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
|
|
형장(刑杖) 태장(笞杖) 삼(三)모진 도리매로
|
|
|
|
|
|
하날치고짐작(斟酌)할까 둘을 치고 그만 둘까
|
|
|
|
|
|
삼십도(三十度)에 맹장(猛杖)하니일촌간장(一村肝臟) 다 녹는다
|
|
|
|
|
|
걸렸구나 걸렸구나 일등춘향(一等春香)이 걸렸구나
|
|
|
|
|
|
사또분부(使道吩付) 지엄(至嚴)하니 인정(人情)일랑 두지 마라
|
|
|
|
|
|
국곡투식(國穀偸食) 하였느냐 엄형중치(嚴刑重治)는 무삼 일고
|
|
|
|
|
|
살인도모(殺人圖謀) 하였느냐항쇄족쇄(項鎖足鎖)는 무삼 일고
|
|
|
|
|
|
관전발악(官前發惡)하였느냐 옥골최심(玉骨 甚)은무삼 일고
|
|
|
|
|
|
불쌍하고 가련(可憐)하다 춘향 어미가 불쌍하다
|
|
|
|
|
|
먹을것을 옆에다 끼고 옥 모퉁이로 돌아들며
|
|
|
|
|
|
몹쓸 년의 춘향이야 허락 한마디 하려무나
|
|
|
|
|
|
아이구 어머니 그 말씀 마오 허락이란 말이 웬 말이오
|
|
|
|
|
|
옥중에서 죽을망정 허락하기는 나는 싫소
|
|
|
|
|
|
새벽 서리 찬 바람에 울고 가는 기러기야
|
|
|
|
|
|
한양성내(漢陽城內) 가거들랑 도련님께 전하여 주렴
|
|
|
|
|
|
날 죽이오 날죽이오 신관사또(新官使道)야 날 죽이오
|
|
|
|
|
|
날 살리오 날 살리오 한양낭군(漢陽郞君)님 날 살리오
|
|
|
|
|
|
옥 같은 정갱이에 유혈(流血)이 낭자(狼藉)하니 속절없이나 죽겠네
|
|
|
|
|
|
옥 같은 얼굴에 진주 같은 눈물이 방울방울방울 떨어진다
|
|
|
|
|
|
석벽강상(石壁江上) 찬 바람은 살 쏘듯이 드리불고
|
|
|
|
|
|
벼룩 빈대 바구미는 예도 물고 제도 뜯네 석벽(石壁)에섰는 매화(梅花) 나를 보고 반기는 듯
|
|
|
|
|
|
도화유수묘연(桃花流水渺然)히뚝 떨어져 굽이굽이굽이 솟아난다
|
|
|
|
|
|
|
|
|
1. 요점 정리
|
|
|
|
|
|
• 형식 : 십이 잡가
|
|
|
|
|
|
• 배경 : 옥중
|
|
|
|
|
|
• 상황 : 춘향 옥중 고생하는 장면
|
|
|
|
|
|
• 주제 : 모진 시련 속에서도변함 없는 사랑
|
|
|
|
|
|
• 특징 : 십이잡가(十二雜歌)의 하나로서 '춘향가' 중에서 춘향이 사또의 모진 형장을 맞고 옥중에서 고생하는 대목을 독립된소리로 만든 노래로, 도드리장단과 세마치장단에 맞추어 부르며 곡조는유산가(遊山歌)조이다.
