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S 여러분! 반갑습니다.    [로그인]
키워드 :
경기체가
2019년 6월
2019년 6월 23일
2019년 6월 22일
태평곡(太平曲)
2019년 6월 21일
about 경기체가
[광고]
[100 세트 한정] 행운의 2달러 스타노트+네잎클로버 컬렉션 35% 19,800원 12,800원
1544년 경기체가(景幾體歌) 주세붕(周世鵬) 죽계지(竹溪誌) 태평곡(太平曲)
【학습】
(2019.06.22. 23:36) 
◈ 태평곡(太平曲)
조선 중종 때 주세붕(周世鵬)이 지은 경기체가. 전 5장. 1541년(중종 36)에서 1544년 사이에 지어진 것으로 1544년 작자가 편찬한 ≪죽계지 竹溪誌≫에 수록되었고, 그의 문집인 ≪무릉잡고 武陵雜稿≫(別集 권8)에도 실려 있다.
목   차
[숨기기]
 

1. 요점정리

• 갈래 : 경기체가
• 연대 : 조선 중종
• 작자 : 주세붕
• 주제 : 성군현신들의 치국과 치민을 찬양
 
 

2. 내용정리

기본 형태를 유지하고 있으나, 제1,2,5장에서는변격의 장형화 양상르 보여주기도 한다. 경기체가라 하나, 이 무렵에 와서는 그 전형적인 형식이 허물어져 거의 가사(歌辭) 형태에 가까운 것으로 되었다. 작자의 《죽계지(竹溪誌)》에 실려 전한다.
 
 

3. 이해와 감상

조선 중종 때 주세붕(周世鵬)이 지은 경기체가. 전 5장. 1541년(중종 36)에서 1544년 사이에 지어진 것으로 1544년 작자가 편찬한 ≪죽계지 竹溪誌≫에 수록되었고, 그의 문집인 ≪무릉잡고 武陵雜稿≫(別集 권8)에도 실려 있다. 내용은 태평성세를 이룩하였던 옛 중국의 성군현신(聖君賢臣)들의 치국과 치민을 찬양하는 것이다.
〈도동곡 道東曲〉·〈엄연곡 儼然曲〉·〈육현가 六賢歌〉와 마찬가지로 ‘4·4/4·4/偉……景幾何如’의 형태를 기본으로 하고 있으나, 제1·2·5장에서는 변격의 장형화 양상을 보여주기도 한다.
주세붕은 도(道)의 실천을 통하고 고대의 성세를 후대에도 재현할 수 있다고 믿었는데, 시가는 곧 ‘스스로를 닦고 풍속을 교화하는 방편(修己化俗之方)’으로서의 공리적(功利的)효용을 가지기 때문에, 이를 통하여 도를 구현함으로써 고대의 이상적인 치세를 재현하고자 하였다.
이러한 뜻에서 지어진 것이 그의 경기체가 4편(도동곡·엄연곡·태평곡·육현가)과 시조 14조이다. 따라서 그의 시가들은 오직 교훈적인 내용에만 치중되었을 뿐 서정성이나 예술성은 무시되고 있다.
 
≪참고문헌≫ 大東野乘, 海東雜錄, 武陵雜稿, 竹溪誌, 高麗歌謠의 硏究(李明九, 新雅社, 1973), 景幾體歌의 構造硏究(成昊慶, 國文學硏究 49, 서울大學校國文學硏究會, 1980).(출처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1544년 경기체가(景幾體歌) 주세붕(周世鵬) 죽계지(竹溪誌) 태평곡(太平曲)
【학습】 경기체가
• 한림 별곡(翰林別曲)
• 태평곡(太平曲)
• 죽계별곡(竹溪別曲)
【작성】 이완근 이학준의 희망의 문학
추천 : 0
▣ 커뮤니티 (참여∙의견)
내메모
[광고]
제주 클레르 드 륀 펜션 제주시 애월읍, M 010-6693-3704
페이스북 공유하기 트위터 공유하기
로그인 후 구독 가능
구독자수 : 0
▣ 정보 :
학습 (보통)
▣ 참조 지식지도
▣ 다큐먼트
▣ 참조 정보 (쪽별)
◈ 소유
◈ 참조
 
 
 
 
 
▣ 참조정보
백과 참조
 
목록 참조
 
외부 참조
 
▣ 참조정보
©2021 General Libraries 최종 수정일: 2021년 1월 1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