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S 여러분! 반갑습니다.    [로그인]
키워드 :
지식놀이터 ::【열린보도자료의 지식창고 문화재청 보도자료
문화재청 보도자료
2019년
  2019년 5월
2019년 5월 31일
2019년 5월 30일
2019년 5월 29일
2019년 5월 28일
2019년 5월 27일
2019년 5월 24일
2019년 5월 23일
2019년 5월 22일
2019년 5월 21일
2019년 5월 20일
2019년 5월 17일
2019년 5월 16일
2019년 5월 15일
2019년 5월 14일
2019년 5월 13일
2019년 5월 10일
2019년 5월 9일
2019년 5월 8일
2019년 5월 7일
2019년 5월 3일
2019년 5월 2일
2019년 5월 1일
정읍 고사부리성에서 시대별로 다른 축성방식 확인
about 문화재청 보도자료
내서재
추천 : 0
대한민국 문화재청(文化財廳)
【문화】
(2019.10.09. 15:39) 
◈ 정읍 고사부리성에서 시대별로 다른 축성방식 확인
문화재청(청장 정재숙)의 허가를 받아 정읍시(시장 유진섭)와 (재)전라문화유산연구원(원장 천선행)에서 조사하고 있는 ‘정읍 고사부리성(古沙夫里城, 사적 제494호)’ 유적에 대한 현장 설명회를 5월 2일 오후 2시 발굴현장에서 개최한다.【발굴제도과】
- 백제~조선 시대까지 대규모 개축과정과 층위확인 / 현장 설명회 5.2. -
 
문화재청(청장 정재숙)의 허가를 받아 정읍시(시장 유진섭)와 (재)전라문화유산연구원(원장 천선행)에서 조사하고 있는 ‘정읍 고사부리성(古沙夫里城, 사적 제494호)’ 유적에 대한 현장 설명회를 5월 2일 오후 2시 발굴현장에서 개최한다.
* 발굴현장: 전라북도 정읍시 고부면 고부리 산 1-1번지
 
정읍 고사부리성은 백제 때 지방 통치의 중심인 오방성(五方城) 중 하나인 중방성(中方城)으로 사용된 이후 1765년(영조 41년)까지 읍성으로 중심적인 역할을 담당하던 곳이다. 이번 조사는 남문지 동쪽구간에 대한 성벽과 수구시설을 확인하기 위한 발굴로, 지난해 10월부터 조사를 시작해 오는 5월까지 조사를 진행 중이다.
 
현재까지 확인한 사항은 ▲ 백제 때 처음 축조한 이후 통일신라와 고려, 조선 시대를 거치며 3차례에 걸쳐 수리한 양상, ▲ 성벽 축조방법, ▲ 수구(배수와 관련된 통로모양 시설) 등이다.
 
정읍 고사부리성은 백제 시대에 협축(夾築) 기법으로 쌓은 석축산성으로 조사구역 내 성벽 규모는 길이 45m, 잔존 높이 3.5m, 최대 폭 5.4m이다. 성벽은 성돌을 약 3~5㎝정도씩 안쪽으로 쌓아올리는 퇴물림기법, ‘品(품)’자 형태의 바른층 쌓기, 성돌(성을 쌓는데 사용하는 돌)을 굴곡이 지게 다듬어 결합하는 그렝이기법 등을 이용하여 축조하였다. 성벽은 3~4개의 구간으로 나눈 후 외벽과 내벽 사이에 다듬은 돌을 채워 완성하였다.
* 협축(夾築): 성을 쌓을 때, 외벽과 내벽을 쌓고 중간에 흙이나 돌을 넣어 채우는 것
* 바른층 쌓기: 동일한 간격으로 돌을 면 높이가 일정하도록 돌을 쌓는 방식
* 그렝이기법: 서로 다른 모양의 건축부재를 서로 맞대어 면을 맞추는 공법
 
이후 통일신라 시대에 수리하여 다시 축조하였는데, 전반적으로는 백제 시대에 쌓았던 석성축조 전통을 유지하였고, 추가적으로는 성내 물 배출을 위한 수구시설 2기를 성곽 일부를 파내어 조성하였다.
 
성벽 외측의 보완시설과 기둥구멍 등은 이번 발굴조사에서 새로 확인하였으며, 고려와 조선 시대로 가면서 개축 과정에서 이미 있던 성벽을 토성으로 변형시켜 나간 사실도 확인하였다.
 
정읍 고사부리성의 백제 성벽은 성돌을 매우 정교하게 다듬고, 견고함과 안정성을 극대화하는 축성방법이 총동원되어 축조되었을 뿐 아니라 백제에서 조선 시대까지 이어지며 장기간 이용한 성이라는 사실이 명확해졌다. 이는 고사부리성이 백제 때 지방통치의 핵심적인 치소성으로 조성된 이래, 지리적·전략적 중심지로서 중요하게 다루어졌음을 말해준다.
* 치소(治所): 어떤 지역에서 행정 사무를 맡아보는 기관이 있는 곳
 
한편, 고사부리성의 축성기법 가운데는 고구려와 유사한 ‘육합쌓기’ 방식이 일부 확인되었고, 다리가 3개 달린 토기, 항아리, 접시, 병 등 다량의 백제 토기와 기와, 고구려계 토기로 알려진 암문(暗文)토기가 출토되었다. 이러한 성과는 앞으로 고사부리성의 복원·정비 사업에 중요한 기초 자료가 될 것으로 기대한다.
* 육합쌓기: 고구려 성벽 축성기법으로 6매의 석재를 상하좌우로 결합하여 쌓는 방식
* 암문(暗文): 검은 빛을 띠는 흑색의 마연토기 표면에 그려진 검정색의 선 무늬
 
 
<정읍 고사부리성 전경(남-북)>
 
 
첨부 :
0501 정읍 고사부리성에서 시대별로 다른 축성방식 확인(본문).hwp
0501 정읍 고사부리성에서 시대별로 다른 축성방식 확인(붙임).pdf
 

 
※ 원문보기
대한민국 문화재청(文化財廳)
【문화】 문화재청 보도자료
• 초등교재로 문화유산 실감형 교육콘텐츠(VR) 활용
• 정읍 고사부리성에서 시대별로 다른 축성방식 확인
• 엄마 아빠와 함께 대한제국 시간여행
▣ 커뮤니티 (참여∙의견)
내메모
페이스북 공유하기 트위터 공유하기
로그인 후 구독 가능
구독자수 : 0
▣ 정보 :
문화 (보통)
▣ 참조 지식지도
▣ 다큐먼트
▣ 참조 정보 (쪽별)
◈ 소유
◈ 참조
 
▣ 참조정보
백과 참조
 
목록 참조
 
외부 참조
 
▣ 참조정보
©2021 General Libraries 최종 수정일: 2021년 1월 1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