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S 여러분! 반갑습니다.    [로그인]
키워드 :
지식놀이터 ::【열린보도자료의 지식창고 문화체육관광부 보도자료
문화체육관광부 보도자료
2020년
  2020년 6월
  6월 28일 (일)
호사카 유지 교수-소설가 한수산, ‘군함도 전시관’의 역사 왜곡 실상을 말한다
about 문화체육관광부 보도자료
내서재
추천 : 0
문화체육관광부(文化體育觀光部) # 군함도 # 군함도 전시관 # 일본 산업유산정보센터 # 한수산 # 한일 관계 # 호사카 유지
【문화】
(2020.07.04. 09:44) 
◈ 호사카 유지 교수-소설가 한수산, ‘군함도 전시관’의 역사 왜곡 실상을 말한다
한일 관계 전문가인 호사카 유지 세종대 교수와 소설 ‘군함도’ 저자인 한수산 소설가가 6월 29일(월) 오후 4시, 코리아넷* 스튜디오(서울 종로구)에서 특별 대담을 열고 역사를 왜곡한 ‘군함도 전시관’의 문제점을 조목조목 짚는다.【해외문화홍보콘텐츠과 - 황진영 (02-2125-3501)】
- 6. 29. 방송인 정재환 씨 특별 대담 진행, 6. 30. 코리아넷 유튜브 방송 -
 
한일 관계 전문가인 호사카 유지 세종대 교수와 소설 ‘군함도’ 저자인 한수산 소설가가 6월 29일(월) 오후 4시, 코리아넷* 스튜디오(서울 종로구)에서 특별 대담을 열고 역사를 왜곡한 ‘군함도 전시관’의 문제점을 조목조목 짚는다.
 
* 문화체육관광부(장관 박양우, 이하 문체부) 해외문화홍보원(원장 김철민, 이하 해문홍)이 운영하는 정부 대표 해외홍보 매체. 9개 언어(영어, 중국어, 일본어, 스페인어, 아랍어, 불어, 독어, 러시아어, 베트남어)로 한국 관련 뉴스 등을 제공해 전 세계에 한국을 알리고 있다.
 
방송인 정재환 씨가 진행하는 이번 대담은 ‘일본 산업유산정보센터(군함도 전시관), 무엇이 문제인가’를 주제로 다룬다.
 
호사카 교수는 일본 정부가 2015년 군함도 등 23개 산업유산 시설을 유네스코 세계 유산에 등재하는 과정에서 국제사회에 했던 약속을 소개하고 구체적으로 어떤 약속이 지켜지지 않았는지 설명한다. 일본 정부의 태도가 돌변한 이유와 국제 사회의 비난을 무릅쓰고 약속을 파기한 속내 등도 분석한다. 산업유산정보센터가 군함도가 있는 나가사키가 아니라 도쿄 시내에 자리 잡은 이유에 대해서도 설명할 예정이다.
 
‘군함도’를 집필하기 위해 하시마에 강제 징용된 조선인들의 비극을 취재한 한수산 작가는 ‘군함도 전시관’의 전시물이 역사를 어떻게 왜곡하고 있는지 알기 쉽게 설명한다. 그는 지난 2016년에 일제강점기 일본 하시마(瑞島)에 강제 징용된 조선인들의 고난을 생생하게 담은 장편소설 ‘군함도’를 출간한 바 있다.
 
진행자 정재환 씨도 군함도의 참상을 눈으로 목격한 경험을 공유한다. 정 씨는 일본 규슈 지역에 있는 한일 관계 역사 현장을 답사하며 보고 듣고 느낀 점을 진솔하게 기록해 출간한 ‘큐우슈우 역사 기행’을 집필하는 과정에서 ‘군함도’를 직접 방문한 적이 있다.
 
특별 대담은 6월 30일(화) 해문홍 누리집(www.kocis.go.kr)과 코리아넷 유튜브 채널(www.youtube.com/user/GatewayToKorea)을 통해 방송된다.
 
해문홍 김철민 원장은 “이번 대담은 최근 일반에 공개된 도쿄 ‘산업유산정보센터’의 전시물이 어떻게 역사를 왜곡하고 있는지 알리기 위해 마련했다.”라고 밝혔다.
 
