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S 여러분! 반갑습니다.    [로그인]
키워드 :
지식놀이터 :: 불갑사 대웅전(佛甲寺大雄殿)
불갑사 대웅전
자 료 실
▶ 지식지도
▶ 원문/전문 (없음)
▶ 시민 참여 콘텐츠 (없음)
▶ 관련 동영상 (없음)
about 불갑사 대웅전


[광고]
[100 세트 한정] 행운의 2달러 스타노트+네잎클로버 컬렉션 35% 19,800원 12,800원
불갑사 대웅전 (佛甲寺大雄殿)
전라 남도에 있는 불갑사의 본당. 정확한 위치는 전라 남도 영광군 불갑면 모악리로, 불갑사는 불갑산 북쪽 능선에 세워진 절이다. 절은 오래 전에 지은 것이지만 대웅전은 조선 시대 중기에 건립되었는데, 전체 규모는 모두 정면 3칸, 측면 3칸으로 되어 있고, 겹처마 팔작 지붕 건물이다. 대웅전은 보물 제830호로 지정되어 있다.
▣ 지식지도
◈ 지식지도
불갑사 대웅전 (佛甲寺大雄殿) 마라난타
▣ 백과사전
전라 남도에 있는 불갑사의 본당. 정확한 위치는 전라 남도 영광군 불갑면 모악리로, 불갑사는 불갑산 북쪽 능선에 세워진 절이다.
 
절은 오래 전에 지은 것이지만 대웅전은 조선 시대 중기에 건립되었는데, 전체 규모는 모두 정면 3칸, 측면 3칸으로 되어 있고, 겹처마 팔작 지붕 건물이다.
 
잡석으로 쌓아 올린 2층 기단 위에 원형 주춧돌을 올려 배흘림 기둥을 세웠다. 이 법당은 부석사 무량수전과 같이 내부의 서쪽에 불단을 안치하였다. 보통 출입문의 경우는 앞쪽으로 내는 것이 관례이지만, 앞면 3칸에 모두 3짝의 꽃살문을 만들어 창문을 내었고, 동쪽 벽 중앙에 문을 만든 특이한 건축 구조이다. 1869년(고종 6)에 현 상태로 이설하여 남쪽 방향으로 문을 달았다. 기둥 위에는 창방과 평방을 둘렀다. 공포는 내3 출목, 외2 출목으로 된 다포계이다. 정면 전체에는 단청이 잘 보존되어 있고, 시대적 특성을 예측할 수 있는 부재들이 있다.
 
대웅전은 중앙에 석가모니불이 모셔져 있으며, 왼쪽으로 약사여래불, 오른쪽에 아미타불을 모셨다. 이러한 배치는 다른 절에 비해 다소 특이한 불상 배치라고 할 수 있다.
 
이 절은 특히, 건축사 연구에 좋은 자료가 되고 있다. 1909년에 쓰여진 《불갑사 창설 유서》에 의하면 384년(백제 침류왕 1)에 마라난타가 창건하였다고 한다. 마라난타는 백제에 처음으로 불교를 전한 고승이다. 이처럼 이 시기는 삼국이 불교를 수용하기 시작한 때로, 우리 나라 역사에 있어서 매우 중요한 의의를 갖는 시기이기도 하다.
 
고대 국가의 면모를 갖추기 시작한 고구려· 백제· 신라는 왕권을 강화하고 백성들을 다스리기 위하여 기존의 원시 종교에서 벗어날 필요가 있었다. 그러므로 보다 강력한 통치 수단으로써의 국가적 종교를 요구하게 되었으며, 이것이 불교의 수용으로 이어진 것이다. 제일 먼저 불교를 수용한 국가는 고구려로, 372년(소수림왕 2)에 이루어졌다. 신라는 눌지왕(417~458)때 처음 전해졌다가 527년(법흥왕 14)에 이차돈의 순교 후에 공인되었다.
 
백제 시대 때 세워진 불갑사는 805년(신라 애장왕 5)에 이르러 새로 수리되었다고 전하고 있다. 이후에도 여러 번 중수되었는데, 1938년에 아홉 번째로 중수하였다.
 
대한 불교 조계종 제18교구 본사인 백양사의 부속 사찰인 말사로, 이 절은 고려 진각 국사가 머무르면서부터 크게 번성하였다고 전해지고 있으며, 당시에 절에 머물던 승려는 무려 수백 명에 이르렀다고 한다.
 
현존하는 당우로는 대웅전·팔상전·칠성각·일광당·명부전·요사채 등 모두 15 동의 건물이 남아 있다. 1359년에 세워진 진각 국사비가 있으며, 전일암·해불암 등의 암자들도 잘 보존되어 있다. 이 밖에도 역사적으로 귀한 가치를 지니고 있는 여러 점의 사리탑이 있고 전국적으로 희귀한 불교 유물인 사천왕상이 있다. 또한, 이 절에는 700여 년이나 된 유명한 참식나무가 있다. 이 나무는 천연 기념물 제112호로 지정되어 있다.
 
대웅전은 보물 제830호로 지정되어 있다.
[광고]
제주 클레르 드 륀 펜션 제주시 애월읍, M 010-6693-3704
▣ 커뮤니티 (참여∙의견)
내메모
페이스북 공유하기 트위터 공유하기
기본항목(E)
추천 : 0
▣ 참조정보
백과 참조
목록 참조
 
외부 참조
 
©2021 General Libraries 최종 수정일: 2021년 1월 1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