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
|
|
|
|
|
충청북도는 지난 2018년 12월 31일 기준으로 조사된 곤충산업 실태조사결과 도내 곤충산업 종사자수가 206호 274명이라고 밝혔다.
|
|
|
|
|
|
|
이는 2017년 182호 236명 대비 24호 38명이 늘어난 수치이며 곤충농가의 판매액도 2017년 20.4억원에서 2018년 25.7억원으로 26%가 증가하였다.
|
|
|
|
|
|
|
주요곤충산업 실태를 보면 장수풍뎅이, 사슴벌레, 귀뚜라미는 사육농가수가 줄어든 반면 흰점박이꽃무지, 동애등에는 각각 19농가, 4농가가 늘어나 대비를 이루었다.
|
|
|
|
|
|
|
그리고 곤충사육농가 판매액은 흰점박이꽃무지 7.9억(‘17년대비 28% ↑), 동애등에 9.3억(’17년대비 49%↑)으로 전체 곤충판매액에서 67%로 큰 비중을 차지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특히, 사료용 곤충인 동애등에는 전체 판매액의 36.2%를 차지하고 있어 중요한 산업곤충임을 보여주고 있다.
|
|
|
|
|
|
|
그 외에 곤충관련 행사로 지난해 충북도 농업기술원에서 개최한 반딧불이・곤충산업 축제는 22천명이 방문하여 곤충식품 시식, 곤충체험 등 시민들과 곤충이 친숙할 수 있는 자리가 되었다.
|
|
|
|
|
|
|
안호 축수산과장은 올해 농식품부 국비사업인 사료용 곤충산업화에(사업비: 10억) 충북도가 선정되어 현재 사업을 추진하고 있으며, 금년 완공 될 충북 농업기술원 곤충종자보급센터를 통하여 곤충사육농가들이 우수 종충을 보급 받을 수 있을 것이라고 밝혔다.
|
|
|
|
|
|
|
또한, 앞으로도 열악한 곤충산업 육성을 위하여 곤충사육시설의 현대화사업, 곤충사육 전문인력 육성, 곤충사육농가 시설장비 지원 등 곤충산업 지원사업을 지속적으로 추진하고 다각적인 시책을 발굴하여 곤충산업발전에 밑거름이 될 수 있도록 노력할 것이라고 하였다.
|
|
|
|
|
|
|
|
첨부 :
|
|
|
|
|
|
010601정기(0523) - 충북 곤충산업 성장세 두드러져....hwp
|
|
|
|
|
|
|
|
|
|
|
|
※ 원문보기
|
|
|
|
|
|
|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