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S 여러분! 반갑습니다.    [로그인]
키워드 :
지식놀이터 ::【열린보도자료의 지식창고 제주특별자치도 보도자료
제주특별자치도 보도자료
2019년
  2019년 10월
  10월 31일 (목)
[수시] 4년에 걸친 한라산 기초학술조사 최종보고회 오는 1일 개최
about 제주특별자치도 보도자료
내서재
추천 : 0
제주특별자치도(濟州特別自治道)
(2019.10.31. 19:03) 
◈ [수시] 4년에 걸친 한라산 기초학술조사 최종보고회 오는 1일 개최
ㅁ 한라산 보존을 위한 4년여의 기초학술조사가 완료돼 공개될 예정이다. 【한라산연구부 (064-710-7586)】  2019-10-31 09:59:01
- 한라산의 순차적 형성과정 등 4년에 걸친 연구결과 보고 -
 
ㅁ 한라산 보존을 위한 4년여의 기초학술조사가 완료돼 공개될 예정이다.
 
ㅁ 제주특별자치도 세계유산본부(본부장 고길림)는 「한라산천연보호구역 기초학술조사(이하 학술조사)」 용역 최종보고회를 오는 1일 오후 2시부터 한라수목원 생태학습관 시청각실에서 개최한다고 밝혔다.
 
○ 학술조사는 문화재청의 지원으로 2016년부터 올해까지 4년에 걸쳐 추진됐다.
 
○ 「한라산천연보호구역」보존을 위해 지형‧지질, 동식물, 고기후 등 주요 영향인자에 대한 체계적 기초자료를 확보했으며, 장기적 대응방안 수립의 학술적 토대를 마련하기 위해 진행되었다.
 
○ 한국지질자원연구원(원장 김복철)이 수행한 이번 학술조사는 한라산 천연보호구역(면적 약 92㎢)을 방위별 4등분하여 이뤄졌다.
 
ㅁ 이번 보고회에서는한라산의 지질, 지형 및 침식, 동식물(거미류, 지렁이류, 토양미소동물, 지의류, 버섯류, 수분매개곤충), 식생, 그리고 백록담을 비롯한 한라산 산정분화구 4곳의 고기후 연구결과가 종합적으로 정리ㆍ보고될 예정이다.
 
<주요결과>
 
○ 한라산의 지질과 화산활동사 규명
∙ 백록담 시추 및 연대측정을 통해 한라산 백록담의 형성과정 규명
∙ 아흔아홉골, 삼각봉, 영실, 성판악, 백록담 등 주요 오름 형성시기 확인
∙ 한라산에서 코멘다이트 존재 최초확인
 
○ 한라산 지형 및 침식현황 정량화/공간정보화
∙ 항공 및 지상라이다 촬영으로 정밀지형수치표고모델 최초 구축
∙ 산림, 초지, 하천 등 침식유형별 침식지 및 분포현황 정량화 및 공간정보화
∙ 5개 탐방로 훼손등급 체계적 분류 및 정량화/공간정보화
 
○ 한라산의 새로운 생물자원 발굴
∙ 지렁이(10종), 토양미소동물(1종) 등 신종 발견 및 학회 논문게재
∙ 거미, 지렁이, 버섯, 지의류 등 연구로 43종의 미기록종 발굴
 
○ 산정분화구 퇴적층 연구 통해 제주도 고기후 및 화산분출 확인
∙ 과거 1만년 전 부터 현재까지의 과거 제주도 기후/환경 변화에 대한 고해상도 해석
∙ 특히, 약 3000년 전부터 현재에 이르기까지 점진적 강우증가, 특히 약 1,800년 전 급격한 강수량 증가 확인
∙ 퇴적층 내 다수의 1만년 이내 비교적 젊은 화산활동 흔적 확인
☞ 동아시아 기후/환경 변화 지시자로서의 산정분화구 퇴적층의 학술적 가치 확인
 
○ 한라산의 멸종위기ㆍ고유식물 분포확인 및 기록화
∙ 법정 멸종위기야생식물 13 분류군, 한국고유식물 42분류군 분포확인, 한국미기록식물 ‘한산자리공’ 1종 최초 확인
 
○ 연구결과 논문게재 및 발표
∙ 7편 게재 (지질 1, 동식물 6), 2편 투고 진행중(지질 및 고기후 2)
 
ㅁ 한편, 유산본부는 “지금까지의 연구결과들은 다방면에 기초자료로 활용되고 있다”며 “17년(2차년)도 연구에서 보고된 백록담 동릉 인근 낙석위험구간은 18년(3차년)도 6~7월에 사전 낙석을 제거함으로써 탐방객의 안전에 기여한 바 있다”고 밝혔다.
 
○ 또한 “1~2차년에 구축된 한라산 항공 라이다(Light Detection And Ranging, 레이저를 목표물에 비춰 사물과의 거리 및 다양한 물성을 감지할 수 있는 기술)자료는 구상나무분포 및 고사원인 규명을 위한 정밀지형 기초자료로 활용”되고 있으며, “특히 백록담 시추를 통해 얻어진 퇴적층 시료는 환경부에서 진행 중인 국가수은통합측정망 사업에 연구시료로 제공되기도 했다”고 덧붙였다.
 
ㅁ 고길림 세계유산본부장은 “이번 연구는 각종 모니터링의 기초자료가 되는 정밀수치지형모델 구축을 비롯해, 암석분석 및 연대측정, 침식현상의 등급화 및 공간정보화, 그리고 각 동식물자원의 공간정보화 등 각 분야에 걸쳐 정량화되고 수치화된 자료를 구축했다”며 향후 체계적 한라산 보전관리의 기초자료로 널리 활용 될 것으로 전망했다.
 
○ 아울러 “이후에도 한라산 지질도 구축, 백록담 침식 정밀 모니터링, 한라산 지하 지질구조 조사 등의 다양한 후속 연구들을 지속 추진해 나갈 것”이라며 이후 계획을 밝혔다.
 
 
첨부 :
브리핑_자료(20191031)_한라산 기초학술조사 최종보고회_수정.hwp (13 MBytes)
 

 
※ 원문보기
제주특별자치도(濟州特別自治道)
제주특별자치도 보도자료
• [수시] ‘제10회 제주올레 걷기축제 개막식’ 개최
• [수시] 4년에 걸친 한라산 기초학술조사 최종보고회 오는 1일 개최
• [수시] ‘항파두리 역사문화제’11월 1~2일 진행
▣ 커뮤니티 (참여∙의견)
내메모
페이스북 공유하기 트위터 공유하기
로그인 후 구독 가능
구독자수 : 0
▣ 정보 :
미정의 (보통)
▣ 참조 지식지도
▣ 다큐먼트
▣ 참조 정보 (쪽별)
◈ 소유
◈ 참조
 
▣ 참조정보
백과 참조
 
목록 참조
 
외부 참조
 
▣ 참조정보
©2021 General Libraries 최종 수정일: 2021년 1월 1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