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S 여러분! 반갑습니다.    [로그인]
키워드 :
지식놀이터 :: 옹기(甕器)
옹기
자 료 실
▶ 지식지도
▶ 원문/전문 (없음)
▶ 시민 참여 콘텐츠 (없음)
관련 동영상
about 옹기


[광고]
[100 세트 한정] 행운의 2달러 스타노트+네잎클로버 컬렉션 35% 19,800원 12,800원
옹기 (甕器)
질그릇과 오지 그릇을 통틀어 일컫는 말. 질그릇은 붉은 진흙으로 빚어 잿물을 입히지 않고 구워 낸 그릇으로 겉면이 테석테석하며 윤이 없다.
▣ 지식지도
◈ 지식지도
옹기 (甕器) 도자기 고려 청자 백자 분청사기 조선 백자 청자 토기
▣ 참조 동영상 (인기순, 1~10 위)
[문화재 돋보기] 옹기
[한국문화]     (0)
▣ 참조 카달로그
◈ 참조 키워드
토기 (2) 백과
▣ 백과사전
질그릇과 오지 그릇을 통틀어 일컫는 말. 질그릇은 붉은 진흙으로 빚어 잿물을 입히지 않고 구워 낸 그릇으로 겉면이 테석테석하며 윤이 없다.
 
오지 그릇은 진흙으로 빚어 구운 다음, 오짓물(오지 그릇에 쓰이는 잿물)을 입혀서 다시 구운 그릇으로 검붉은 윤이 나고 질그릇보다 강하다.
 
오랜 옛날부터 쓰여 왔으며, 오늘날에도 항아리나 약탕관 등으로 쓰이고 있다.
 
우리 조상들은 신석기시대부터 토기를 만들어 사용했다. 삼국시대와 통일신라시대에는 적색 토기가 만들어졌고 고려시대에는 녹청자와 조금 더 단단해진 적색토기가 만들어 졌을 것으로 추정되며 조선시대에는 오지(옹기)그릇이 만들어 졌다.
 
조선 초기의 자료인 『세종실록지리지』,《경국대전》에 의하면 독의 형태와 질 등은 조금씩 바뀌었지만 우리가 지금 사용하는 독은 대체로 조선 초기부터였음을 알 수 있다.
 
또한, 조선시대의 풍속화를 살펴보면 집안 한 편에는 커다란 독과 항아리, 단지가 가지런히 서 있는 장독대가 있으며, 들판에는 새참을 즐기는 농부들 주변에 있는 그릇들과 술병들에서 오늘날의 옹기 형태를 찾아볼 수 있다.
 
17세기부터 옹기에 잿물유약이 사용되면서 오늘날 우리가 쉽게 볼 수 있는 윤기 나는 옹기로 발전하였다.
 
산업의 발달로 플라스틱과 스테인레스 그릇과 같이 가볍고 튼튼한 제품이 등장하면서 점차 우리생활에서 밀려났던 옹기는 현재는 다른 어떤 그릇보다 과학적이고 환경친화적인 장점으로 관심의 대상이 되고 있다.
 
그 화도에 따라 저화도 질그릇과 고화도 질그릇으로 나뉘어지며, 저하도 질그릇은 다시 검은색과 붉은색 질그릇으로 나뉘어 지게 된다.
 
통기성(숨을 쉬는 그릇), 다양성(쓰임새가 많은 그릇),방부성(보관이 용이한 그릇),환원성(흙으로 돌아가는 그릇)등의 특징이 있다.
[광고]
제주 클레르 드 륀 펜션 제주시 애월읍, M 010-6693-3704
▣ 커뮤니티 (참여∙의견)
내메모
페이스북 공유하기 트위터 공유하기
기본항목(E)
내서재 추천 : 0
▣ 참조정보
백과 참조
목록 참조
 
외부 참조
 
©2021 General Libraries 최종 수정일: 2021년 1월 1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