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S 여러분! 반갑습니다.    [로그인]
키워드 :
지식놀이터 ::【고재완의 지식창고 문화재·역사·전
문화재·역사·전
2019년
  2019년 3월
2019년 3월 28일
대한민국 임시 정부 수립 100주년과 독립
about 문화재·역사·전
내서재
추천 : 0
김구(金九) 김원봉(金元鳳) 김좌진(金佐鎭) 대한 민국 임시 정부(大韓民國臨時政府) 안중근(安重根) 안창호(安昌浩) 유관순(柳寬順) 윤동주(尹東柱) 윤봉길(尹奉吉) 이승만(李承晩) 한용운(韓龍雲)
(2019.11.21. 19:07) 
◈ 대한민국 임시 정부 수립 100주년과 독립
2019년 4월 11일은 대한민국 임시정부 수립 100주년이 되는 날이다. 100주년을 맞이해 항일 독립운동가와 대한민국 임시정부하면 무엇이 먼저 떠오르는가?라는 질문 조사 결과 1위는 백범 김구(金九) 선생으로 발표됐다. 올해는 백범일지를 쓴 김구선생 사망 70주기이다.
2019년 4월 11일은 대한민국 임시정부 수립 100주년이 되는 날이다. 100주년을 맞이해 항일 독립운동가와 대한민국 임시정부하면 무엇이 먼저 떠오르는가?라는 질문 조사 결과 1위는 백범 김구(金九) 선생으로 발표됐다. 올해는 백범일지를 쓴 김구선생 사망 70주기이다.
\na-;▼항일 독립운동가
1위는 백범 김구(金九, 1876~1949, 대한민국 임시정부 주석)
2위는 안중근(安重根, 1879~1910, 하얼빈에서 이등박문 저격)
3위는 류관순(柳寬順, 1902~1920, 천안 아우내 장터에서 삼일만세운동)
4위는 매헌 윤봉길(尹奉吉, 1908~1932, 상해 훙커우 공원 폭탄 의거)
5위는 도산 안창호(安昌浩, 1878~1938, 민족 계몽 운동가)
6위는 백야 김좌진(金佐鎭, 1889~1930, 청산리 전투 지휘관)
7위는 우남 이승만(李承晩, 1875~1965, 초대 대통령)
8위는 윤동주(尹東柱, 1917~1945, 시인)
9위는 약산 김원봉(金元鳳, 1898~1958, 의열단)
10위는 만해 한용운(韓龍雲, 1879~1944, 33인이자 스님)으로 조사되었다.
 
 
\na-;▼대한민국 임시정부하면 떠오르는
1위는 백범 김구(임시정부 주석)
2위는 상해(上海)
3위는 이승만
4위는 독립(獨立)
5위는 안중근
6위는 자주독립
7위는 독립운동가
8위는 만주
9위는 주권 회복
10위는 최초 정부로 조사되었다.
 
