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S 여러분! 반갑습니다.    [로그인]
키워드 :
지식놀이터 :: 경기체가(景幾體歌)
경기체가
자 료 실
▶ 지식지도
원문/전문
시민 참여 콘텐츠
▶ 관련 동영상 (없음)
about 경기체가


[광고]
[100 세트 한정] 행운의 2달러 스타노트+네잎클로버 컬렉션 35% 19,800원 12,800원
경기체가 (景幾體歌)
고려 고종 때 생겨나서 조선 선조 때까지 이어온 장가의 한 형식. 경기하여가(景幾何如歌), 또는 별곡체(別曲體)라고도 한다.
▣ 지식지도
◈ 지식지도
경기체가 (景幾體歌) 고려 가요 고전 문학 한국 문학 향가 가사 문학 가전체 문학 개화기 문학 경향 문학 계급주의 문학 고대 소설 고대 수필 구비 문학 국문학 국문학사 국어 국문학 낭만주의 문학 동반자 문학 민족주의 문학 불교 문학 설화 문학 시조 신문학 아동 문학 악장 여류 문학 전쟁 문학 절충주의 문학 패관 문학 풍요 한문학 고대 가요 권근 권호문 변계량 정극인 권제 김성일 안축 류성룡 이색 이황 정몽주 권부 독락팔곡 불우헌곡 상대별곡 죽계별곡 한림별곡 화산별곡 가시리 균여전 도솔가 도천수관음가 모죽지랑가 보현십원가 불우헌집 사모곡 삼국유사 삼대목 상저가 상춘곡 서동요 세종실록 시용향악보 악장가사 악학궤범 원왕생가 정석가 제망매가 찬기파랑가 처용가 천수대비가 청산별곡 총결무진가 헌화가 혜성가 근재집 우적가 안민가 양촌집 입학도설 불우헌가 한거십팔곡 갑오개혁
▣ 원문/전문 (인기순, 1~10 위)
(총 21 작품) [모두보기]
한림별곡 翰林別曲 경기체가 한림 학사들 (432) 오륜가 五倫歌 경기체가 (198) 관동별곡 關東別曲 경기체가 안축(安軸) (94) 죽계별곡 竹溪別曲 경기체가 안축 (56) 상대별곡 霜臺別曲 경기체가 권근 (49) 독락팔곡 獨樂八曲 경기체가 권호문 (43) 화산별곡 華山別曲 경기체가 변계량 (31) 화전별곡 花田別曲 경기체가 (24) 불우헌곡 不憂軒曲 경기체가 정극인 (丁克仁) (22) 연형제곡 宴兄弟曲 경기체가 (15) 금성별곡 錦城別曲 경기체가 (14) 축성수 祝聖壽 경기체가 예조 (14)
▣ 시민참여콘텐츠
(총 21 개) [모두보기]
◈ 인기순 (1 ~ 4 위)
2019.06.22
【학습】 조선 세종 때 지은 것으로 추정되는 작자 미상의 경기체가. ≪악장가사 樂章歌詞≫에 전하며, ≪악학편고 樂學便考≫에도 실려 있다. 이 작품은 ≪악장가사≫에 전하는 것으로 보아 궁중의 연향(宴享)에 쓰인 악장의 하나로 보인다.
2019.06.23
【학습】 이 노래는 경기체가의 전형적인 작품이자 현전하는 최고(最高)의 작품이다. 작자는 고려 고종 때 한림의 유생들로, 바로 제1장에 나오는 문인들로 여겨진다.
2019.06.21
경기체가(景幾體歌)
【--】 고려 고종 때 발생하여 조선 선조 때까지약 350년간 이어진 별곡체 형태의 시가를 이른다. 그최초의 작품은 한림학사들이 지은 '한림별곡(翰林別曲)'이다.
22 (+6) | 경기체가
2019.06.23
【학습】 1425년(세종 7) 변계량(卞季良)이 지은 경기체가(景幾體歌). 총 8장. 궁중에서 연악(宴樂)으로 쓰이던 송도가(頌禱歌)로서 악장문학에 속한다. ≪악장가사≫에 수록되어 있으며, ≪세종실록≫과 ≪증보문헌비고≫에도 소개되어 있다. ≪세종실록≫에 의하면 1425년에 지은 것으로 되어 있다.
◈ 등록순
2019.06.23
【학습】 조선시대 중종 때의 학자 자암 김구가 지은 경기체가로 작자 문집인 '자암집'에 수록되어 있다. 확실한 제작 연대는 미상이나, 작자가 기묘사화(己卯士禍)로 경상도 남해(南海)에 유배되었을 때 그 곳의 승경(勝景)인 화전의 풍경을 노래한 작품이다.
2019.06.23
