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S 여러분! 반갑습니다.    [로그인]
키워드 :
지식놀이터 :: 단성 민란(丹城民亂)
단성 민란
자 료 실
▶ 지식지도
▶ 원문/전문 (없음)
▶ 시민 참여 콘텐츠 (없음)
▶ 관련 동영상 (없음)
about 단성 민란


[광고]
[100 세트 한정] 행운의 2달러 스타노트+네잎클로버 컬렉션 35% 19,800원 12,800원
단성 민란 (丹城民亂)
1862년(철종 13) 경상도 단성현이라는 고장에서 일어난 민란. 환곡 제도의 불평등한 시행으로 말미암아 발생한 민중들의 반란이다. 1862년 '임술 민란(壬戌民亂)'이라고 부르는 대규모 농민 항쟁은 이 단성 민란에서 시작한 것이다.
▣ 지식지도
◈ 지식지도
단성 민란 (丹城民亂) 1862년 임술민란 거창 민란 공주 민란 남해 민란 상주 민란 진주 민란
▣ 백과사전
1862년(철종 13) 경상도 단성현이라는 고장에서 일어난 민란. 환곡 제도의 불평등한 시행으로 말미암아 발생한 민중들의 반란이다.
 
1862년 '임술 민란(壬戌民亂)'이라고 부르는 대규모 농민 항쟁은 이 단성 민란에서 시작한 것이다. 이 때부터 가난과 허기에 지친 농민들의 민심은 크게 동요되고 있었다. 처음에는 단순한 고을 주민의 시위 정도로 여겼으나, 그 주요 원인은 환곡의 폐단에 있었기 때문에 점점 민란으로 번져갔다.
 
원래 단성은 3,000호밖에 안 되는 작은 읍 가운데 하나였고, 경제적으로도 풍요하지 못하였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환곡의 양은 이런 경제 사정에 비해 터무니없이 많았다. 호수가 3,000호에 불과한 읍이지만 환곡의 수가 무려 10만 여 섬에 이르렀다. 그 와중에서도 관아의 관리들은 거둬들인 원곡을 좋지 못한 방법으로 수탈하면서 곡식을 축내기까지 하였던 것이다. 또한, 제반 세금을 내는 과정에서도 부세를 토지에 부과하는 도결(都結)을 정한 금액보다 많이 물리는 등 농민들을 괴롭히는 부정이 갈수록 기승을 부렸다.
 
1861년 감영에서는 이른바 이무미(移貿米)라는 것이 관리들 사이에서 행해지고 있었는데, 이무미란 것은 부정한 방법으로 곡식 을 탐하던 수단이다. 값이 오른 자기 고을의 곡식을 내다 팔고, 대신 다른 고을의 싼 곡식을 사다가 채워 넣는 방법으로 이익을 남기는 일을 말한다. 이런 사정인데도 수령들은 힘없는 농민의 편을 들지 않았고, 감사 또한 이러한 나쁜 제도를 고치려 하지 않았다. 그저 다른 고장의 곡식을 이용하여 환곡을 채우려고만 하였을 뿐이다. 특히, 수탈한 곡식을 충당하기 위해서 농민들에게 곡식이라고 할 수도 없는 풀이나 식물 따위를 강제로 배급하거나 무게를 속이기 위하여 돌 등의 잡티를 섞는 방법까지 동원하여 농민들을 울렸다.
 
이런 관리들의 부정 속에서 농민들의 생계는 점점 막막해져 갔다. 자연히 농민들은 반발하게 되었고, 그 반란이 폭발하여 민란으로까지 이어지게 된 것이다. 또한, 양반 계층에서도 자신들에게 불리한 관아의 정책에 대해 불만의 소리가 나오기 시작하였다.
 
급기야 1862년 1월, 단성현 신등면에서 양반층인 김령·김인섭(1827~1903) 부자는 환곡 제도를 개선해 보려는 생각을 갖게 되었다. 이들이 환곡 제도의 심각성을 깨닫고 적극적으로 투쟁하기로 한 것은 이미 위험 수위를 넘은 관리들의 부정과 부패를 더 이상은 두고 볼 수가 없었기 때문이다.
 
사간원 정언을 지냈던 김인섭은 두 번 관직에서 물러나 귀향하였고, 1854년 다시 사직하고 학문에 전념하기 위해 고향에 머물렀다. 이 때 탐관 오리가 농민을 수탈하는 것을 보고, 1861년 감사와 현감에게 여러 차례 편지를 보내며 시정을 요구하였으나 묵살되자, 아버지와 함께 농민을 지도하여 부정한 현감과 아전을 쫓아냈다. 사건의 발단은 현감 임병묵이란 자가 이무미를 3,000 석이나 횡령한 사실이 드러나면서부터였다. 감영에서는 이를 해결하기 위해 부정하게 모아들인 곡식 을 단성의 농민들에게 나누어 줄 것을 권하는 공문을 발송하였다. 그러나 현감은 이를 시행하지 않았고, 이에 김인섭을 비롯한 지식층이 먼저 나서서 빈민들을 구제하고 자신들의 이익도 꾀할 것을 궁리하였던 것이다. 이후 평민들과 함께 1월 25일 읍내에서 보다 많은 인원들이 모여 회의를 개최하게 되었다. 이 모임을 위해 각 면마다 통문을 돌렸으며, 많은 사람들을 불러모으기 위해 참석하지 않는 자에게는 벌금 5냥이 부과된다는 내용도 함께 알렸다. 이렇게 모여든 양반과 농민들은 함께 관가로 몰려가 시위를 일으켰다. 관아에 복종만 하던 농민들의 원한은 커질 대로 커져, 곡식을 쌓아둔 창고에 불을 지르면서 공격하였다. 관아의 이서들은 몽둥이와 돌을 가지고 농민들을 진압하였다.
 
단성읍 농민들은 이런 이서들을 보고 더욱 분노하여 현감에게 직접적인 모욕을 주면서 이방의 집을 불태우고, 늦은 밤까지 시위를 벌였다. 이런 큰 충돌 끝에 현감과 관리들은 도주하였고, 시위를 주도한 양반들이 관아의 행정을 맡게 되었다. 이 후, 암행어사 이인명과 안핵사· 선무사 등이 파견되어 단성 민란을 진압하였다.
 
김령은 옥살이를 하였고, 이듬해 8월까지 유배 생활을 하였다. 김인섭도 의금부로 끌려가서 조사를 받았으나 곧 풀려났다. 1882년 단성 향교의 강장 (講長)에 추대되고, 1894년 사간원 헌납에 임명되었으며, 1902년 당상관에 올랐다. 이 외의 관련자들인 박익근·이시개·박장서·김대진 등도 감영에서 옥살이를 하였다. 현감 임병묵이란 자는 멀리 쫓겨났다.
 
농민 항쟁을 수습하기 위하여 중앙 정부 에서는 삼남 환폐 교구 절목을 통해 환곡을 많이 탕감시켜 주었다. 환곡 제도의 폐단은 농민들 뿐만 아니라 양반들에게도 큰 불만을 갖게 하였다. 다른 민란과는 달리 양반들이 주도한 것이 이 민란의 특징이다.
[광고]
제주 클레르 드 륀 펜션 제주시 애월읍, M 010-6693-3704
▣ 커뮤니티 (참여∙의견)
내메모
페이스북 공유하기 트위터 공유하기
기본항목(E)
추천 : 0
▣ 참조정보
백과 참조
목록 참조
 
외부 참조
 
©2021 General Libraries 최종 수정일: 2021년 1월 1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