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S 여러분! 반갑습니다.    [로그인]
키워드 :
경기체가
2019년 6월
2019년 6월 23일
2019년 6월 22일
오륜가(五倫歌)
2019년 6월 21일
about 경기체가
[광고]
[100 세트 한정] 행운의 2달러 스타노트+네잎클로버 컬렉션 35% 19,800원 12,800원
경기체가(景幾體歌) 악장가사(樂章歌詞) 오륜가(五倫歌)
【학습】
(2019.06.22. 23:15) 
◈ 오륜가(五倫歌)
조선 세종 때 지은 것으로 추정되는 작자 미상의 경기체가. ≪악장가사 樂章歌詞≫에 전하며, ≪악학편고 樂學便考≫에도 실려 있다. 이 작품은 ≪악장가사≫에 전하는 것으로 보아 궁중의 연향(宴享)에 쓰인 악장의 하나로 보인다.
목   차
[숨기기]
제1장을 들어보면 다음과 같다.
 
判陰陽 位高下 天尊地卑
판음양 위고하 텬존지비
生萬物 厚黎民 代作聖賢
沂만물 후려민 倨쟉성현
仁義禮智 三綱五常 秉彛之德
인의례디 삼강오샹 병이지덕
위 萬古流行○景 긔엇더悧니잇고
만고류里 경
伏羲神農 皇帝堯舜
복희신롱 황뎨요순
伏羲神農 皇帝堯舜
복희신롱 황뎨요순
위 立極○景 긔엇더悧니잇고 (제1장)
 
입극 경
음양이 나뉘고 고하가 자리잡으니 하늘은 높고 땅은 낮도다.
만물이 생겨나고 백성은 불어나니 대대로 성현이 나시도다.
인의예지·삼강오상, 영원히 변치 않고 지키는 덕,
아, 만고에 행해지는 아름다움, 그 어떠합니까?
복희씨와 신농씨 요임금 순임금,
복희씨와 신농씨 요임금 순임금,
아, 도를 확고히 세운 아름다움, 그 어떠합니까? (현대어 해석)
 
=====
 
 

1. 요점정리

• 갈래 : 경기체가
• 연대 : 조선 초기 세종
• 작자 : 미상
• 주제 : 유학(儒學)의 오륜(五倫)을 5장(章)에 나누어 읊음
• 의의 : 오륜(五倫)은 오교(五敎)라고도 한다. 인생에 있어 대인관계를 5가지로 정리하여 서로 지켜야 할 의무를 규정한 것으로, 오상(五常)과 함께 유교 윤리설의 근본을 이룬다. 《맹자(孟子)》에는 부자(父子) ·군신(君臣) ·부부(夫婦) ·장유(長幼) ·붕우(朋友)의 관계와 이와 대응해 친(親) ·의(義) ·별(別) ·서(序) ·신(信)을 규정하고 있다. 《중용(中庸)》에서는 이것을 오달도(五達道)라 이르고, 군신관계(君臣關係)를 중시하여 첫째로 들었으며, 이하 부자 ·부부 ·곤제(昆弟) ·붕우의 순서로 꼽는다. 이것은 당시의 왕조체제를 굳건히 하는 이념으로 크게 작용했다.
 
 

2. 내용연구

형식은 전형적인 율격 양식을 준수하고 있다.
 
1장 서장
2장 오륜을 지켜나가는 떳떳한 도리가 만고를통하여 이어져 흐르는 모습
3장 부모를 봉양하고 문안드리는 광경
4장 임금에게 충성을 다함으로써 태평성대가이룩된 모습
5장 부부가 화합하는 모습
6장 형제가 의리로써 사양하는 광경을 각각자랑스럽고 훌륭한 모범으로 과시
 
 

3. 이해와감상

조선 세종 때 지은 것으로 추정되는 작자 미상의 경기체가. ≪악장가사 樂章歌詞≫에 전하며, ≪악학편고 樂學便考≫에도 실려 있다. 이 작품은 ≪악장가사≫에 전하는 것으로 보아 궁중의 연향(宴享)에 쓰인 악장의 하나로 보인다.
형식은 경기체가의 전형적인 율격양식을 준수하고 있으며, 총 6장으로 구성되어 있다. 1장은 서장에 해당하고, 나머지 5장에서 오륜을 하나씩 노래하였다.
‘오륜가’는 유교윤리의 중추적 바탕이 되는 다섯가지 기본 항목인 오륜을 일반인에게 널리 보급시켜 함께 향유하기 위하여 노래로 풀이한 작품을 총칭하는 일반적인 용어이다.
그러나 경기체가로 된 것은 이 노래뿐이다. 부자·군신·부부·장유(형제)·붕우 사이의 상호존경·상호애정·상호평등·상호질서·상호조화를 지향하면서도 상하·존비·귀천의 차별을 인정함으로써 가부장적인 가정질서 및 사회질서를 확립하려는 의도로 지어졌다. 따라서, 수직적 인간윤리관계를 객관화하여 규범으로 강조하고자 하는 것이 주제이다.
이 작품은 조선의 건국 초기에 국가의 안정을 다지고 그 질서의 확립을 확인하는 작품으로써, 중기 이후에는 안정과 질서회복을 호소하고 설득하는 작품으로써 왕조의 체제를 굳건히 하는 데 일정한 기여를 했다고 볼 수 있다. 작품의 제1장을 들어보면 다음과 같다.
 
