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
|
|
|
|
|
|
|
|
|
|
|
|
|
경상남도, 지역에너지계획 착수보고회 개최
|
|
|
|
|
|
- 제6차 경상남도 지역에너지계획 수립 용역 착수
|
|
|
|
|
|
- 2020년부터 2024년까지 중기 및 2040년까지 장기 비전∙목표 포함
|
|
|
|
|
|
|
|
|
|
|
|
경상남도는 5월 31일 ‘제6차 경상남도 지역에너지계획 수립 용역 착수보고회’를 개최하여 본격적인 중장기 에너지 마스터플랜 수립에 나섰다.
|
|
|
|
|
|
|
|
|
|
|
|
지역에너지계획은 국가 에너지 관련 최상위 계획인 에너지기본계획의 효율적인 달성을 위해 수립하는 광역지자체 단위 에너지 종합계획으로, 에너지법에 근거를 두고 5년 주기로 수립하는 법정계획이다.
|
|
|
|
|
|
|
|
|
|
|
|
용역의 공간적 범위는 경상남도 행정구역 일원이며, 5개년 실행 계획과 함께 2040년까지의 지역 에너지에 대한 장기 비전 및 목표를 제시해야 한다.
|
|
|
|
|
|
|
|
|
|
|
|
또한 경상남도는 국내외 여건과 지역의 특성을 고려한 안정적인 에너지 공급, 최적의 에너지 수요관리, 신재생에너지 보급 확대, 에너지 절감을 통한 온실가스 감축, 지역 산업과 연계한 에너지 신산업 육성 등 에너지 분야 전반에 대한 중장기 에너지 전략을 마련한다는 방침이다.
|
|
|
|
|
|
|
|
|
|
|
|
앞서 경상남도는 2018년 정부의 재생에너지 3020 이행 계획에 따라 신재생에너지 보급에 선도적으로 대응하기 위해 ‘경상남도 신재생에너지 종합계획’을 수립한 바 있다. 이번 제6차 지역에너지계획은 경상남도에서 기존에 시행하고 있는 중장기 종합계획과 연계하여 일관성 있고 체계적으로 수립할 예정이다.
|
|
|
|
|
|
|
|
|
|
|
|
올해 6월에 수립될 정부의 제3차 에너지기본계획에 따르면 재생에너지 계획입지제도 도입 등 에너지 수급과정에서 지역의 역할을 강화하고, 지역에너지계획 내실화 등을 통해 지역 사회와 지자체의 책임과 역할을 확대한다는 계획이다.
|
|
|
|
|
|
|
|
|
|
|
|
이에 따라 경상남도는 계획 수립 과정에서 시나리오 워크숍, 의견수렴 등을 통해 시민 참여를 유도하고 주민수용성을 확보하는 등 숙의적인 방식의 주민참여 방법을 적극 활용하여 실효성 있는 지역에너지계획을 마련할 방침이다.
|
|
|
|
|
|
|
|
|
|
|
|
한편, 경상남도 관계자는 “수소생산기지 구축, 수소차 보급, 해상풍력발전, 산업단지조합형∙영농형 태양광 보급 등 경상남도가 역점적으로 추진하고 있는 사업과 함께 도민들의 참여를 기반으로 경남 지역의 특수성이 반영된 에너지 중장기 로드맵을 제시할 수 있도록 최선을 다하겠다”고 밝혔다.
|
|
|
|
|
|
|
|
|
|
|
|
|
|
|
|
|
|
※ 원문보기
|
|
|
|
|
|
|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