 
호사카 교수, 미국 외교 전문지에 군함도 전시관 문제점 비판 칼럼 게재
 
한편 호사카 교수는 6월 25일(현지 시간) 미국 외교 전문지 ‘더 디플러맷'(The Diplomat)에 군함도 전시관의 문제점을 비판하는 칼럼을 게재했다. 호사카 교수는 ‘일제 강점기 하시마 섬에서 한국인들에게 가해진 일본의 만행을 기억한다(Remembering Japan’s Colonial Abuses Against Koreans on Hashima Island)’라는 제목의 칼럼에서 “일본은 하시마 섬에서 심하게 차별을 받았다는 수많은 조선인들의 증언을 외면하지 말아야 한다.”라고 지적했다. 호사카 교수의 칼럼은 정부 대표 해외홍보 매체인 코리아넷에도 게재됐고 해문홍 누리집에서는 한글로 된 칼럼을 볼 수 있다.
 
 
붙임 칼럼-일제 강점기 하시마 섬에서 한국인들에게 가해진 일본의 만행을 기억한다(호사카 유지 교수)
 

 
붙임. 일제 강점기 하시마 섬에서 한국인들에게 가해진 일본의 만행을 기억한다(호사카 유지 교수)
 
일본이 지난 15일 일반에 공개한 ‘산업유산정보센터’는 2015년 7월 한일 간 합의를 어긴 부당한 내용을 포함하고 있다. 일본은 2015년 7월 나가사키(長崎) 군함도 등 ‘메이지 일본의 산업혁명 유산 23군데’를 유네스코 세계 문화유산에 등록하는 데 성공했다. 23군데 중 7군데가 일제강점기에 조선인들이 일제에 의해 강제연행 되어 강제노동에 시달린 시설이었기 때문에 한국 정부는 이 시설들이 세계문화유산으로 등록되는데 반대했다. 일본 정부가 조선인 강제징용의 사실을 적절하게 전시하겠다고 약속해 한국 측은 일본 측 시설들의 세계문화유산 등록에 동의했다.
 
그런데 일본 정부는 2년 이내에 조선인 강제징용이라는 역사적 사실을 전시하겠다는 약속을 어겼을 뿐만 아니라 거의 5년이 지난 2020년 6월 15일 도쿄 신주쿠(新宿)구에 자리한 ‘산업유산정보센터’를 일반에 공개했다. 이 센터는 일본 정부가 지원하는 재단법인 ‘산업유산국민회의’가 운영한다.
 
문제가 되는 부분은 나가사키시 소재 하시마 섬(端島=군함도) 탄광에서 한반도 출신자에 대한 차별이 없었다는 전 주민들의 증언 등이 전시・소개된 사실이다. 이 전시물의 의도에는 일제강점기에 조선인 노동자들을 징용했지만 그것은 합법이었다는 논리가 깔려 있다. 전쟁 시 같은 비상사태에서는 국민들을 강제동원하는 것은 국제법에서도 인정된다는 논리를 일본 측이 내세우고 있다. 그리고 당시 조선인도 일본국적자였으니 일본법에 따르는 것은 당연했다고 강변한다.
 
일제강점기에 조선인들은 일본 국적을 가졌을 뿐, 일본인과 같은 법적 대우를 받지 못했다. 당시 조선과 중국, 대만 그리고 일본은 서로 다른 법역(법적 구역)이었다. 법역의 차이에서 오는 여러 가지 차별이 조선과 중국, 대만 등 일본의 식민지에서는 따라다녔다. 그 한 사례는 조선인 등 외지인(外地人)들에게는 보통선거권이 주어지지 않았다는 점이다. 1945년 4월 외지인에도 일본 내지의 국정선거 참정권이 주어진다고 결정됐지만 결국 시행되지 않았다. 조선인이나 중국인, 대만인들에는 일본국민으로서의 의무만을 요구했고 권리는 주지 않았다는 것이 일제 차별정책의 핵심이었다.
 
일제는 탄광노동이라는 가장 힘든 일에 조선인, 중국인, 대만인, 전쟁포로들을 동원했다. 미국인 포로로 일본의 탄광노동에 투입된 사람들은 탄광 갱도로 들어가서 일을 하면 죽는다는 생각에 계속 자해를 해 갱도 안으로 들어가지 않으려 했다는 생생한 증언을 해 화제가 되기도 했다.
 
힘든 탄광노동을 하려는 일본인들이 거의 없었기 때문에 일본에서 탄광노동은 죄수노동으로 시작된 역사가 있다. 규슈의 미이케(三池) 탄광 등 큰 탄광에서는 초기에 무기징역 이상의 판결이 확정된 죄수들을 탄광 노동에 투입했다. 비인간적인 대우에 항의해 죄수들이 수차례 탄광에서 폭동을 일으켰기 때문에 관리자들이 죄수들을 폭행, 살해하는 등 상당한 인권침해가 일어났다. 그러자 탄광 죄수노동이 대부분 중지되었다. 이후 탄광회사들은 일본의 극빈층을 모집했으나 그것도 여의치 않자 조선인 등 식민지 사람들과 전쟁포로들을 탄광에 투입하기로 결정했다. 처음부터 일본인을 대신해 조선인, 중국인, 대만인, 전쟁포로들 등을 희생양으로 삼은 것이 전쟁시 강제 징용의 실태인 것이다.
 