判陰陽 位高下 天尊地卑
판음양 위고하 텬존지비
生萬物 厚黎民 代作聖賢
沂만물 후려민 倨쟉성현
仁義禮智 三綱五常 秉彛之德
인의례디 삼강오샹 병이지덕
위 萬古流行○景 긔엇더悧니잇고
만고류里 경
伏羲神農 皇帝堯舜
복희신롱 황뎨요순
伏羲神農 皇帝堯舜
복희신롱 황뎨요순
위 立極○景 긔엇더悧니잇고 (제1장)
 
입극 경
음양이 나뉘고 고하가 자리잡으니 하늘은 높고 땅은 낮도다.
만물이 생겨나고 백성은 불어나니 대대로 성현이 나시도다.
인의예지·삼강오상, 영원히 변치 않고 지키는 덕,
아, 만고에 행해지는 아름다움, 그 어떠합니까?
복희씨와 신농씨 요임금 순임금,
복희씨와 신농씨 요임금 순임금,
아, 도를 확고히 세운 아름다움, 그 어떠합니까? (현대어 해석)
 
1장은 오륜을 지켜나가는 떳떳한 도리가 만고를 통하여 이어져 흐르는 모습을, 2장은 부모를 봉양하고 문안드리는 광경을 노래한 것이다. 3장에서는 임금에게 충성을 다함으로써 태평성대가 이룩된 모습을 읊었고, 4장에서는 부부가 화합하는 모습을 담고 있다.
5장은 형제가 의리로써 사양하는 광경을 각각 노래하였다. 이 노래는 경기체가 특유의 신념에 찬 어법을 통해, 중세의 질서이념인 삼강오륜을 행동으로 옮겨 실천할 것을 호소하고 있다 하겠다.
 
≪참고문헌≫ 高麗歌謠의 硏究(李明九, 新雅社, 1974), 鮮初樂章文學硏究(조규익, 崇實大學校出版部, 1990), 儒敎道德樂章考(金倉圭, 崔正錫博士 回甲紀念論叢, 曉星女子大學校出版部, 1984).(출처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4. 심화자료

삼강오륜(三綱五倫)
 
삼강은 군위신강(君爲臣綱) ·부위자강(父爲子綱) ·부위부강(夫爲婦綱)을 말하며 이것은 글자 그대로 임금과 신하, 어버이와 자식, 남편과 아내 사이에 마땅히 지켜야 할 도리이다. 오륜은 오상(五常) 또는 오전(五典)이라고도 한다. 이는 《맹자(孟子)》에 나오는 부자유친(父子有親) ·군신유의(君臣有義) ·부부유별(夫婦有別) ·장유유서(長幼有序) ·붕우유신(朋友有信)의 5가지로, 아버지와 아들 사이의 도(道)는 친애(親愛)에 있으며, 임금과 신하의 도리는 의리에 있고, 부부 사이에는 서로 침범치 못할 인륜(人倫)의 구별이 있으며, 어른과 어린이 사이에는 차례와 질서가 있어야 하며, 벗의 도리는 믿음에 있음을 뜻한다. 삼강오륜은 원래 중국 전한(前漢) 때의 거유(巨儒) 동중서(董仲舒)가 공맹(孔孟)의 교리에 입각하여 삼강오상설(三綱五常說)을 논한 데서 유래되어 중국뿐만 아니라 한국에서도 과거 오랫동안 사회의 기본적 윤리로 존중되어 왔으며, 지금도 일상생활에 깊이 뿌리박혀 있는 윤리 도덕이다.
경기체가(景幾體歌) 악장가사(樂章歌詞) 오륜가(五倫歌)
【학습】 경기체가
• 육현가 (六賢歌)
• 오륜가(五倫歌)
• 연형제곡(宴兄弟曲)
【작성】 이완근 이학준의 희망의 문학
추천 : 0
▣ 커뮤니티 (참여∙의견)
내메모
[광고]
제주 클레르 드 륀 펜션 제주시 애월읍, M 010-6693-3704
페이스북 공유하기 트위터 공유하기
로그인 후 구독 가능
구독자수 : 0
▣ 정보 :
학습 (보통)
▣ 참조 지식지도
▣ 다큐먼트
▣ 참조 정보 (쪽별)
◈ 소유
◈ 참조
 
 
 
▣ 참조정보
백과 참조
 
목록 참조
 
외부 참조
 
▣ 참조정보
©2021 General Libraries 최종 수정일: 2021년 1월 1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