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S 여러분! 반갑습니다.    [로그인]
키워드 :
지식놀이터 ::【열린보도자료의 지식창고 문화재청 보도자료
문화재청 보도자료
2019년
  2019년 2월
2019년 2월 28일
2019년 2월 27일
2019년 2월 26일
「창녕 계성 고분군」과 「경주 분황사지」, 「경주 구황동 원지 유적 일원」 사적 지정
2019년 2월 25일
2019년 2월 23일
2019년 2월 21일
2019년 2월 20일
2019년 2월 19일
2019년 2월 18일
2019년 2월 15일
2019년 2월 14일
2019년 2월 13일
2019년 2월 12일
2019년 2월 7일
2019년 2월 1일
about 문화재청 보도자료
내서재
추천 : 0
대한민국 문화재청(文化財廳)
【문화】
(2019.10.09. 15:39) 
◈ 「창녕 계성 고분군」과 「경주 분황사지」, 「경주 구황동 원지 유적 일원」 사적 지정
문화재청(청장 정재숙)은 경상남도 창녕군에 있는 「창녕 계성 고분군(昌寧 桂城 古墳群)」과 경상북도 경주시에 있는 「경주 분황사지(慶州 芬皇寺址)」, 「경주 구황동 원지 유적 일원(慶州 九黃洞 園池 遺蹟 一圓)」을 국가지정문화재 사적으로 각각 지정하였다.【보존정책과】
 
문화재청(청장 정재숙)은 경상남도 창녕군에 있는 「창녕 계성 고분군(昌寧 桂城 古墳群)」과 경상북도 경주시에 있는 「경주 분황사지(慶州 芬皇寺址)」, 「경주 구황동 원지 유적 일원(慶州 九黃洞 園池 遺蹟 一圓)」을 국가지정문화재 사적으로 각각 지정하였다.
 
사적 제547호 「창녕 계성 고분군(昌寧 桂城 古墳群)」은 영축산에서 서쪽으로 뻗어내린 구릉 사면부에 조성된 261기의 대규모 고분군이다. 고분군의 서북쪽으로는 계성천이 흐르고 있으며 능선 여러 갈래에 봉분들이 분포하고 있는데, 특히 정상부에는 지름 30m가 넘는 대형무덤 5기가 있다.
 
1917년 처음으로 고분군의 분포도가 작성된 이후 최근까지 발굴조사가 5차례 있었으며, 그 결과 5세기에 축조된 구덩식 돌덧널무덤(수혈식 석곽)인 대형 고총 고분과 6~7세기에 축조된 앞트기식 돌방무덤(횡구식 석실)이 모두 확인되었다. 이러한 축조 양식의 변화는 고분군의 서쪽에서 동쪽으로 이동하며 나타나는데, 이를 통해 창녕 지역에서의 가야의 성립, 발전과 쇠퇴 과정을 추정해볼 수 있다.
* 구덩식 돌덧널무덤(수혈식석곽, 竪穴式石槨): 돌로 곽을 만들어 그 내부에 관과 부장품을 수납하도록 만든 구조로 관을 수직으로 내려놓아 안치하는 무덤
 
「창녕 계성 고분군」에서는 뚜껑굽다리접시(유개고배, 有蓋高杯)와 긴목항아리(장경호, 長頸壺), 원통모양그릇받침(통형기대, 筒形器臺) 등 창녕양식의 토기류, 금동관 조각(편), 금제 귀걸이, 은제 허리띠 등의 장신구류와 말띠드리개(행엽, 杏葉), 발걸이(등자, 鐙子), 말안장 꾸미개(안교, 鞍橋) 등의 마구류와 무구류도 다량 출토되었다.
* 창녕양식 토기: 가야지역 토기제작 전통을 바탕으로 신라지역의 토기제작 기술이 유입되면서 등장한 창녕지역의 특징적인 토기 양식
 
「창녕 계성 고분군」은 고분의 변화 양상과 출토 토기 양식 등을 통해 창녕과 주변 지역의 5~7세기 고대사 연구에 도움이 되는 중요한 유적으로 역사적·학술적 가치가 높다.
 
사적 제548호 「경주 분황사지(慶州 芬皇寺址)」는 신라의 대표적인 사찰 가운데 하나인 ‘분황사’가 있던 곳이다. ‘분황사’는 「삼국유사」, 「삼국사기」의 기록에 의하면 선덕여왕 3년(634)에 창건되었으며, 신라의 승려 자장(慈藏)과 원효(元曉)가 머무르면서 불법을 전파하였던 유서 깊은 사찰이다.
 
