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S 여러분! 반갑습니다.    [로그인]
키워드 :
지식놀이터 :: 주세붕(周世鵬)
주세붕
자 료 실
▶ 지식지도
원문/전문
시민 참여 콘텐츠
▶ 관련 동영상 (없음)
about 주세붕


[광고]
[100 세트 한정] 행운의 2달러 스타노트+네잎클로버 컬렉션 35% 19,800원 12,800원
주세붕 (周世鵬)
[1495 ~ 1554] 조선 중기의 문신, 학자. 호는 신재(愼齋), 남고(南皐), 무릉도인(武陵道人)이며, 시호는 문민(文敏)이다. 1544년에 우리 나라 최초의 서원인 백운동 서원을 창설했다.
▣ 지식지도
◈ 지식지도
주세붕 (周世鵬) 9재 학당 기호 학파 문묘 사액 서원 영남 학파 유네스코 세계유산 이기이원론 영주시 1550년 이황 최충 강감찬 기대승 김성일 안향 왕가도 류성룡 이언적 이이 주희 정탁 황준량 도산십이곡 퇴계전서 소수 서원 도산 서원 백록동 서원 한국의 서원
▣ 원문/전문 (인기순, 1~10 위)
오륜가 五倫歌 시조 주세붕 (263) 유청량산록 遊淸凉山錄 고전 수필 주세붕 (20) 도동곡 道東曲 경기체가 주세붕 (8) 태평곡 太平曲 경기체가 주세붕(周世鵬) (8) 육현가 六賢歌 경기체가 주세붕 (7) 엄연곡 儼然曲 경기체가 주세붕 (4)
▣ 시민참여콘텐츠
◈ 인기순 (1 ~ 4 위)
2019.06.22
【학습】 조선 중종 때 주세붕(周世鵬)이 지은 경기체가. 전 5장. 1541년(중종 36)에서 1544년 사이에 지어진 것으로 1544년 작자가 편찬한 ≪죽계지 竹溪誌≫에 수록되었고, 그의 문집인 ≪무릉잡고 武陵雜稿≫(別集 권8)에도 실려 있다.
2019.06.22
【학습】 조선 중종 때 주세붕(周世鵬)이 지은 경기체가(景幾體歌). 전 6장. 작자가 풍기군수로 있을 때인 1541년(중종 36)에서 1544년 사이에 지어진 것이다. 작자의 저서 ≪무릉잡고 武陵雜稿≫ 별집과 ≪죽계지 竹溪誌≫에 수록되어 있다.
2019.06.22
【학습】 작가가 안향의 옛 집터인 순흥의 죽계에 문성공사(안향을 모신 사당)를 세우고, 영정을 봉안하고 나서 이 노래를 부르게 하였다.
2019.06.22
【학습】 조선 중기 떄에 주세붕이 지은 전 7장으로 된 경기체가로 모두 7장으로 되어 있으며 《무릉잡고(武陵雜稿)》에실려 있다. 1541년부터 1544년까지 주세붕이 풍기군수로 있을 때 지었다.<<죽계지>>와 <무릉잡고>> 별집 권8에 수록되어있다.
◈ 등록순
2019.06.22
【학습】 조선 중종 때 주세붕(周世鵬)이 지은 경기체가. 전 5장. 1541년(중종 36)에서 1544년 사이에 지어진 것으로 1544년 작자가 편찬한 ≪죽계지 竹溪誌≫에 수록되었고, 그의 문집인 ≪무릉잡고 武陵雜稿≫(別集 권8)에도 실려 있다.
2019.06.22
【학습】 조선 중종 때 주세붕(周世鵬)이 지은 경기체가(景幾體歌). 전 6장. 작자가 풍기군수로 있을 때인 1541년(중종 36)에서 1544년 사이에 지어진 것이다. 작자의 저서 ≪무릉잡고 武陵雜稿≫ 별집과 ≪죽계지 竹溪誌≫에 수록되어 있다.
2019.06.22
【학습】 조선 중기 떄에 주세붕이 지은 전 7장으로 된 경기체가로 모두 7장으로 되어 있으며 《무릉잡고(武陵雜稿)》에실려 있다. 1541년부터 1544년까지 주세붕이 풍기군수로 있을 때 지었다.<<죽계지>>와 <무릉잡고>> 별집 권8에 수록되어있다.
2019.06.22
【학습】 작가가 안향의 옛 집터인 순흥의 죽계에 문성공사(안향을 모신 사당)를 세우고, 영정을 봉안하고 나서 이 노래를 부르게 하였다.
▣ 참조 카달로그
◈ 주요 언급 키워드
경기체가 (4) 백과
◈ 참조 키워드
경기체가 (7) 백과 안향 (4) 백과 1544년 (3) 백과 사액 서원 (3) 백과 소수 서원 (3) 백과 백록동 서원 (2) 백과 영주시 (2) 백과 유네스코 세계유산 (2) 백과 이황 (2) 백과 주희 (2) 백과 죽계지 (2) 백과 한국의 서원 (2) 백과
▣ 백과사전
[1495 ~ 1554] 조선 중기의 문신, 학자. 호는 신재(愼齋), 남고(南皐), 무릉도인(武陵道人)이며, 시호는 문민(文敏)이다.
 
1522년 문과에 급제하여 검열, 부수찬 등을 지냈다.
 
1541년 풍기군수(豊基郡守)로 나가 이듬해 백운동(白雲洞:順興)에 안향(安珦)의 사당 회헌사(晦軒祠)를 세우고, 1543년 주자(朱子)의 백록동학규(白鹿洞學規)를 본받아 사림자제들의 교육기관으로 백운동서원(白雲洞書院:紹修書院)을 세워 서원의 시초를 이루었다.
 
그리고 서원을 통하여 사림을 교육하고 또한 사림의 중심기구로 삼아 향촌의 풍속을 교화하려는 목적으로, 재정을 확보하고 서원에서 유생들과 강론(講論)하는 등 열성을 보였다. 처음에는 사림의 호응을 받지 못하다가 이황의 건의로 소수서원의 사액을 받고 공인된 교육기관이 된 뒤 풍기사림의 중심기구로 자리잡았다. 그 후 이를 모방한 서원들이 각지에 건립되었다.
 
그 뒤 도승지, 대사성 등의 벼슬을 지냈고, 황해도 관찰사가 되어 해주에 수양 서원을 세우고 최충의 제사를 모셨다.
 
<도동곡(道東曲)> <육현가(六賢歌)> <엄연곡(儼然曲)> <태평곡(太平曲)> 등 장가(長歌)와 <군자가(君子歌)> 등 단가 8수가 전한다. 청백리에 녹선되고, 예조판서에 추증되었다. 칠원의 덕연서원(德淵書院)에 배향되고, 백운동 서원에도 배향되었다.
 
저서에 《무릉잡고(武陵雜稿)》, 편서로는 《죽계지(竹溪誌)》 《동국명신언행록(東國名臣言行錄)》 《심도이훈(心圖彛訓)》 등이 있다.
[광고]
제주 클레르 드 륀 펜션 제주시 애월읍, M 010-6693-3704
▣ 커뮤니티 (참여∙의견)
내메모
페이스북 공유하기 트위터 공유하기
기본항목(E)
추천 : 0
▣ 참조정보
백과 참조
 
목록 참조
 
외부 참조
 
©2021 General Libraries 최종 수정일: 2021년 1월 1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