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
|
|
|
|
|
-10일부터 전남도미술대전 대상 작품 10여 점 전시-
|
|
|
|
|
|
|
|
전라남도는 전국 시도가 주최하는 미술공모전 중 가장 오랜 역사를 지닌 전라남도미술대전을 되짚어보기 위해 10일부터 2019년 1월 4일까지 전남도청 갤러리에서 ‘전라남도미술대전 대상작품전’을 개최한다.
|
|
|
|
|
|
|
전라남도 미술대전은 지난 1965년 전통 한국화의 대가 의재 허백련, 남농 허건과 한국적 인상주의를 창출한 오지호 작가 등이 주축이 돼 설립됐다. 올해 54회째로, 그동안 배출된 미술인이 3만 5천여 명에 이르는 등 젊은 작가들의 등용문 역할을 톡톡히 하고 있다. 특히 이 중에는 한국미술을 움직여온 대표작가도 상당수에 이르는 등 한국미술 발전에 크게 기여했다는 평가를 받고 있다.
|
|
|
|
|
|
|
이번 전시회에서는 전통회화의 현대화를 통한 한국미술의 정체성을 찾는데 심혈을 기울여온 전라남도미술대전의 성격을 잘 표현하고, 최근의 경향을 한눈에 보여주는 작품 10여 점을 감상할 수 있다.
|
|
|
|
|
|
|
전시 작품은 2016년부터 2018년까지 전라남도미술대전에서 한국화, 서양화, 수채화, 문인화 분야 대상을 수상한 것이다. 이지수 작가의 ‘고양이의 꿈(2018년 한국화 대상)’은 고양이가 쥐를 잡는 모습과 고양이가 꿈꾸는 구름과 산, 집 등을 다양한 표현 방법으로 보여주고 있다.
|
|
|
|
|
|
|
김시연 작가의 ‘엔션트 빌리지(2018년 수채화 대상)’는 고대 어느 눈 내린 마을의 아침 햇살이 비치는 높은 집, 앞마당, 기와지붕 등을 사실적으로 표현했다. 김경호 작가의 ‘춘몽(2017년 한국화 대상)’은 새로운 생명이 깨어나는 봄의 새싹, 구름, 빛을 추상적으로 그린 작품이다. 성동하 작가의 ‘첫 눈 내리던 날(2017년 서양화 대상)’은 지리산 자락에서 만난 눈덮인 산수유나무를 비구상(추상미술의 한 종류)으로 화면에 담아냈다.
|
|
|
|
|
|
|
박선율 작가의 ‘청음(2016년 한국화 대상)’은 초여름 찬란한 햇살을 받은 계곡과 수목을 그렸다. 김미숙 작가의 ‘현상(2016년 서양화 대상)’은 빌딩숲을 비행하는 종이비행기를 통해 현대사회의 모습을 보여주고 있다.
|
|
|
|
|
|
|
전라남도는 관람객이 쉽고 즐겁게 관람하도록 미술 전문가가 전시작품을 해설해주는 서비스도 한다. 5인 이상 단체 관람객은 누구나 사전에 신청(061-286-5442이메일 cat6666@korea.kr)하면 안내를 받을 수 있다.
|
|
|
|
|
|
|
지난 6월 개관한 전남도청 갤러리는 그동안 2018 전남국제수묵비엔날레 성공 개최를 위한 기획 홍보전, 전남·광주지역 작가 및 미술학과 학생을 대상으로 한 공모를 통해 단체전과 개인전을 7회 개최했다.
|
|
|
|
|
|
|
정석호 전라남도 문화예술과장은 “이번 전시에선 다양한 분야 작가들의 수준 높은 작품세계를 만날 수 있다”며 “지역에서 활동하는 작가와 대학생들이 부담 없이 전시회를 자주 열어 도민과 소통하고 활발한 작품활동을 할 수 있도록 응원하겠다”고 말했다.
|
|
|
|
|
|
|
|
|
|
|
|
※ 원문보기
|
|
|
|
|
|
|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