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S 여러분! 반갑습니다.    [로그인]
키워드 :
지식놀이터 :: 함경 남도(咸鏡南道)
함경 남도
자 료 실
▶ 지식지도
▶ 원문/전문 (없음)
▶ 시민 참여 콘텐츠 (없음)
▶ 관련 동영상 (없음)
about 함경 남도


[광고]
[100 세트 한정] 행운의 2달러 스타노트+네잎클로버 컬렉션 35% 19,800원 12,800원
함경 남도 (咸鏡南道)
한반도 북동부에 자리잡은 도. 북쪽은 압록강을 사이에 두고 중국과, 북동쪽은 함경 북도, 남동쪽은 동해, 서·남쪽은 평안 남북도와 강원도에 둘려 있다.
▣ 지식지도
◈ 지식지도
함경 남도 (咸鏡南道) 6진 여진족 강원도 대한 민국 북한 평안 남도 평안 북도 함경 북도 황해도 1433년 1107년 김종서 윤관 남이
▣ 참조 카달로그
◈ 참조 키워드
함경 북도 (6) 백과 강원도 (4) 백과 대한 민국 (4) 백과 북한 (4) 백과 평안 남도 (4) 백과 평안 북도 (3) 백과 황해도 (3) 백과 개마 고원 (2) 백과 발해 (2) 백과 산경표 (2) 백과 옥저 (2) 백과
▣ 백과사전
한반도 북동부에 자리잡은 도. 북쪽은 압록강을 사이에 두고 중국과, 북동쪽은 함경 북도, 남동쪽은 동해, 서·남쪽은 평안 남북도와 강원도에 둘려 있다.
 
고대에는 옥저, 동예, 고조선, 임둔군 등에 딸렸던 땅으로 한4군 멸망 후에는 고구려와 발해가 지배하였다. 뒤에 대륙 세력의 팽창에 따라 오랜 동안 여진족이 살았으나, 1107년윤관이, 1433년에는 김종서가 이들을 크게 무찔러 몰아 내었다.
 
두만강 이남의 지역이 삭방도, 동북면, 함길도, 함경도 등 여러 이름으로 불려오다가, 1896년에 13 도제의 실시에 따라 함경 남도로 분리되었다.
 

자연

동부 경계에는 마천령 산맥이, 서부 경계에는 낭림 산맥 이 남북으로 뻗고, 그 사이를 동서로 함경 산맥이 달려 남북의 분수령을 이룬다. 북쪽으로 흐르는 장진강, 허천강 유역은 우리 나라의 지붕으로 불리는 개마 고원으로 냉대림 이 발달하였다. 남부에는 하천들이 짧고 급류를 이루어 동해로 흘러든다. 총면적의 90%가 산지인데, 남부의 동한만 연안에 비교적 넓은 함남 평야가 펼쳐져 있어 곡창을 이룬다.
 

기후

함경 산맥을 경계로 북쪽의 개마 고원은 북서 계절풍의 영향을 직접 받아 겨울에 몹시 춥고, 우리 나라에서 비가 가장 적은 지역에 속한다. 남쪽 사면은 동해의 영향으로 해안에 가까울수록 따뜻하며 강수량도 비교적 많으며, 특히 원산 부근은 연평균 강수량이 1,329mm나 되어 우리 나라 다우 지역의 하나로 꼽힌다.
 

산업

함남 평야를 비롯하여 동해 연안에는 벼농사가 성했으나 경지 면적의 대부분이 밭이어서 농작물은 보리, 콩, 귀리, 조, 감자, 옥수수 등이 중심을 이루었다. 그 밖에 공예 작물로 목화, 삼, 깨 등이 났고, 안변과 함흥의 사과가 유명하였다. 초원이 발달하여 면양, 소의 목축도 성했다. 우리 나라 제1의 목재 산지로서 혜산은 그 집산지를 이루며, 압록강, 혜산선 철도를 이용해 실어 냈다. 또 동한만의 풍부한 어장을 앞에 두고 있어 명태, 청어, 대구, 연어, 홍어, 삼치, 정어리가 많이 잡혔으며, 특히 명태 어획량은 전국의 85%(1943년)에 이르렀다. 지하 자원으로는 마그네사이트 를 비롯하여 석탄, 금, 구리, 흑연, 형석 등이 풍부하다. 그러한 자원과 장진강, 부전강, 허천강의 수력 발전을 바탕으로 함흥, 흥남, 원산 일대는 관북 공업 지역의 중심이었으며, 제련, 제철, 금속, 비료, 섬유, 제재, 펄프, 정유, 조선, 시멘트, 식품 등의 공업이 활발했다.
 

교통· 관광

교통은 주로 해안선을 따라서 발달하였으며, 함경선 철도 와 국도가 나란히 달린다. 여기에서 혜산선, 단풍선, 송흥선, 장진선 등의 산업 철도와 도로가 내륙으로 뻗어 있다. 명승 고적으로는 석왕사, 가학루, 명사 십리, 삼방 협곡, 백두산, 개마 고원 등이 있다.
[광고]
제주 클레르 드 륀 펜션 제주시 애월읍, M 010-6693-3704
▣ 커뮤니티 (참여∙의견)
내메모
페이스북 공유하기 트위터 공유하기
기본항목(E)
내서재 추천 : 0
▣ 참조정보
백과 참조
대한민국 (북한)의 행정구역 (도)
 
함경 남도
목록 참조
 
외부 참조
 
©2021 General Libraries 최종 수정일: 2021년 1월 1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