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S 여러분! 반갑습니다.    [로그인]
키워드 :
지식놀이터 :: 주자학(-)
주자학
자 료 실
▶ 지식지도
▶ 원문/전문 (없음)
▶ 시민 참여 콘텐츠 (없음)
▶ 관련 동영상 (없음)
about 주자학


[광고]
[100 세트 한정] 행운의 2달러 스타노트+네잎클로버 컬렉션 35% 19,800원 12,800원
주자학 (-)
중국 송(宋)나라 때 주희(주자)가 이룬 유학의 한 흐름. 그의 이름을 따서 주자학이라고 하며, 성리학, 또는 송학이라고도 불린다.
▣ 지식지도
◈ 지식지도
주자학 (-) 성리학 유교 정주학 향약 훈고학 가례 관혼상제 기호 학파 문묘 붕당 사서 사서 삼경 고려 삼은 서인 실학 양명학 어록 여씨 향약 역전 영남 학파 오경 유가 의창 제자 백가 주기론 주리론 중국 철학 해주 향약 개국공신 유교 경전 이기이원론 고려 1405년 1374년 1346년 1288년 372년 285년 길재 안향 이색 이숭인 이이 이황 정도전 정몽주 정이 정호 조준 주돈이 주희 공자 권근 기대승 김굉필 김성일 김장생 김종직 남은 동중서 마융 백이정 변계량 성혼 송익필 순자 신 사임당 안회 어숙권 왕양명 왕인 우탁 유경 류성룡 육구연 이곡 이언적 이제현 이조년 이항복 자사 정현 조견 조광조 조헌 최충 최치원 충렬왕 조선 태조 조선 태종 김숙자 하륜 이존비 권부 장재 정탁 나종언 이우 이진 백원항 황준량 태학 임강서원 주자가례 격몽요결 경연일기 경제문감 경제육전 고려사 단심가 도산십이곡 사서율곡언해 삼봉집 성학집요 야은집 율곡전서 조선경국전 포은집 사서집주 근사록 자치통감강목 퇴계전서 제1차 왕자의 난 도산 서원 소수 서원 안자묘
▣ 참조 카달로그
◈ 참조 키워드
유교 (10) 백과 정이 (10) 백과 주돈이 (8) 백과 정호 (7) 백과 이황 (6) 백과 주희 (6) 백과 유가 (5) 백과 정주학 (5) 백과 신 사임당 (3) 백과 안향 (3) 백과 왕양명 (3) 백과 이이 (3) 백과 제자 백가 (3) 백과 격몽요결 (2) 백과 경연일기 (2) 백과 김장생 (2) 백과 성리학 (2) 백과 성학집요 (2) 백과 성혼 (2) 백과 송익필 (2) 백과 양명학 (2) 백과 율곡전서 (2) 백과 충렬왕 (2) 백과
▣ 백과사전
중국 송(宋)나라 때 주희(주자)가 이룬 유학의 한 흐름. 그의 이름을 따서 주자학이라고 하며, 성리학, 또는 송학이라고도 불린다.
 

성립

북송의 주돈이에서 시작된 성리학의 기틀은 정호, 정이 형제를 거쳐 남송의 주희가 이를 집대성하였다.
 

내용

성리학이 나오기 이전까지의 학풍은 훈고학이었는데, 이것은 문자와 글귀의 해석에 치중하던 유학이었다.
 
주자학은 이에 반대하여 우주와 인간의 근본 문제를 연구하려는 철학적인 성격을 지녔다. 곧 주자학에서는 이(理)와 기(氣), 그리고 양(陽)과 음(陰) 및 5행(五行)에 의해서 이 세상의 모든 일이 이루어진다고 보았으며, 이 중 만물의 근원은 이(理)라고 하였다.
 
이러한 주자학은 일종의 유교 철학으로 주자가 살아 있는 동안은 반대 학파의 비판으로 큰 빛을 보지 못했으나, 그 뒤 중국과 우리 나라 유학의 큰 줄기를 이루었다.
 

우리 나라 주자학의 발전과 쇠퇴

주자학을 우리 나라에 처음 소개한 사람은 고려 충렬왕 때의 안향이며, 고려 말기에는 정몽주, 이색, 이숭인, 길재와 같은 유명한 주자학자들이 나왔다.
 
정도전, 조준과 같은 신진 사대부들은 주자학에 입각하여 불교의 폐단뿐만 아니라 고려 문화 전반을 비판하면서 새로운 세력으로 성장하였다. 또한 신진 주자학자들은 《주자가례(주문공가례)》를 들여와서 유교 의식을 보급하였다.
 
이같이 주자학은 조선 시대 유학 의 주류를 이루어 정치, 사회, 교육, 윤리, 도덕 생활의 기준이 되었다.
 
그러나 주자학이 우리 학자들에 의해 소화 되고 우리 학문으로서의 특색을 나타내게 된 것은 이황, 이이 등이 활동한 16세기 중엽 이후의 일이었다. 영남 학파의 스승으로 불리는 이황이 이룬 주자학은 일본에 전해져 일본 유학에 큰 영향을 끼쳤으며, 기호 학파의 스승인 이이는 많은 제자를 길러 냈다.
 
주자학의 발전과 더불어 각지에 서원이 세워지고 향약이 만들어져, 주자학의 지방 전파와 지방의 학문 활동이 활발해지고 유교적 예의 풍속 이 지방 곳곳에까지 미치기도 하였다.
 
그러나 조선 중기 이후 지나치게 주자학의 이론만을 따지다 보니, 실제 나라와 백성의 문제를 해결하는 데는 소홀하게 되는 폐단이 생겨 나라의 힘을 약하게 하는 원인이 되기도 했다. 또한 주자가 가르친 가례(家禮)를 지키는 데도 지나치게 형식에 사로잡힌 감이 없지 않았다.
 
한편 이론에 치우쳐 불교를 배척하고, 계급, 파벌을 형성하여 마침내는 당쟁을 초래한 원인(遠因)이 되었다.
[광고]
제주 클레르 드 륀 펜션 제주시 애월읍, M 010-6693-3704
▣ 커뮤니티 (참여∙의견)
내메모
페이스북 공유하기 트위터 공유하기
기본항목(E)
내서재 추천 : 0
▣ 참조정보
백과 참조
(정주학) 포함 할 것. => 성리학
 
목록 참조
 
외부 참조
 
©2021 General Libraries 최종 수정일: 2021년 1월 1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