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S 여러분! 반갑습니다.    [로그인]
키워드 :
지식놀이터 :: 박인로(朴仁老)
박인로
자 료 실
▶ 지식지도
원문/전문
시민 참여 콘텐츠
▶ 관련 동영상 (없음)
about 박인로


[광고]
[100 세트 한정] 행운의 2달러 스타노트+네잎클로버 컬렉션 35% 19,800원 12,800원
박인로 (朴仁老)
[1561~1642] 조선 선조 때의 무신, 시인 . 호는 노계(蘆溪), 무하옹(無何翁)이다.
▣ 지식지도
◈ 요약정보
박인로 (朴仁老) [1561~1642] 조선 선조 때의 무신, 시인. 호는 노계(蘆溪), 무하옹(無何翁)이다. 경북 영천 임진왜란이 일어나자 의병장 정세아 아래에서 왜군을 무찔렀고, 수군 절도사 성윤문의 군대에 들어가 공을 세웠다. 시가 문학사상 정철, 윤선도와 함께 3대 시가인 작품 《노계집》 가사 『태평사(太平詞)』, 『독락당(獨樂堂)』, 『영남가(嶺南歌)』, 『노계가(蘆溪歌)』, 『사제곡(莎堤曲)』, 『누항사(陋巷詞)』, 『선상탄(船上嘆)』 과 시조 『오륜가』 등
◈ 지식지도
박인로 (朴仁老) 가사 문학 남인 서인 한국 문학 1605년 윤선도 정세아 정철 가토 기요마사 고니시 유키나가 곽재우 구로다 나가마사 권율 권응수 김성일 김시민 도요토미 히데요시 도쿠가와 이에야스 봉림 대군 선조 성혼 신입 윤휴 이순신 이원익 이이 이이첨 이일 인평 대군 정양 황윤길 권필 노계집 누항사 선상탄 영남가 태평사 노계가 고산유고 동의보감 사미인곡 산중신곡 성산별곡 속미인곡 송강가사 송강집 어부사시사 오륜가 훈민가 산중속신곡 임진왜란 경주 전투 인조 반정 정유재란 진주성 전투 한산도 대첩 행주 대첩
▣ 원문/전문 (인기순, 1~10 위)
(총 16 작품) [모두보기]
누항사 陋巷詞 가사 박인로 (639) 노계가 蘆溪歌 가사 박인로 (133) 선상탄 船上嘆 가사 박인로 (103) 사제곡 莎堤曲 가사 박인로 (91) 상사곡 相思曲 가사 박인로 (91) 입암가 立巖歌 시조 박인로 (90) 소유정가 小有亭歌 가사 박인로 (82) 조홍시가 早紅枾歌 시조 박인로 (64) 오륜가 五倫歌 시조 박인로 (54) 태평사 太平詞 가사 박인로 (44) 독락당 獨樂堂 가사 박인로 (39) 영남가 嶺南歌 가사 노계 박인로 (23)
▣ 시민참여콘텐츠
◈ 인기순 (1 ~ 4 위)
2019.07.17
【학습】 1611년(광해군 3) 박인로(朴仁老)가 지은 가사. 작자의 나이 51세 때 작품으로 ≪노계집 蘆溪集≫에 실려 있다. 이본으로 끝부분이 떨어져 나간 필사본이 전한다. 4음보 혹은 3음보를 1행으로 헤아려 총 77행이다. 작자가 이덕형(李德馨)과 교유할 때 작자의 곤궁한 생활을 묻는 데 대하여 답으로 지은 것이다.
2019.07.18
【학습】 노계가 75세 되던 해인 인조 13년(1635)에 영남 안절사로 왔던 이근원이 널리 선정을 베풀어 포덕선화하다가 임기가 되어 떠날 때에 그 고장 백성들이 모두 유임하기를 간청했다고 한다. 이 사실을 들은 노계가 그의 덕치를 찬양하기 위하여 지은 송찬가사이다.
2019.07.17
【학습】 1605년(선조 38) 박인로(朴仁老)가지은 가사. 전문 68절 144구. ≪노계집 蘆溪集≫에 실려 있다. 지은이가 통주사(統舟師)로 부산에 부임할 때 전선(戰船)에서 전쟁의 비애와 평화를 추구하는 심정을 노래한 작품이다.
2019.07.18