【학습】 1425년(세종 7) 변계량(卞季良)이 지은 경기체가(景幾體歌). 총 8장. 궁중에서 연악(宴樂)으로 쓰이던 송도가(頌禱歌)로서 악장문학에 속한다. ≪악장가사≫에 수록되어 있으며, ≪세종실록≫과 ≪증보문헌비고≫에도 소개되어 있다. ≪세종실록≫에 의하면 1425년에 지은 것으로 되어 있다.
2019.06.23
【학습】 이 노래는 경기체가의 전형적인 작품이자 현전하는 최고(最高)의 작품이다. 작자는 고려 고종 때 한림의 유생들로, 바로 제1장에 나오는 문인들로 여겨진다.
2019.06.22
【학습】 조선 중종 때 주세붕(周世鵬)이 지은 경기체가. 전 5장. 1541년(중종 36)에서 1544년 사이에 지어진 것으로 1544년 작자가 편찬한 ≪죽계지 竹溪誌≫에 수록되었고, 그의 문집인 ≪무릉잡고 武陵雜稿≫(別集 권8)에도 실려 있다.
2019.06.22
【학습】 고려 충숙왕 때 안축(安軸)이 지은 경기체가. 전체 5장. ≪근재집 謹齋集≫ 권2와 ≪죽계지 竹溪誌≫에 수록되어 있다. 작품의 배경인 죽계는 지금의 경상북도 풍기에 있는 시내 이름이며, 풍기의 옛 지명인 순흥(順興)은 안축의 관향(貫鄕)인 동시에 고향이다.
2019.06.22
【학습】 조선 중종 때 주세붕(周世鵬)이 지은 경기체가(景幾體歌). 전 6장. 작자가 풍기군수로 있을 때인 1541년(중종 36)에서 1544년 사이에 지어진 것이다. 작자의 저서 ≪무릉잡고 武陵雜稿≫ 별집과 ≪죽계지 竹溪誌≫에 수록되어 있다.
2019.06.22
【학습】 조선 세종 때 지은 것으로 추정되는 작자 미상의 경기체가. ≪악장가사 樂章歌詞≫에 전하며, ≪악학편고 樂學便考≫에도 실려 있다. 이 작품은 ≪악장가사≫에 전하는 것으로 보아 궁중의 연향(宴享)에 쓰인 악장의 하나로 보인다.
2019.06.22
【학습】 조선 시대의 경기체가. 형제 사이의 우애와조선의 문물을 칭송한 작품으로, 모두 5연으로 되어 있으며, 《악장가사》에 실려 있다. 작가와 연대는 알 수 없다.《악장가사(樂章歌詞)》에 그 내용이 전하며, 《세종실록(世宗實錄)》에 이 노래를 불렀다는 기록이 있는 것으로 보아 조선 초엽에 유림(儒林)이 지은 것으로 보인다.
2019.06.22
【학습】 조선 중기 떄에 주세붕이 지은 전 7장으로 된 경기체가로 모두 7장으로 되어 있으며 《무릉잡고(武陵雜稿)》에실려 있다. 1541년부터 1544년까지 주세붕이 풍기군수로 있을 때 지었다.<<죽계지>>와 <무릉잡고>> 별집 권8에 수록되어있다.
2019.06.22
【학습】 안양찬은 조선 초기 때의 승려인 기화가 지은 경기체가로 함허당어록에 전한다. 불교인이 염원하는 세계인 안양을 찬양하여, 안양에 태어나고자 하는 마음을 표현한 전체 10장의 작품이다.
2019.06.22
【학습】 작자 창작연대 미상의 경기체가 염불작법에 전한다. 염불작법은 1572년(선조5)4월에 개간하였다는 간기와 이 작품의 형식을 총하여 볼 때에 창작연대는 세종 때로 추정된다.
2019.06.22
【학습】 조선 초기에 권근(權近)이 지은 경기체가(景幾體歌) 형식의 가요. 총 5장. ≪악장가사≫에 수록되어 있다. 주로 궁중에서 연악(宴樂)으로 쓰이던 송도가(頌禱歌)로서 악장 문학에 속한다.
2019.06.22
【학습】 작가는 벼슬을 그만두고 향리 태인에서 안빈낙도하는 생활을 하면서 향리의 자제들을 힘써 교육하였고, 이로 인하여 성종으로부터 삼품의 작위와 더불어 그 지방 관찰사로 하여금 때때로 혜양하는 은전을 받았다.
2019.06.22
【학습】 조선 초기에 기화(己和)가 지은 경기체가. ≪함허당어록 涵虛堂語錄≫에 수록되어 있다. 미래불(未來佛)인 아미타불을 찬양하여, 서방정토에 들고자 함이 창작동기이다.
2019.06.22
【학습】 제목에는 8곡으로 되어 있으나 실제로는 7곡만이 문집인 '송암별집'에 수록되어 있다.
2019.06.22
【학습】 작가가 안향의 옛 집터인 순흥의 죽계에 문성공사(안향을 모신 사당)를 세우고, 영정을 봉안하고 나서 이 노래를 부르게 하였다.
