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
|
|
|
|
|
① 세계가 인정한 대한민국의 문화유산,‘한국의 서원’
|
|
|
|
|
|
유네스코 세계유산 등재기념 선포식, 영주 소수서원에서개최!
|
|
|
|
|
|
|
경상북도는 20일 영주 소수서원에서 ‘한국의 서원’ 유네스코(UNESCO) 세계유산 등재를 기념하는 선포식을 개최한다고 밝혔다.
|
|
|
|
|
|
|
이날 행사에는 서원 관계자 및 (재)서원통합보존관리단(이사장 이배용), 관련전문가, 해당 지자체 등 1,000여 명이 참석하여 세계유산 등재의 기쁨을 함께 나눈다.
|
|
|
|
|
|
|
7월 6일 아제르바이잔 바쿠에서 열린 제43차 세계유산위원회에서 한국의 서원은 대한민국의 14번째 세계유산으로 등재되었다.
|
|
|
|
|
|
|
국내 대표적인 서원 9곳으로서, 도내 소수·도산·병산·옥산서원과 타 지역의 도동·남계·필암·무성·돈암서원 등이다.
|
|
|
|
|
|
|
이번 등재기념 행사는 국민들과 함께 세계유산 등재를 축하하기 위한 자리로서 마련되었으며, 세계유산 표지석 제막과 등재선포를 통해 우리나라 전통유산의 우수성과 가치를 되새기는 소중한 자리이다.
|
|
|
|
|
|
|
한편, 세계유산으로 등재되기까지 애써주신 해당서원 및 참여전문가, (재)서원통합보존관리단 등의 관계자들에게 공로패와 감사패를 전달함으로써 그간의 노고를 치하하는 시간도 가진다.
|
|
|
|
|
|
|
기념행사 일환으로, 소수박물관에서는 등재기념 특별기획전(’19.9.20 ∼’20.5.31)도 열린다. 소수서원의 세계유산적 가치와 소수서원 배출 인물과 관련한 다양한 자료들을 전시하여 관람객들로부터 많은 호응을 얻을 것으로 보인다.
|
|
|
|
|
|
|
이철우 경상북도지사는 한국의 서원 세계유산 등재를 통해 “선조가 물려주신 문화유산의 소중함을 가슴 깊이 새기는 기회로 삼고, 과거의 교육 기관을 미래 교육의 산실로 이어 가겠다”며 “세계유산을 최다 보유한 광역지자체의 위상에 걸 맞는 체계적인 보
|
|
|
|
|
|
존관리시스템 구축은 물론, 인류와 함께 유산의 가치를 함께 향유할 수 있도록 홍보 및 관광자원화 하는데 힘써 나갈 계획”이라고 밝혔다.
|
|
|
|
|
|
|
※ 행사 후 사진 별첨.
|
|
|
|
|
1. 9개 서원 현황
|
|
|
|
|
|
|
|
|
|
|
|
사적 제55호 (1963.1.21) 영주시 순흥면
|
|
|
|
|
|
|
|
|
|
|
|
∙ 최초의 서원 / 최초의 사액서원
|
|
|
|
|
|
|
|
|
|
|
|
|
사적 제154호 (1967.3.8) 경주시 안강읍
|
|
|
|
|
|
|
|
|
|
|
|
∙ 출판·장서 역할 정립
|
|
|
|
|
|
|
|
|
|
|
|
|
사적 제170호 (1969.5.28) 안동시 도산면
|
|
|
|
|
|
|
|
|
|
|
|
∙ 학문·학파의 전형
|
|
|
|
|
|
|
|
|
|
|
|
|
사적 제260호 (1978.3.31) 안동시 풍천면
|
|
|
|
|
|
|
|
|
|
|
|
∙ 사림 공론장으로 활동 (ex.만인소)
|
|
|
|
|
|
|
|
|
|
|
|
|
사적 제488호 (2007.10.5) 대구시 달성군
|
|
|
|
|
|
|
|
|
|
|
|
∙ 교육방식 양상 입증
|
|
|
|
|
|
|
|
|
|
|
|
|
사적 제499호 (2009.5.26) 경남도 함양군
|
|
|
|
|
|
|
|
|
|
|
|
∙ 두 번째 건립 서원 ∙지역사림이 설립한 최초사례
|
|
|
|
|
|
|
|
|
|
|
|
|
사적 제242호 (1975.4.23) 전남도 장성군
|
|
|
|
|
|
|
|
|
|
|
|
∙ 서남부 확산과정 입증
|
|
|
|
|
|
|
|
|
|
|
|
|
사적 제166호 (1968.12.19) 전북도 정읍시
|
|
|
|
|
|
|
|
|
|
|
|
∙ 성리학의 향촌 확대
|
|
|
|
|
|
|
|
|
|
|
|
|
사적 제383호 (1993.10.18) 충남도 논산시
|
|
|
|
|
|
|
|
|
|
|
|
|
|
|
|
|
|
|
|
|
|
|
|
|
※ 원문보기
|
|
|
|
|
|
|
|
|
|
▣ 정보 :
인문 (보통)
|
|
▣ 참조목록
|
|
|
◈ 소유 ◈ 참조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