대한민국 임시정부 수립 100주년을 맞이해 개략적으로 알아본다.
① 대한민국 임시정부는
민주주의에 입각한 근대적 헌법 마련, 이승만을 대통령으로 추대(민주 공화제), 입법기관인 임시 의정원, 사법기관인 법원, 그리고 행정기관인 국무원으로 구성하여 한국 최초의 3법 분립에 입각한 민주 공화제를 택하였다.
☞ 지도 체제 변경
▷1919년 : 대통령 지도제
▷1925년 : 국무령 중심의 내각 책임 지도제
▷1927년 : 국무위원 중심의 집단 지도 체제
▷1940년 : 주석 중심제
▷1944년 : 주석, 부주석 중심제
②1910년 나라를 강점당하자, 정부와 의회를 갖춘 민주 공화제를 수립하자는 주장이 등장하였다. 이러한 주장은 3·1 운동을 통하여 역사적 정당성을 확보하였고 이것을 실천으로 옮긴 것이 노령(露領)의 ‘대한국민의회’, 상하이의 ‘대한민국 임시정부’, 서울의 ‘한성정부’ 등이었다. 1919년 5월부터 한성정부의 법통을 계승한다는 원칙 아래 논의가 이루어져 노령과 상하이의 임시정부가 하나로 통합되었다.
③1932년 일본군의 상하이 점령과 윤봉길 의거로 임시정부는 13년간의 상하이 시대를 마감하고 이동할 수밖에 없었다. 항저우(杭州)와 전장(鎭江)으로 이동하였다가, 1937년 중일전쟁의 발발로 전선이 확대되자 다시 창사(長沙)·광저우(廣州)·류저우(柳州)·치장(綦江)으로 옮겨야 하였다. 1940년 9월 중국의 전시수도인 충칭(重慶)에 정착하기까지 임시정부는 8년이 넘는 이동시기를 보냈다.
④1930년대에 독립운동은 정당의 통일 운동을 전개하였으나 단일정당을 결성하지는 못하였고, 우파의 연합세력인 한국광복운동 단체 연합회와 좌파의 연합세력인 조선민족전선연맹으로 나뉘어 활동하였다. 1938년 10월 조직된 조선 의용대는 조선민족전선연맹 산하의 군사조직이었고, 1938년 말 조직된 한국광복진선청년공작대는 한국광복운동 단체 연합회의 군사조직이었다. 이들은 각각 중국군과 연합하여 군사활동을 추진하였고, 개별적으로 중국군에 복무하며 독립운동을 지원하기도 하였다
⑤ 임시정부가 충칭(重慶)에 도착한 1940년은 중일전쟁에 이어 1939년 발발한 제2차 세계대전이 한창이던 때였다. 충칭 시대는 대한민국 임시정부 27년 동안 가장 강력한 조직과 체제를 갖추고 활동한 때였다. 1940년 한국광복군을 창설하여 대일전선에 적극 참여하였고, 1941년 태평양전쟁이 일어나자 일본에 선전포고를 하였다.
☞ 임시정부의 활동
▷연통제(​지방 행정기관) 실시 : 명령 전달, 군자금 송부, 정부 보고
▷군자금 모금 : 애국 공채 발행, 국민 의연금, 임시정부와 연결된 회사인 만주의 이륭 양행이나 부산의 백산 상회가 군자금 전달의 중간 거점
▷군무부 설치, 육군 무관학교 설립, 직할 부대 편성(광복군 사령부, 광복군 총영, 육군 주만 참의부), 군부부 산하에 서로군정서(西路軍政署,지청천 등), 북로군정서(北路軍政署,김좌진 등) 등을 편재
▷교통국 (통신기관) 설치 : 정보 수집 · 분석 · 교환 · 연락 업무
▷구미위원부 설치 : 미국의 이승만을 중심으로 적극적인 외교 활동을 전개하여 한국 독립 문제를 국제 여론화
▷독립신문 간행,배포
▷사료편찬소 설치
▷광복군 창설(1940)
⑥임시 정부는 1941년 ‘대한민국 건국강령’을 발표하여 광복 후의 자주독립국가 재건 계획을 밝혔다. 이 시기에 좌우익 독립운동 세력의 통일도 이루었는데, 이는 대한민국 임시정부와 별도로 활동하던 조선민족혁명당 등 좌익진영과 통합을 추진하여 마침내 1944년 4월 좌우 연합정부를 구성한 것이었다. 그 뒤 중국 옌안(延安)의 조선 독립동맹과 국내의 조선 건국동맹, 그리고 만주·연해주의 무장 독립 세력과도 연계하여 통일전선을 추진하던 중 일제가 항복하였다.
