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S 여러분! 반갑습니다.    [로그인]
키워드 :
지식놀이터 ::【고재완의 지식창고 고재완의 여행을 떠나요
고재완의 여행을 떠나요
2019년
2019년 12월
2019년 12월 5일
2019년 11월
2019년 11월 18일
2019년 11월 11일
2019년 11월 7일
2019년 11월 4일
2019년 10월
2019년 10월 30일
2019년 10월 28일
2019년 10월 25일
2019년 10월 23일
2019년 10월 21일
2019년 10월 18일
2019년 10월 16일
2019년 10월 14일
2019년 10월 10일
2019년 10월 7일
2019년 10월 3일
2019년 9월
2019년 9월 30일
정조(正祖) 임금이 휴식한 부평 관아(富平府)
2019년 9월 26일
2019년 9월 23일
2019년 9월 19일
2019년 9월 16일
2019년 9월 9일
2019년 9월 6일
2019년 8월
2019년 8월 15일
2019년 8월 11일
2019년 7월
2019년 7월 25일
2019년 7월 22일
2019년 7월 18일
2019년 7월 8일
2019년 7월 1일
2019년 6월
2019년 6월 24일
2019년 6월 21일
2019년 6월 18일
2019년 6월 14일
2019년 6월 12일
2019년 6월 10일
2019년 6월 7일
2019년 6월 5일
2019년 6월 1일
2019년 5월
2019년 5월 29일
2019년 5월 25일
2019년 5월 22일
2019년 5월 19일
2019년 5월 16일
2019년 5월 11일
2019년 5월 9일
2019년 5월 4일
2019년 5월 2일
2019년 4월
2019년 4월 29일
2019년 4월 17일
2019년 4월 11일
2019년 4월 8일
2019년 4월 4일
2019년 3월
2019년 3월 25일
2019년 3월 18일
2019년 3월 12일
2019년 3월 7일
2019년 3월 2일
2019년 1월
2019년 1월 31일
2019년 1월 23일
2019년 1월 19일
2019년 1월 16일
2019년 1월 9일
2019년 1월 5일
about 고재완의 여행을 떠나요
내서재
추천 : 0
계양구(桂陽區) # 계양산 둘레길 # 부평도호부
【여행】
(2019.11.18. 23:52) 
◈ 정조(正祖) 임금이 휴식한 부평 관아(富平府)
인천 계양산 둘레길을 마무리하려는데 무언가 빠진 것 같아 계양문화회관에서 부평 초등학교(약 900m)로 갔다. 휴일이라 그런지 학교 운동장에선 초등학생들이 축구 연습을 하고 있으며, 정조의 흔적이 남은 문화재 유적을 가깝게 볼 수 있는 출입문은 잠겨 틈새로 보았는데 아쉬웠다. 어쨌든 계양산 둘레길을 돌고 정조의 흔적을 느낀 휴일 하루였다.
인천 계양산 둘레길을 마무리하려는데 무언가 빠진 것 같아 계양문화회관에서 부평 초등학교(약 900m)로 갔다. 휴일이라 그런지 학교 운동장에선 초등학생들이 축구 연습을 하고 있으며, 정조의 흔적이 남은 문화재 유적을 가깝게 볼 수 있는 출입문은 잠겨 틈새로 보았는데 아쉬웠다. 어쨌든 계양산 둘레길을 돌고 정조의 흔적을 느낀 휴일 하루였다.
조선 22대 정조(1752~1800) 임금은 1797년(정조 21) 10월 창덕궁을 떠나 김포 장릉(章陵, 인조의 부모)을 거쳐 아버지 사도세자의 수원의 융릉(현륭원)에 가기 위해 부평을 지나갔다. 정조 임금은 부평부(富平府)에서 점심 수라를 들고 휴식을 취했다가 안산 행궁으로 출발했다는 기록과 부평부에서 인천으로 가는 도중에 부평에 대한 시를 읊고 인천부사(황운조)로 하여금 쓰게 해서 홍재전서(정조의 글 모음집)에 남아있다.
\na-;▼부평 초등학교 안의 유적 안내(☎032-450-5822) : 인천광역시 계양구 어사대로 20
\na-;▼계산동 은행나무(銀杏木)
☞인천시 기념물 11호
☞현재 부평 초등학교 교정에 위치하고 있으며, 1418년(태종 18) 부평도호부 청사 완공 시 아름답게 꾸미는 나무로 심었던 것으로 보이며, 수령은 약 500년 이상, 높이 약 25m, 둘레 약 10m임.
☞ "살아있는 화석"이라는 은행나무는 낙엽 침엽 큰 나무로 학교에 많이 심으며 특히 서울 성균관 문묘의 커다란 은행나무는 노랗게 물드는 10월 말~11월 초에 많은 분들이 방문함.
\na-;▼부평도호부(富平 都護府) 청사
☞인천시 유형문화재 2호
☞원래의 도호부청사는 계산동 898번지 일대라는데, 현재는 부평 초등학교 내(계산동 943)에 옛 청사 건물은 변형되어 일부가 남아 있음
☞부평도호부청사는 1677년(숙종 3)에 중수했다는 기록이 있으나 세워진 내력을 정확히는 알 수가 없다. 1150년( 고려 의종 4)에 안남도호부, 1215년(고종 2)에 계양 도호부로, 조선 시대 1413년(태종 13)에 부평부(富平府)가 부평도호부(富平都護府) 로 승격되었다. 따라서 정황으로 볼 때 부평도호부로 승격이 되면서 청사 건립에 착수하여 1418년(태종 18)에 완공된 것으로 추정.
☞기록에 의하면 객사(客舍), 동·서헌(東西軒), 근민당(近民堂), 아사(衙舍), 향청(鄕廳), 포도청, 연무당(練武堂), 부창(府倉) 등 여러 채의 건물로 당시에는 웅장한 규모(23동 238칸)로 근래까지도 동헌·객사·내아(內衙) 등 많은 건물이 있었다고 한다. 그러나 이곳에 초등학교를 세우면서 대부분의 건물은 헐어버리고 현존 건물만 학교 운동장 한 모퉁이로 이전함
☞ 이전 당시에는 1m 높이의 석축 위에 지은 “ㄱ”자형 집이었는데, 1968년 다시 옮기면서 석축과 날개를 떼어버리고 “一자” 건물로 바뀌어 정면 6칸, 측면 2칸의 팔작지붕 건물로 변함.
\na-;▼ 1930년대 사진의 ㄱ 자형 건물
 