|
|
|
|
|
|
• 출처 : 이창배: 한국가창대계
|
|
|
|
2. 내용연구
|
|
|
|
|
|
형장(刑杖 : 죄인을 심문할 때 쓰는 몽둥이) 태장(笞杖 : 볼기를 치는 데 쓰는 형구) 삼(三)모진 도리매('곤장'의옛말)로
|
|
|
|
|
|
|
하날치고 짐작(斟酌 : 사정이나형편 따위를 어림잡아 헤아림)할까 둘을 치고 그만 둘까
|
|
|
|
|
|
|
삼십도(三十度)에 맹장(猛杖 : 형벌로 볼기를 몹시 치니)하니일촌간장(一村肝臟) 다 녹는다[한토막의 간과 창자라는 뜻으로 애달프거나 애가 타는 마음을 이르는 말]
|
|
|
|
|
|
|
걸렸구나 걸렸구나 일등춘향(一等春香)이 걸렸구나
|
|
|
|
|
|
|
사또분부(使道吩付) 지엄(至嚴)하니 인정(人情)일랑 두지 마라
|
|
|
|
|
|
|
국곡투식(國穀偸食 : 국가의 곡식을 도둑질하여 먹음) 하였느냐 엄형중치(嚴刑重治 : 엄하게 형벌하고 엄중히 다스림)는 무삼 일고[무슨일이냐] 살인도모(殺人圖謀) 하였느냐항쇄족쇄(項鎖足鎖 : 죄인에 목에 씌우던 칼과 그 발에 채우던 차꼬를 아울러 이르는 말)는 무삼 일고
|
|
|
|
|
|
|
관전발악(官前發惡 : 관전은 아전이나하인들이 벼슬아치를 높여 이르던 말이며 발악은 온갖 짓을 다 하며마구 악을 씀)하였느냐 옥골최심(玉骨 甚 : 옥골은 옥같이 희고깨끗한 골격이라는 뜻으로, 고결한 풍채를 이르는 말이며 최심은 뼈를부러뜨릴 정도로 심함)은무삼 일고
|
|
|
|
|
|
|
불쌍하고 가련(可憐)하다 춘향 어미가 불쌍하다
|
|
|
|
|
|
|
먹을것을 옆에다 끼고 옥 모퉁이로 돌아들며
|
|
|
|
|
|
|
몹쓸 년의 춘향이야 허락[사또수청 요구에 대한 허락 / 성관계 요구] 한마디 하려무나
|
|
|
|
|
|
|
아이구 어머니 그 말씀 마오 허락이란 말이 웬 말이오[춘향의목소리로 화자가 춘향으로 바뀜]
|
|
|
|
|
|
|
옥중[춘향이가처해 있는 공간적 배경]에서 죽을망정 허락하기는 나는 싫소[일편단심의태도]
|
|
|
|
|
|
|
새벽 서리 찬 바람에 울고 가는 기러기야 한양성내(漢陽城內) 가거들랑 도련님[이도령]께 전하여 주렴
|
|
|
|
|
|
|
날 죽이오 날죽이오 신관사또(新官使道)야 날 죽이오
|
|
|
|
|
|
|
날 살리오 날 살리오 한양낭군(漢陽郞君)님 날 살리오
|
|
|
|
|
|
|
옥 같은 정갱이에 유혈(流血 : 흘러나오는 피)이 낭자(狼藉 : 여기저기 흩어져 어지러움)하니 속절없이나 죽겠네
|
|
|
|
|
|
|
옥 같은 얼굴에 진주 같은 눈물이 방울방울방울 떨어진다
|
|
|
|
|
|
|
석벽강상(石壁江上 : 강위의 절벽) 찬 바람은 살 쏘듯이 드리불고[너무춥고]
|
|
|
|
|
|
|
벼룩 빈대 바구미는 예도[여기도] 물고 제[저기도]도 뜯네 석벽(石壁)에섰는 매화(梅花) 나를 보고 반기는 듯 도화유수묘연(桃花流水渺然 : 복숭아꽃 흐르는 물에 아득히 / 도연명의 도화원기에서 유래됨)히뚝 떨어져 굽이굽이굽이 솟아난다[춘향의지조]
|
|
|
|
3. 이해와감상
|
|
|
|
|
|
서울의 긴 잡가인 12잡가 중 하나. 판소리 〈춘향가〉 중 신관사또가 수청들지 않는다고 춘향이를 매질하게 하는 대목과 그것을 보고 불쌍해하는 구경꾼들의 동정, 춘향의 굽힘없는 수절을 잡가로 엮은 것이다.
|
|
|
|
|
|
출현음은 F(레)-G(미)-c(라)-eb(도)-f(레)-g(미)인데, 그 중 레-라-도의 3음이 현저하여, 〈유산가〉처럼 서도소리의 음계에 속한다. 장단은 〈제비가〉에서처럼 처음 도드리로 나가다가 뒤에 세마치로 바꾸어진다. 형식은 도드리장단 부분이 4마루, 세마치부분이 18마루로 되어 있다.
|
|
|
|
4. 심화자료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