☞ 대한민국 임시정부는 왜 국제사회 승인 못받았나?
임정 승인의 열쇠는 연합국들이 쥐었고, 그 가운데서도 미국이 핵심이었다. 미국은 국제 공동 관리하의 군정을 거친 뒤 한국을 독립시킬 계획이었고, 임정 승인의 실익은 없었다. 미국과 영국은 프랑스에서도 군정을 구상하고 있을 정도였다. 파리에 입성한 드골은 힘으로 정부 승인을 받았지만 임정은 그런 힘이 없었다. 중국의 국민당 정부는 미국 영국보다 먼저 임정을 승인하겠다는 구상이 없었던 것은 아니지만 관철할 힘이 없었다. 결국 임정 요인들은 광복 뒤 개인 자격으로 귀국했다.
⑦미국에 의해 8.15 해방되었기에 대한민국 임시정부 요인들의 중국에서 환국은 아무런 직책도 없이 개인 자격으로 귀국하는 것이었다. 해방 후 미 군정은 3년간 유지되었다가 비로소 1948년 8월 15일에 미 군정으로부터 독립하였다. 내 스스로의 힘이 아닌 타인의 힘으로 해방되면 어떤 결과를 초래하는지를 보여준다.
⑧대한민국은 제헌 헌법 전문에 “기미 삼일운동으로 대한민국을 건립하여 세계에 선포한 위대한 독립정신을 계승”한다고 하였고, 현행 헌법 전문에도 “3·1 운동으로 건립된 대한민국 임시정부의 법통과 불의에 항거한 4·19 민주이념을 계승”한다고 명시하였다.
▶마무리하며
최근의 대한민국은 미국, 일본, 중국, 러시아 그리고 북한과 관계가 매우 복잡하다. 조선 말기에 있던 "소련에 속지 말고 미국을 믿지 말며 일본이 일어난다. 조선은 조심하라" 말이 생각난다.
세계는 자국의 이익을 위해 외교전쟁, 경제전쟁, 무역전쟁, 군사적 위협 등의 모든 수단과 방법을 동원해 실행하므로 대한민국도 부국강병, 경제대국, 기술 강국, 문화강국을 향하여 지속적으로 나가야 한다.
자위력이 약하면 스스로의 힘(自强)을 꾸준히 키워야 타국이 우리를 함부로 대하지 못한다. 물론 방위조약이나 외교적 약속은 존재하지만 절대적이 아니므로 유비무환의 태세로 임해야 한다. 세상에 공짜는 없는 것처럼 남이 나를 무료로 지켜주지 않을 것이다.
임진왜란 후 정묘호란과 병자호란을 당했으며 또 일제에 강점당한 기억을 잊지 말고 항상 주변국과 세계의 흐름, 상황과 정보를 제대로 파악해 과거 역사가 반복되지 않도록 ...
\na-;출처 : 문화관광부, 통 플러스, 조폐공사, 국립 중앙도서관,네이버 지식백과
★김구 사진 모음
백범 기념관
https://jawkoh.blog.me/221299099180
★안중근 기념관(1.2.3.4.5.6편)
★서대문 형무소 역사관
서대문 형무소 80년사
★윤봉길 의사 기념관
★ 해외 독립운동 유적지(헤이그,하얼빈, 훙커우)
https://jawkoh.blog.me/221337398675
★윤동주 기념관, 하숙집, 문학관
★ 백담사 만해 기념관
 

 
※ 원문보기
김구(金九) 김원봉(金元鳳) 김좌진(金佐鎭) 대한 민국 임시 정부(大韓民國臨時政府) 안중근(安重根) 안창호(安昌浩) 유관순(柳寬順) 윤동주(尹東柱) 윤봉길(尹奉吉) 이승만(李承晩) 한용운(韓龍雲)
문화재·역사·전
• 분노와 피의 화요일!
• 대한민국 임시 정부 수립 100주년과 독립
• 삼일절 100주년에 생각나는 3곳
▣ 커뮤니티 (참여∙의견)
내메모
페이스북 공유하기 트위터 공유하기
로그인 후 구독 가능
구독자수 : 0
▣ 정보 :
미정의 (보통)
▣ 참조 지식지도
▣ 다큐먼트
▣ 참조 정보 (쪽별)
◈ 소유
◈ 참조
 
 
 
 
 
 
 
 
 
 
 
▣ 참조정보
백과 참조
 
목록 참조
 
외부 참조
 
▣ 참조정보
©2021 General Libraries 최종 수정일: 2021년 1월 1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