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S 여러분! 반갑습니다.    [로그인]
키워드 :
지식놀이터 ::【열린보도자료의 지식창고 인천광역시 보도자료
인천광역시 보도자료
2019년
  2019년 3월
  3월 26일 (화)
시민이 중심이 되는 살기좋은 더불어 마을로 성장!
about 인천광역시 보도자료
내서재
추천 : 0
인천 광역시(仁川廣域市)
(2019.05.31. 23:19) 
◈ 시민이 중심이 되는 살기좋은 더불어 마을로 성장!
2019 더불어 마을 희망지 사업지 9개소 선정, 개소당 6천5백만원 지원
【도시재생건설국 주거재생과 - 이상준 (032-440-3477)】
○ 인천시(시장 박남춘)는 ‘희망지사업선정위원회’를 개최하여 원도심을 살아 숨 쉬게 하는 인천형 도시재생 더불어 마을 희망지 사업 대상지로 9개소를 선정했다.
 
○ 희망지 사업은 정비구역 해제지역과 노후저층주거지 밀집지역을 대상으로 주민역량강화, 주민공동체 형성을 통하여 인천형 도시재생사업인 더불어 마을의 준비단계 사업으로 지난해에는 9개사업운 선정 추진되었으며, 올해에는 지난 1월말에 ‘희망지 사업’ 공모를 거쳐 3월초에 주민제안서를 자치군·구에서 접수 받았다.
 
○ 주민중심의 거버넌스를 구축하여 사업 초기부터 주민이 직접 참여하여 스스로 계획을 결정하는 과정을 통해 마을계획을 수립하고, 지역맞춤형 사업을 발굴하여 원도심의 노후 저층주거지에 희망을 불어 넣는 것이 사업의 핵심으로 주민 스스로 계획하여 7개 구에 사업제안 하였고, 제안된 내용은 자치구의 검토를 거쳐 희망지사업 11개소가 최종 접수 되었다.
 
○ 올해 희망지 사업은 9개소로 대상지 선정을 위한 위원회를 구성하여 2단계로 운영하였다.
 
○ 1단계로는 건축, 도시계획, 문화, 시민분야 전문가 5인으로 구성한 희망지사업선정위원회에서 지난 18일과 20일 이틀에 걸쳐 현장실사와 정량평가를 하였다. 평가위원은 사업신청대상지 전부를 직접 현장확인하고, 사업을 제안한 주민대표로부터 사업의 필요성과 시급성을 청취하였으며, 자치구의 사업 지원계획도 평가했다.
 
○ 2단계로는 앞으로 주민공모사업의 실행단계로서 주민 스스로 참여․계획하여 구체적인 사업계획을 수립․실행하는 것이다
 
○ 사업 구역별로 최대 6,500만원의 사업비가 지원되며, 주민들의 공동체 형성과 소통을 위한 현장거점공간과 전문가인 총괄계획가와 마을활동가를 지원할 예정이다.
 
○ 또한, 도시재생에 대한 공감대를 형성하고 주민역량을 강화하기 위한 희망지 사업은 도시재생, 주민공동체 활성화, 주민역량강화 분야의 전문지식과 인문․사회․경제적 기반을 보유한 지원단체를 주민모임과 연계하여 그 사업의 실효성을 높일 계획이다.
 
○ 시는 지속적인‘희망지 사업’추진을 통해 주민역량을 강화하고, 마을공동체를 활성화하여 주민과 함께 원도심 노후 저층주거지역에 대한 다양한 문제를 발굴하고, 적극적 해결방안을 모색하여 원도심 주민과 더불어 잘 살 수 있는 인천형 시민 중심의 마을 재생에 역량을 집중 할 방침이다.
 
○ 권혁철 주거재생과장은 “이번 주민제안 공모사업인 희망지 사업은 주민 주도 사업으로 지속가능성 확보를 위한 주민의 역할이 중요함을 주민이 인식하고 적극적인 관심과 참여로 사업이 성공적으로 추진되길 기대한다.”며, “원도심의 정비구역 해제지역 관리와 노후저층주거지 개선을 위한 정주여건 개선, 지역경제 및 마을공동체 활성화 등을 통해 원도심에 새로운 희망을 불어 넣을 것이다”고 말했다.
 
※ 관련사진 별첨
 
 
 
첨부 :
(2)3. 시민이 중심이 되는 살기 좋은 더불어 마을로 성장(희망지사업 선정).hwp
(2)3-1. 현장 사진자료.zip
 

 
※ 원문보기
인천 광역시(仁川廣域市)
인천광역시 보도자료
• 인천시, 26개 유관기관 민관협의회 봄철 식중독 예방에 힘모았다.
• 시민이 중심이 되는 살기좋은 더불어 마을로 성장!
• 인천 수출지원 기관 총출동 수출촉진 앞장선다
▣ 커뮤니티 (참여∙의견)
내메모
페이스북 공유하기 트위터 공유하기
로그인 후 구독 가능
구독자수 : 0
▣ 정보 :
미정의 (보통)
▣ 참조 지식지도
▣ 다큐먼트
▣ 참조 정보 (쪽별)
◈ 소유
◈ 참조
 
▣ 참조정보
백과 참조
 
목록 참조
 
외부 참조
 
▣ 참조정보
©2021 General Libraries 최종 수정일: 2021년 1월 1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