 
\na-;▼어사대(御射臺)
☞ 인천시 문화재자료 3호
☞ 욕은지 바로 옆에 돌로 대를 쌓고 중앙에 어사대광서정해중수(御射臺光緖丁亥重修)라고 새긴 장대석이 놓여 있음.
☞ 길이 164cm, 높이 63cm, 두께 33cm의 표지석
☞ 예전에 정자가 있었다고 하나 1887년(고종 24)에 증수하였다는 표지석만 남아있고 정조 임금은 활쏘기를 즐겨 했던 터라 1797년(정조 21) 김포 장릉(章陵)을 거쳐 아버지 사도세자의 수원의 융릉(현륭원)을 전배하기 위하여 부평을 지나갔는데 이때 점심 수라를 들고 휴식할 때 활을 쏜 것이라 전해짐.
 
 
\na-;▼욕은지(浴恩池)
☞ 인천시 문화재 자료 1호
☞ 원래 다른 곳에 있던 것을 1887년(고종 24)에 보수하여 현재의 곳으로 옮겼음
☞ 욕은지는 돌을 쌓아 가로 18m, 세로 16m의 크기로 만든 연못으로, 가운데에 둘레 7m의 돌산을 만들어 풀과 나무를 심고, 다리를 만들어 남쪽과 연결하는 천원지방(天圓地方) 형태다. 연못 동쪽에 쌓여진 돌 가운데에는, 고종 24년에 고쳐 지었다는 기록을 새긴 돌이 끼어 있음.
☞1797년(정조 21) 왕은 김포의 장릉을 참배하고, 부평을 경유하여 생부인 사도세자를 모신 수원 현륭원에 갔다. 이때 부평에서 잠시 휴식을 취하며 이곳에서 활을 쏘고 손을 씻은 것으로 전해짐.
☞연못이지만 연못에 물은 없음.
\na-;▼2002년 욕은지 사진과 현재를 비교하니 연못 테두리의 석재는 다른 것으로 다시 쌓았고 연못에 물이 없으며 연결 다리 형태와 석재가 달라져 예스러운 멋은 부족함.
 
 
 
 
 
 
▣ 정조(이산, 1752~1800)의 김포, 부평, 안산을 경유한 수원 화성 행차
 
 
☞ 정조는 1797년 수원 화성 현륭원 2회(음력 1월과 8월) 방문했고, 8월(양력으로 10월)은 기존 코스와 다른 김포, 부평, 안산 코스로 행차
☞ 1797년 10월 4박 5일 능행 코스
창덕궁(음력 8/15는 양력 10월 4일)→ 노량 배다리(舟橋)→ 용양봉저정 → 양천 → 김포 장릉(章陵)→ 김포 행궁(1박) → 부평 → 안산 행궁(1박) → 수원 현륭원 → 수원 화성 → 안양 행궁 → 만안교 → 시흥행궁 → 용양봉저정 → 노량 배다리 → 창덕궁(10/8)
 
 
\na-;▼노량 배다리(현재 한강대교 위치) 그림으로 배를 서로 연결해 묶고 위에 목재판과 흙을 덮은 임시 다리로 그림의 위쪽이 노량진 용양봉저정(노량행궁)임.
 
