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S 여러분! 반갑습니다.    [로그인]
키워드 :
지식놀이터 :: 이황(李滉)
이황
자 료 실
▶ 지식지도
원문/전문
▶ 시민 참여 콘텐츠 (없음)
관련 동영상
about 이황


[광고]
[100 세트 한정] 행운의 2달러 스타노트+네잎클로버 컬렉션 35% 19,800원 12,800원
이황 (李滉)
[1501 ~ 1570] 조선 중기의 유학자. 호는 퇴계 (退溪), 퇴도(退陶), 도옹(陶翁)이고, 시호는 문순(文純)이다.
▣ 지식지도
◈ 요약정보
이황 (李滉) [1501 ~ 1570] 조선 중기의 유학자. 1543년에 문과에 급제하여 여러 벼슬을 거침. 1569년에 벼슬자리에서 물러난 뒤 고향에 도산서원을 세워 학문과 후배 양성에 힘썼다. 이언적(李彦迪)의 주리설(主理說)을 계승, 주자의 이기이원론(理氣二元論)을 발전시켰다. 사단칠정(四端七情)을 주제로 한 기대승(奇大升)과의 8년에 걸친 논쟁 그의 학풍은 유성룡(柳成龍)김성일(金誠一)정구(鄭逑) 등에게 계승 영남학파(嶺南學派)를 이루었고, 이이(李珥)의 제자들로 이루어진 기호학파(畿湖學派)와 대립, 동서 당쟁은 이 두 학파의 대립과도 관련되었으며 그의 학설은 임진왜란 후 일본에 소개되어 그곳 유학계에 큰 영향을 끼쳤다. 배향 문묘, 선조의 묘정, 단양(丹陽)의 단암서원(丹巖書院), 괴산의 화암서원(華巖書院), 예안의 도산서원 등 전국의 수십 개 서원 저서 퇴계전서(退溪全書) 시조 《도산십이곡(陶山十二曲)》, 글씨 《퇴계필적(退溪筆迹)》
◈ 지식지도
이황 (李滉) 기호 학파 문묘 영남 학파 이기이원론 남인 서인 성리학 유교 주기론 주자학 향교 유네스코 세계유산 이기일원론 이기론 사단칠정 경상 북도 안동시 기대승 김성일 류성룡 이언적 이이 정탁 황준량 곽재우 곽종석 권근 권율 김굉필 김덕령 김면 김시습 김안로 김인후 김장생 서경덕 성혼 송시열 송익필 신 사임당 어숙권 윤원형 이산해 이순신 이항복 정경세 정도전 정엽 정이 정인홍 조광조 조식 조헌 주돈이 최경회 허목 황윤길 이덕홍 이우 한교 빙계서원 호계서원 도산십이곡 퇴계전서 격몽요결 경연일기 고산구곡가 난후잡록 사서율곡언해 서애집 성학집요 율곡전서 징비록 청구영언 임진왜란 기축옥사 정미사화 도산 서원 한국의 서원
▣ 원문/전문 (인기순, 1~10 위)
도산십이곡 陶山十二曲 시조 이황 (756) 만보 晩步 한시 퇴계 이황 (97) 어록해 초간본 語錄解初刊本 어문/학습/예술 (96) 어록해 개간본 語錄解改刊本 어문/학습/예술 (76) 환산별곡 還山別曲 가사 이황 (40) 무진육조소 戊辰六條疏 개인기록물 이황 (34) 낙빈가 樂貧歌 가사 이황 (29) 설월죽 雪月竹 한시 이황 (25) 권의지로가 勸義指路歌 가사 이황 (李滉) (17) 상저가 相杵歌 가사 이황 (李滉) (9)
◈ 참조 원문/전문
신선로의 유래 근/현대 수필 김동인 (29) 갑진만필 18절 甲辰漫筆 18節 총서 윤국형(尹國馨) (5) 갑진만필 20절 甲辰漫筆 20節 총서 윤국형(尹國馨) (5)
▣ 참조 카달로그
◈ 주요 언급 키워드
가사 (3) 백과 갑진만필 (2) 백과 어록해 (2) 백과 한시 (2) 백과
◈ 참조 키워드
이이 (26) 백과 성리학 (19) 백과 조식 (16) 백과 류성룡 (15) 백과 동인 (12) 남인 (11) 백과 도산 서원 (11) 백과 서인 (11) 백과 안동시 (11) 백과 기대승 (10) 백과 정인홍 (10) 백과 임진왜란 (9) 백과 김성일 (8) 백과 김효원 (8) 백과 사색 당파 (8) 백과 유교 (8) 백과 이산해 (8) 백과 주희 (8) 백과 기호 학파 (7) 백과 서경덕 (7) 백과 안향 (7) 백과 이순신 (7) 백과 이언적 (7) 백과 정호 (7) 백과 허목 (7) 백과 김장생 (6) 백과 도산십이곡 (6) 백과 북인 (6) 백과 성혼 (6) 백과 정이 (6) 백과 정철 (6) 백과 주자학 (6) 백과 곽재우 (5) 백과 기축옥사 (5) 백과 김안국 (5) 백과 송시열 (5) 백과 심의겸 (5) 백과 윤휴 (5) 백과 이익 (5) 백과 주돈이 (5) 백과 청구영언 (5) 백과 허균 (5) 백과 16세기 (4) 백과 구만서원 (4) 백과 김인후 (4) 백과 백인걸 (4) 백과 송익필 (4) 백과 윤선도 (4) 백과 윤원형 (4) 백과 이여 (4) 허난설헌 (4) 백과 광해군 (3) 백과 권근 (3) 백과 권상하 (3) 백과 권율 (3) 백과 권일신 (3) 백과 권철신 (3) 백과 노수신 (3) 백과 맹사성 (3) 백과 민유중 (3) 백과 민정중 (3) 신 사임당 (3) 백과 오계서원 (3) 백과 윤선거 (3) 백과 윤증 (3) 백과 이가환 (3) 백과 이기일원론 (3) 백과 이단하 (3) 이덕형 (3) 백과 이덕홍 (3) 백과 이원익 (3) 백과 이준경 (3) 백과 이항복 (3) 백과 정경세 (3) 백과 정구 (3) 정도전 (3) 백과 초당두부 (3) 백과 허적 (3) 백과 1550년 (2) 백과 1575년 (2) 백과 간재집 (2) 백과 강호사시가 (2) 백과 격몽요결 (2) 백과 경연일기 (2) 백과 고금가곡 (2) 백과 고산구곡가 (2) 백과 공자 (2) 백과 곽종석 (2) 백과 괴산군 (2) 백과 구봉령 (2) 길재 (2) 백과 김개 (2) 김굉필 (2) 백과 김덕령 (2) 백과 김방경 (2) 백과 김상헌 (2) 백과 김석 (2) 김시민 (2) 백과 김안로 (2) 백과 김자점 (2) 백과
▣ 백과사전
[1501 ~ 1570] 조선 중기의 유학자. 호는 퇴계 (退溪), 퇴도(退陶), 도옹(陶翁)이고, 시호는 문순(文純)이다.
 
