 시급한 현실--인간성 회복을 위해서는 고전을 읽고 고전의 정신(사랑,정의,평화)을 생활화하는 것.
|
|
|
|
|
|
3) 무수한 시간과 공간속에서 검증된 온갖 지혜의 창고--당신에게 필요한 열쇠를 제공할 것.
|
|
|
|
|
|
|
2. 강좌 개설이유
|
|
|
|
|
|
누구나 이 강좌를 통해서(또는 이 책을 읽고) 고전의 바다에서 마음껏 소요(逍遙)하면서 정신적 육체적으로 치유(heal)되고 평온(calmness) 해 질 수 있도록 돕는 것
|
|
|
|
|
|
|
3. 《사기》 저술동기
|
|
|
|
|
|
〈報任安書〉에“구천인지제, 통고금지변, 성일가지언(究天人之際, 通古今之變, 成一家之言)” 즉 “우주만물의 자연적 현상과 인류사회의 규율적 질서 사이의 모든 관계를 탐구하고, 과거와 현재 및 미래의 무수한 변화과정을 깨우치고 통달해서, 자신의 독립적이고 완벽한 이론과 저술체계를 이룩한다.”
|
|
|
|
|
|
|
4. 향후 학습방법
|
|
|
|
|
|
《禮記》〈學記〉“學然後知不足,教然後知困。知不足然後能自反也,知困然後能自强也。故曰教學相長也” 敎學相長의 마음가짐으로 진행
|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