【학습】 1598년(선조 31) 박인로(朴仁老)가지은 가사. 작자가 38세 때에 지은 작품으로 그의 문집인 ≪노계집 蘆溪集≫에 실려 있다. 작자가 경상도 좌병사 성윤문(成允文)의 지휘 아래 왜적을막고 있을 때 부산에 있던 적이 밤에 달아나자, 성윤문이 10여일 그곳에 머무른 뒤에 본영으로 돌아와 수군(水軍)을 위로하기 위하여 박인로로 하여금 이 가사를 짓게 한 것이다.
◈ 등록순
2019.07.18
【학습】 1598년(선조 31) 박인로(朴仁老)가지은 가사. 작자가 38세 때에 지은 작품으로 그의 문집인 ≪노계집 蘆溪集≫에 실려 있다. 작자가 경상도 좌병사 성윤문(成允文)의 지휘 아래 왜적을막고 있을 때 부산에 있던 적이 밤에 달아나자, 성윤문이 10여일 그곳에 머무른 뒤에 본영으로 돌아와 수군(水軍)을 위로하기 위하여 박인로로 하여금 이 가사를 짓게 한 것이다.
2019.07.18
【학습】 노계가 75세 되던 해인 인조 13년(1635)에 영남 안절사로 왔던 이근원이 널리 선정을 베풀어 포덕선화하다가 임기가 되어 떠날 때에 그 고장 백성들이 모두 유임하기를 간청했다고 한다. 이 사실을 들은 노계가 그의 덕치를 찬양하기 위하여 지은 송찬가사이다.
2019.07.17
【학습】 1605년(선조 38) 박인로(朴仁老)가지은 가사. 전문 68절 144구. ≪노계집 蘆溪集≫에 실려 있다. 지은이가 통주사(統舟師)로 부산에 부임할 때 전선(戰船)에서 전쟁의 비애와 평화를 추구하는 심정을 노래한 작품이다.
2019.07.17
【학습】 이 작품은 노계 박인로(1561∼1642)가 만년에 회재 이언적(1491∼1553)이 살던 경주 옥산의 독락당을 찾아갔을 때인 광해 11년(1619)에 지은 모현가사이다.
2019.07.17
【학습】 1611년(광해군 3) 박인로(朴仁老)가 지은 가사. 작자의 나이 51세 때 작품으로 ≪노계집 蘆溪集≫에 실려 있다. 이본으로 끝부분이 떨어져 나간 필사본이 전한다. 4음보 혹은 3음보를 1행으로 헤아려 총 77행이다. 작자가 이덕형(李德馨)과 교유할 때 작자의 곤궁한 생활을 묻는 데 대하여 답으로 지은 것이다.
2019.07.16
【학습】 박인로가 남긴 7편의 가사 가운데 최후의 작품으로 '노계집'에 수록되어 있다.
▣ 참조 카달로그
◈ 주요 언급 키워드
가사 (11) 백과 시조 (5) 백과 연시조 (5) 백과 1611년 (2) 백과
◈ 참조 키워드
노계집 (13) 백과 정철 (6) 백과 가사 (5) 백과 윤선도 (5) 백과 이덕형 (5) 백과 누항사 (4) 백과 노계가 (3) 백과 박선장 (3) 사미인곡 (3) 백과 선상탄 (3) 백과 성윤문 (3) 영남가 (3) 백과 이언적 (3) 백과 태평사 (3) 백과 1605년 (2) 백과 1649년 (2) 백과 가사 (2) 가사 문학 (2) 백과 경주시 (2) 백과 고산유고 (2) 백과 관동별곡 (2) 관동별곡 (2) 독락당 (2) 사미인곡 (2) 사제곡 (2) 산중속신곡 (2) 백과 산중신곡 (2) 백과 서인 (2) 백과 성산별곡 (2) 성산별곡 (2) 백과 속미인곡 (2) 백과 속미인곡 (2) 어부사시사 (2) 백과 오륜가 (2) 백과 오륜가 (2) 백과 이이첨 (2) 백과 인조 반정 (2) 백과 정세아 (2) 백과 청교도 혁명 (2) 백과 한국 문학 (2) 백과 훈민가 (2) 백과
▣ 백과사전
[1561~1642] 조선 선조 때의 무신, 시인 . 호는 노계(蘆溪), 무하옹(無何翁)이다.
 