1990년부터 2014년까지 실시한 발굴조사로 확인한 현재의 경역 내·외부로 보면, 창건 당시 신라 최초의 품(品)자형 일탑삼금당식(一塔三金當式) 가람으로 축조되었음을 알 수 있으며, 그 후 세 번의 중건을 거쳐 광해군 원년(1609)에 현재의 금당인 보광전을 조성하여 지금에 이르고 있는 것으로 보인다.
* 일탑삼금당식(一塔三金當式) 가람: 사찰에서 탑을 중심으로 동·서·북면 세 곳에 법당을 배치하는 양식
 
분황사는 황룡사, 흥륜사 등과 함께 신라의 삼국통일 이전 왕경(경주)에 조성되었던 칠처가람(七處伽藍)의 하나이며, 국보 제30호 ‘경주 분황사 모전석탑’이 있는 곳이다. 또한, 장기간의 체계적 발굴을 통해 가람의 배치 양상과 그 변화상뿐만 아니라 경역의 대부분을 규명해 낸 사찰이라서 역사적·학술적 가치가 높다.
* 칠처가람(七處伽藍): 신라 불국토설(佛國土說)의 하나로, 경주에 있었던 7개소의 가람터(지금의 흥륜사, 영흥사, 황룡사, 분황사, 영묘사, 천왕사, 담암사)
 
사적 제549호 「경주 구황동 원지 유적 일원(慶州 九黃洞 園池 遺蹟 一圓)」은 처음 경주 황룡사지와 관련한 전시관 건립 부지로 선정되어 1999년 시굴조사를 하던 중 통일신라 시대의 석축, 담장, 우물 등의 유적을 확인하고, 2004년까지 발굴조사를 통해 확인된 원지 유적이다.
 
원지는 중심부에 크고 작은 인공섬 2개가 있고, 그 주위에 입수로와 배수로, 건물지, 담장, 축대 등이 조화를 이루고 있다. 또한, 출토된 여러 유물을 통하여 원지의 조성 시기, 변화상, 공간배치 등을 알 수 있어 통일신라 시대 조경 연구에 중요한 자료가 된다. 구황동 원지는 동궁과 월지, 용강동 원지에 이어 원지의 조성연대, 규모, 내부구조 등을 확인한 세 번째 신라왕경 원지 유적으로 희소성이 있다.
 
「경주 분황사지」와 「경주 구황동 원지 유적 일원」은 담장을 사이에 두고 나란히 붙어 있지만 다른 시기의 다른 유적이다. 한때 구황동 원지가 분황사에 속한 사원지(寺園池)로 여겨진 적도 있었으나, 발굴조사 결과 출토되는 다양한 유물의 시기를 추정하여 볼 때 두 유적은 별개의 것으로 밝혀졌다.
 
문화재청은 「창녕 계성 고분군」 등 3건을 경상남도, 경상북도 등과 협력하여 체계적으로 보존·관리하고 활용할 수 있는 방안을 마련하여 시행할 계획이다.
 
 
<사적 제547호 「창녕 계성 고분군」 전경>
 
 
첨부 :
0226 「창녕 계성 고분군」과 「경주 분황사지」, 「경주 구황동 원지 유적 일원」 사적 지정(본문).hwp
0226 「창녕 계성 고분군」과 「경주 분황사지」, 「경주 구황동 원지 유적 일원」 사적 지정(붙임2).pdf
 

 
※ 원문보기
대한민국 문화재청(文化財廳)
【문화】 문화재청 보도자료
• 고려청자의 기원, 「청자 순화4년명 항아리」 국보 승격 예고
• 「창녕 계성 고분군」과 「경주 분황사지」, 「경주 구황동 원지 유적 일원」 사적 지정
• 궁궐과 왕릉, 3.1운동 100주년 기념행사 풍성
▣ 커뮤니티 (참여∙의견)
내메모
페이스북 공유하기 트위터 공유하기
로그인 후 구독 가능
구독자수 : 0
▣ 정보 :
문화 (보통)
▣ 참조 지식지도
▣ 다큐먼트
▣ 참조 정보 (쪽별)
◈ 소유
◈ 참조
 
▣ 참조정보
백과 참조
 
목록 참조
 
외부 참조
 
▣ 참조정보
©2021 General Libraries 최종 수정일: 2021년 1월 1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