1543년에 문과에 급제하여 여러 벼슬을 거친 뒤 1568년에 우찬성, 대제학에 올랐으며, 이듬해 벼슬자리에서 물러난 뒤 고향에 도산서원을 세워 학문과 후배 양성에 힘썼다.
 
이언적(李彦迪)의 주리설(主理說)을 계승, 주자(朱子)의 주장을 따라 우주의 현상을 이(理)․기(氣) 이원(二元)으로써 설명, 이와 기는 서로 다르면서 동시에 상호 의존관계에 있어서, 이는 기를 움직이게 하는 근본 법칙을 의미하고 기는 형질을 갖춘 형이하적(形而下的) 존재로서 이의 법칙을 따라 구상화(具象化)되는 것이라고 하여 이기이원론(理氣二元論)을 주장하면서도 이를 보다 근원적으로 보아 주자의 이기이원론(理氣二元論)을 발전시켰다.
 
그는 이기호발설(理氣互發說)을 사상의 핵심으로 하는데, 즉 이가 발하여 기가 이에 따르는 것은 4단(端)이며 기가 발하여 이가 기를 타[乘]는 것은 7정(情)이라고 주장하였다.
 
사단칠정(四端七情)을 주제로 한 기대승(奇大升)과의 8년에 걸친 논쟁은 사칠분이기여부론(四七分理氣與否論)의 발단이 되었고 인간의 존재와 본질도 행동적인 면에서보다는 이념적인 면에서 추구하며, 인간의 순수이성(純粹理性)은 절대선(絶對善)이며 여기에 따른 것을 최고의 덕(德)으로 보았다.
 
그의 학풍은 뒤에 그의 문하생인 유성룡(柳成龍)김성일(金誠一)정구(鄭逑) 등에게 계승되어 영남학파(嶺南學派)를 이루었고, 이이(李珥)의 제자들로 이루어진 기호학파(畿湖學派)와 대립, 동서 당쟁은 이 두 학파의 대립과도 관련되었으며 그의 학설은 임진왜란 후 일본에 소개되어 그곳 유학계에 큰 영향을 끼쳤다.
 
스스로 도산서원(陶山書院)을 창설, 후진 양성과 학문 연구에 힘썼고 현실생활과 학문의 세계를 구분하여 끝까지 학자의 태도로 일관했다.
 
중종, 명종, 선조의 지극한 존경을 받았으며,그의 학문은 일본 유학계에도 크게 영향을 미쳤다.
 
그가 세상을 떠난 뒤에 영의정에 추증되고 문묘 및 선조의 묘정에 배향되었으며 단양(丹陽)의 단암서원(丹巖書院), 괴산의 화암서원(華巖書院), 예안의 도산서원 등 전국의 수십 개 서원에 배향되었다.
 
저서에 《퇴계전서(退溪全書):修正天命圖說․聖學十圖․自省錄․朱書記疑․心經釋疑․宋季之明理學通錄․古鏡重磨方․朱子書節要․理學通錄․啓蒙傳疑․經書釋義․喪禮問答․戊辰封事․退溪書節要․四七續編》이 있고, 작품으로는 시조에 《도산십이곡(陶山十二曲)》, 글씨에 《퇴계필적(退溪筆迹)》이 있다.
[광고]
제주 클레르 드 륀 펜션 제주시 애월읍, M 010-6693-3704
▣ 커뮤니티 (참여∙의견)
내메모
페이스북 공유하기 트위터 공유하기
심화항목(D)
내서재 추천 : 0
▣ 참조정보
백과 참조
스승 : 이언적
 
목록 참조
 
외부 참조
 
©2021 General Libraries 최종 수정일: 2021년 1월 1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