경북 영천에서 태어나 어려서부터 글재주가 있었다.
 
임진왜란이 일어나자 의병장 정세아 아래에서 별시위가 되어 왜군을 무찔렀고, 수군 절도사 성윤문의 군대에 들어가 공을 세웠다. 이후 무과에 급제하여 만호 벼슬에까지 올라 선정을 베풀다가 벼슬에서 물러나 고향에서 지내면서 글짓기에 힘썼다.
 
그는 도학 사상과 자연애, 애국심에 바탕을 둔 여러 가사와 교훈적인 내용을 담은 시조를 남겨 시가 문학사상 정철, 윤선도와 함께 3대 시가인으로 손꼽히고 있다.
 
작품으로 가사 『태평사(太平詞)』, 『독락당(獨樂堂)』, 『영남가(嶺南歌)』, 『노계가(蘆溪歌)』, 『사제곡(莎堤曲)』, 『누항사(陋巷詞)』, 『선상탄(船上嘆)』 과 시조 『오륜가』 등이 《노계집》에 전한다.
 

박인로의 작품 세계

박인로는 조선 중기의 대표적 작가로서, 그의 가사 작품에는 여러 가지 특징적 면들이 포함되어 있다.
 
임진왜란 때 수군(水軍)으로 종군해서는 '태평사(太平詞)'와 '선상탄(船上嘆)'을 지었는데 표현은 소박해도 나라를 근심하고 군사들의 용기를 북돋우고자 하는 마음을 뜨겁게 나타냈다. '독락당(獨樂堂)', '소유정가(小有亭歌)'에서는 명승지를 찾아 그 유래와 경치를 찬양했고, '영남가(嶺南歌)'에서는 민심을 돌보러 온 관원의 덕치(德治)를 찬양하면서 임진왜란 후 백성이 조석(朝夕)을 잇지 못하면서 부역에 시달리는 사정을 나타내었다.
 
그는 유자(儒者)로서의 당위와 궁핍한 현실 사이에서 깊이 고심했는데, 이런 문제 의식이 가장 잘 드러난 것이 '노계가(蘆溪歌)'와 '누항사(陋巷詞)'이다. 이들 작품에서 박인로는 안빈낙도하는 이상적 삶을 노래하면서도 궁핍하고 누추한 현실에서 오는 갈등과 괴로움을 핍진(逼眞)하게 그리고 있다. 특히 '누항사'에서는 지금까지 가사에 등장하지 않았던 일상 생활의 언어를 대폭 받아들여 생동감과 구체성을 획득하는 탁월함을 보였고 그를 통해 조선 후기 가사의 새로운 방향을 제시하는 선국적 역할을 하였다.
[광고]
제주 클레르 드 륀 펜션 제주시 애월읍, M 010-6693-3704
▣ 커뮤니티 (참여∙의견)
내메모
페이스북 공유하기 트위터 공유하기
기본항목(E)
내서재 추천 : 0
▣ 참조정보
백과 참조
시가문학 : 정철, 윤선도, 박인로
목록 참조
【전문】선상탄
【전문】노계가
외부 참조
 
©2021 General Libraries 최종 수정일: 2021년 1월 1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