 
☞ 왜 김포 장릉 코스로 돌아 수원 화성 행궁으로 갔을까?
정조가 김포 장릉을 참배하고자 한 것은 인조가 아버지 정원군을 원종으로 추존하였듯이 정조 자신도 조선의 중흥을 이끌고 백성의 지지를 받는 자신감으로 아버지 사도세자를 추존하고, 왕세자[순조]가 15세가 되는 1804년 왕위를 물려주고 상왕으로 물러앉아 수원 화성 현륭원(부친인 사도세자의 묘)을 지키며 왕권을 보위하고자 하였으나 그 꿈을 이루지 못하고 1800년 사망함.
☞ 화성행궁의 정문인 신풍루(新豊樓)의 ‘신풍’이 의미가 한나라 고조의 고사에서 ‘풍땅은 새로운 또 하나의 고향’이라는 의미를 내포하므로 정조가 말년을 수원의 화성행궁에서 지낼 계획을 드러낸다. 아울러 행궁 주요 전각인 노래당(老來堂)도 원래 노래(老來)란 말은 “늙어서 천명에 의탁하고 편안히 머물면 그 곳이 고향이어니(老來尤委命 安處卽爲鄕 노래우위명 안처즉위향)”라는 백거이(白居易 : 당나라 시인)의 시에서 따온 것으로 이곳에서 늙어 안식처로 삼겠다는 정조의 의지를 엿볼 수 있음.
☞ 언제 부평에 왔으며 어디서 쉬었을까?
1797년 (정조 21) 10월 5일 (음력 8월 16일) 낮에 부평부(富平府)에서 쉬었다고 기록되어 있다. 그래서 계양구민의 날 행사가 10월 5일에 열리지만 올해는 아프리카돼지열병으로 취소됨
☞부평부(富平府)의 관아에 주정(晝停:임금이 거동하는 도중에 점심 수라로 머물러 쉼)하면서 시를 읊다.
桂陽山色極嬋娟(계양산색극선연) : 계양산 빛은 곱다는 말로는 다 못하네
百里秋登上上田(백리추등상상전) : 너른 들판 좋은 땅에 가을 곡식이 가득하고
民富政平斯可矣(민부정평사가의) : 백성이 넉넉하고 정사가 공평하면 그만이니
誰能更續武城絃(수능갱속무성현) : 누가 다시 무성현의 고사를 이을런고
무성현(武城縣)의 고사 : 공자(孔子)의 제자 자유(子游)가 일찍이 무성현의 재(宰)가 되어 예악 교화(禮樂敎化, 예절과 음악으로 교화함)를 숭상했던 것을 이른 말이다. 《論語 陽貨》
원문(정조의 글을 모은 홍재전서) : 부평부치(富平府治) 주정호운(晝停呼韻)
인천으로 가는 도중에 읊어서 부아(관아)에 걸도록 명하고 읍쉬 황운조(인천부사)로 하여금 쓰게 하다.
\na-;▼부평부 지도
\na-;출처: 한국학중앙연구원 , 향토문화전자대전,조선왕조실록,한국고전종합DB,네이버,구글,계양구청, LG,국립고궁박물관,수원문화원
★배다리(舟橋) 건너 노량진 행궁(용양봉저정)
https://jawkoh.blog.me/220348251381
★수원화성 알아보기(2015.7.9)
https://jawkoh.blog.me/220403916823
★수원 화성 박물관(2015.7.11)
https://jawkoh.blog.me/220409377415
★헤경궁 홍씨(정조 모친)의 회갑잔치는 왜 화성행궁에서 열었나(2015.7.14)
https://jawkoh.blog.me/220419200882
★수원 화성 공사보고서 (2015.7.21)
https://jawkoh.blog.me/220422240446
★화성 행차 기록(2015.7.21)
http://jawkoh.blog.me/220424065607
★정조가 사랑한 여인과 자식 묻혔던 효창공원(2018.6.4)
https://jawkoh.blog.me/221287383137
 

 
※ 원문보기
계양구(桂陽區) # 계양산 둘레길 # 부평도호부
【여행】 고재완의 여행을 떠나요
• 김포 장릉산(章陵山) 둘레길
• 정조(正祖) 임금이 휴식한 부평 관아(富平府)
• 계양산 둘레길을 걷다.
▣ 커뮤니티 (참여∙의견)
내메모
페이스북 공유하기 트위터 공유하기
로그인 후 구독 가능
구독자수 : 1
▣ 정보 :
여행 (보통)
▣ 참조 지식지도
▣ 다큐먼트
▣ 참조 정보 (쪽별)
◈ 소유
◈ 참조
 
 
 
▣ 참조정보
백과 참조
 
목록 참조
 
외부 참조
 
▣ 참조정보
©2021 General Libraries 최종 수정일: 2021년 1월 1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