2019.06.22
【학습】 조선 초기에 승려 지은(智賻)이 지은 경기체가. 작자가 그의 ≪적멸시중론 寂滅示衆論≫을 12장의 장편 경기체가로 지은 것으로, ≪적멸시중론≫에 수록되어 있다. 작자의 생몰년은 확실하지 않다.
2019.06.21
【학습】 1480년(성종 11) 박성건(朴成乾)이 지은 경기체가. 1789년(정조 13)에 간행된 ≪함양박씨세보 咸陽朴氏世譜≫에 실려 있다. 총 6장으로, 작자가 금성(錦城 : 지금의 羅州)의 교수로 있으면서 가르친 제자 10인이 소과에 급제하자 그 감격을 자랑한 내용이다.
2019.06.21
【학습】 1330년(충숙왕 17) 안축(安軸)이 지은 경기체가. 작자의 문집인 ≪근재집 謹齋集≫ 권2에 전한다. 작자가 44세 때 강원도존무사(江原道存撫使)로 있다가 돌아오는 길에 관동지방의 뛰어난 경치와 유적 및 명산물에 감흥하여 짓게 되었다.
2019.06.21
【학습】 1429년(세종 11) 예조에서 지은 경기체가. 조선 초기 송도가(頌禱歌)인 악장문학에 속하며, ‘성덕가(聖德歌)’라고도 한다. ≪세종실록≫ 권44에 그 내용이 전한다.
▣ 참조 카달로그
◈ 주요 언급 키워드
주세붕 (4) 백과 1429년 (2) 백과 안축 (2) 백과
◈ 참조 키워드
악장가사 (14) 백과 안축 (8) 백과 주세붕 (7) 백과 한국 문학 (6) 백과 근재집 (5) 백과 1544년 (3) 백과 권근 (3) 백과 권호문 (3) 백과 상대별곡 (3) 백과 세종실록 (3) 백과 악학궤범 (3) 백과 화산별곡 (3) 백과 가성덕 (2) 백과 가시리 (2) 백과 고려 가요 (2) 백과 고전 문학 (2) 백과 균여전 (2) 백과 김구 (2) 납씨가 (2) 백과 도솔가 (2) 백과 모죽지랑가 (2) 백과 문덕곡 (2) 백과 변계량 (2) 백과 보현십원가 (2) 백과 불우헌집 (2) 백과 사모곡 (2) 백과 삼국유사 (2) 백과 상저가 (2) 백과 서동요 (2) 백과 시용향악보 (2) 백과 신도가 (2) 백과 악장 (2) 백과 안민가 (2) 백과 영주시 (2) 백과 용비어천가 (2) 백과 우적가 (2) 백과 원가 (2) 원왕생가 (2) 백과 월인천강지곡 (2) 백과 정극인 (2) 백과 정동방곡 (2) 백과 정석가 (2) 백과 제망매가 (2) 백과 죽계지 (2) 백과 찬기파랑가 (2) 백과 처용가 (2) 백과 천수대비가 (2) 백과 청산별곡 (2) 백과 축성수 (2) 백과 풍요 (2) 백과 함허당어록 (2) 향가 (2) 백과 헌화가 (2) 백과 혜성가 (2) 백과
▣ 백과사전
고려 고종 때 생겨나서 조선 선조 때까지 이어온 장가의 한 형식. 경기하여가(景幾何如歌), 또는 별곡체(別曲體)라고도 한다.
 
‘경기체가’란 노래 가운데 ‘景幾何如’ 또는 ‘景(경) 幾(긔) 엇더하니잇고’라는 글귀가 있는 데서 붙여진 이름이다. 지은이는 대개가 귀족 계급이며, 내용은 그들의 학문, 도락, 생활 모습 등을 담고 있다.
 
최초의 작품은 고려 고종 때 여러 유생들(한림 제유)이 지은 것으로 되어 있는 「한림별곡(翰林別曲」이다. 그 밖에 고려 때 작품으로 안축(安軸)의 「관동별곡(關東別曲)」 「죽계별곡(竹溪別曲)」 등이 있고,
 
 
 
고려 속요가 지은이를 알 수 없는 것과는 대조적으로, 경기체가는 대개 지은이가 알려져 있음이 특색이다.
[광고]
제주 클레르 드 륀 펜션 제주시 애월읍, M 010-6693-3704
▣ 커뮤니티 (참여∙의견)
내메모
페이스북 공유하기 트위터 공유하기
심화항목(D)
추천 : 0
▣ 참조정보
백과 참조
 
참조 : 향가, 고려가요, 경기체가
목록 참조
 
외부 참조
 
©2021 General Libraries 최종 수정일: 2021년 1월 1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