힘든 노동 때문에 탄광으로 연행된 조선인들의 약 70%는 도주했다는 통계가 있다. 조선인들이 도주할 경우 이들의 강제저축은 모두 회사가 가로챘다. 일본인들은 저축통장과 도장을 본인이 갖고 있었으나 조선인 노동자들의 통장과 도장은 감독관이 갖고 있어 도주나 중도퇴직 시에는 모두 회사의 돈으로 회수되었다.
 
하시마 섬 상황은 더욱 비참했다. 하시마 섬에서 탈출하기 위해서는 바다를 18km 이상 헤엄쳐야 했다. 이 때문에 도주하다가 익사한 사람들이 많았다. 도주하지 못한 사람들은 심한 강제노역에 시달렸다. 군함도에서 감독관을 지낸 고사코 마사유키(小迫正行)씨는 1973년 10월 25일 아사히신문 나가사키(長崎)판 인터뷰를 통해 군함도에서 조선인들을 차별했다고 증언했다. “나도 조선에 모집하러 갔고 강제적으로 조선인들을 연행했다. (중간 생략) 우리는 중국인, 대만인이나 조선인들을 평소 차별했다. (중간 생략) 전쟁 시 탄광에서는 군대는 비교가 안 될 정도로 힘든 노동을 시켰다. 도주하다 바다에서 익사하는 사람들이 있었다. 조선인들의 보복을 두려워해서 패전했을 때 먼저 비밀리에 중국인, 대만인과 조선인을 감독한 사람들을 섬에서 피신시켰다.”
 
이번에 일반에 공개된 정보센터에는 조선인 차별이 없었다는 증언만이 전시됐다. 아버지가 하시마 섬 탄광에서 일했다고 하는 재일 조선인 2세는 “괴롭힘을 당했다든가 손가락질로 ‘저건 조선인이야’라는 말은 들은 적이 없다”고 증언했다. 그의 아버지는 감독관이었다고 한다. 감독관 지위가 주어지는 조선인은 당시 일본으로 본적을 옮긴 사람이었고 본적이 일본이면 일본인 대우를 받았다. 법역으로 대우를 결정한 것이 당시 일본 정책이었기 때문이다. 일본인이라도 조선에 본적이 있다면 그는 조선인의 법적 지위를 가졌다. 그러므로 조선인이라고 해도 일본인 대우를 받았을 가능성이 있는 사람의 후손 증언만을 전시하는 것 자체가 역사왜곡행위다. 일본은 하시마 섬에서 심하게 차별을 받았다는 수 많은 조선인들의 증언을 외면하지 말아야 한다.
 
일본 정부가 도쿄에 정보센터를 연 이유에는 정치적 의도가 있다고 하지 않을 수 없다. 원래는 2020년 7월 개최될 예정이었던 도쿄올림픽 때 외국인 관광객을 겨냥해서 도쿄에 문을 연 것이 아닌가 의심스럽다. 현재 한일 간 대립되고 있는 강제징용 판결 문제를 일본 측에 유리하게 만들 목적으로 이번 정보센터를 개관한 것이 아닌가 싶다. 그러나 아무리 왜곡해도 역사적 진실은 밝혀지기 마련이다. 일본은 역사 왜곡으로 국가적 위상을 계속 떨어뜨리고 있음을 깨달아야 할 것이다.
 

 
※ 원문보기
문화체육관광부(文化體育觀光部) # 군함도 # 군함도 전시관 # 일본 산업유산정보센터 # 한수산 # 한일 관계 # 호사카 유지
【문화】 문화체육관광부 보도자료
• 프로스포츠 관중 제한적 입장 허용
• 호사카 유지 교수-소설가 한수산, ‘군함도 전시관’의 역사 왜곡 실상을 말한다
• 2021년 반다비체육센터 25개소 공모
▣ 커뮤니티 (참여∙의견)
내메모
페이스북 공유하기 트위터 공유하기
로그인 후 구독 가능
구독자수 : 0
▣ 정보 :
문화 (보통)
▣ 참조 지식지도
▣ 다큐먼트
▣ 참조 정보 (쪽별)
◈ 소유
◈ 참조
 
 
 
 
 
 
 
▣ 참조정보
백과 참조
 
목록 참조
 
외부 참조
 
▣ 참조정보
©2021 General Libraries 최종 수정일: 2021년 1월 1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