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S 여러분! 반갑습니다.    [로그인]
키워드 :
지식놀이터 :: 정조(貞操)
정조
자 료 실
▶ 지식지도
▶ 원문/전문 (없음)
▶ 시민 참여 콘텐츠 (없음)
▶ 관련 동영상 (없음)
about 정조


[광고]
[100 세트 한정] 행운의 2달러 스타노트+네잎클로버 컬렉션 35% 19,800원 12,800원
정조 (貞操)
순결을 지키는 것. 순결과 같은 뜻으로 쓰인다. 정조의 의미는 예로부터 지금까지 많이 변해 왔다. 옛날에는 정조가 넓은 뜻으로 사용되었다. 여성이 결혼하기 전에 순결을 지키는 것, 남편이 죽은 다음에 다시 혼인하지 않고 수절하는 것, 남편 외의 다른 사람과 간음하지 않는 것 등이 포함되었다.
▣ 지식지도
◈ 지식지도
정조 (貞操)
▣ 백과사전
순결을 지키는 것. 순결과 같은 뜻으로 쓰인다. 정조의 의미는 예로부터 지금까지 많이 변해 왔다. 옛날에는 정조가 넓은 뜻으로 사용되었다. 여성이 결혼하기 전에 순결을 지키는 것, 남편이 죽은 다음에 다시 혼인하지 않고 수절하는 것, 남편 외의 다른 사람과 간음하지 않는 것 등이 포함되었다.
 
그러나 요즘에는 좁은 뜻으로 사용되어, 결혼 전에 순결을 지키거나 결혼하고 나서 남편이나 부인 외의 다른 사람과 간음하지 않는 것 정도를 말한다.
 
정조는 보통 여성들에게만 요구된다. 그것은 가부장제 사회 가 확립되면서 나타났다. 가부장제 사회는 남성이 가정 이나 사회에서 힘을 가지고 있는 사회를 말한다.
 
가부장제 사회는 사람들이 한곳에 정착하여 살기 시작할 무렵부터 나타났다. 한곳에 정착하여 농사를 지으면서 힘든 농사일은 주로 남성이 담당하고 이들이 가족의 생계를 책임지게 되었다. 그러자 남성은 자연스럽게 가정이나 사회에서 여성들보다 높은 위치에 있게 되었다. 가정에서 남성들은 마음대로 첩을 둘 수 있었다. 따라서 남성에게는 정조가 요구되지 않고, 여성에게만 정조가 요구되었다. 여성의 덕은 곧 남편에 대한 정조를 지키는 것이 되었다. 더 나아가 남성들은 여성이 정조를 지키기 위해서는 목숨도 내놓아야 한다고 생각하였다. 우리 나라에서는 예로부터 이러한 정조 관념 이 있었다.
 
정조 관념은 고려 시대 말에 처음 등장하였다.
 
고려 시대 말에는 중국의 원나라로부터 성리학(유학)이 들어왔다. 유학은 사람들 사이에 꼭 필요한 질서를 지키면 정치나 사회의 제도가 안정된다는 사상이다. 사람들 사이에 필요한 질서란 곧 남성과 여성 사이의 질서를 말하는 것이다. 이것을 다른 말로 하면, 여성은 남편에 대한 정조를 지켜야 한다는 것이다. 유학은 고려 말 가부장제 사회를 당연한 것으로 여기도록 하는 데 한몫을 하였다. 가부장제 사회 를 지키기 위해서는 여성들에게 정조 관념을 갖도록 하는 것이 필요하였다. 이 때 여성들에게 정조가 요구되었다.
 
조선 왕조가 세워질 때 태조 이성계는 유학을 나라의 이념으로 삼았다. 고려 말 이성계와 그를 중심으로 한 사대부들은 고려 사회의 이념이었던 불교를 배척하기 위해 유교를 새로운 왕조의 이념으로 선택한 것이다. 그러면서 여성들에게는 정조를 더욱 강조하게 되었다.
 
조선 시대는 여성들의 지위가 매우 낮아서 남편에 대해 정조를 지키는 여성만이 지위를 보장받을 수 있었다. 성종 때에 오면 모든 사회 제도가 유학 사상에 의해 확립되었다. 이 때 재가녀 자손 금고법이라는 법이 만들어졌다. 이 법은 다시 혼인한 여성의 자손은 과거 시험을 볼 수 없도록 한다는 법이었다. 이는 여성들의 정조 관념을 강화하는 데 큰 영향을 미쳤다.
 
16세기 이후 사회가 불안해지자 이를 극복하기 위해 유교 이념은 더욱 강화되었다. 이에 따라 정조 관념은 더 강화되었다. 조선 시대에 여성의 덕은 남편에 대한 정조를 지키는 것이었다. 남성들은 부인을 여러 명 두고 있으면서 부인들에게는 정조를 요구하였다. 남편이 죽고 부인이 과부가 되면 그 부인은 평생을 혼자 수절해야 하였고, 그것이 미덕이었다. 나라에서는 평생 수절한 부인에게 열녀문을 세워 주고, 이들은 사람들의 칭송을 받고, 가문의 명예로 여겨졌다.
 
지금 조선 시대의 정조 관념은 사라졌지만, 우리 사회에는 아직도 이러한 관념이 남아 있다.
 
한편, 현재 법률상으로는 부부, 즉 남녀가 모두 정조를 지킬 의무가 있다. 만약 이 법을 어겨 남편이나 아내가 아닌 다른 사람과 간음하면 간통죄로 처벌받는다. 또, 부정 행위를 한 것이므로 상대방이 요구하면 이혼 사유가 되며, 부정 행위를 한 사람은 자신의 남편이나 아내에게 위자료를 주어야 한다. 한편, 정조는 성적인 자유를 다른 사람으로부터 침범당하여 해를 입지 않을 권리의 의미도 포함된다. 만약, 협박· 사기· 폭력 으로 여성이 성적인 피해를 당하면 성적인 자유를 침해한 범죄로 처벌받는다. 또, 본인의 동의가 있더라도 결혼하겠다고 하면서 간음하면 혼인 빙자 간음죄로 처벌받는다.
 
위의 범죄는 모두 정조에 대한 죄에 해당된다.
 
정조에 대한 관념은 지금은 의미가 많이 바뀌었다. 여성에게 뿐만이 아니라 남성에게도 정조가 요구되고 있고, 이제는 여성 에게도 재혼이 당연한 것으로 되어 있다. 그러나 지금의 사회도 가부장제 사회이기 때문에 남성보다는 여성에게 순결을 더 강요하고, 특히 결혼하지 않은 여성에 대한 순결 의무 강요는 변하지 않고 있다.
[광고]
제주 클레르 드 륀 펜션 제주시 애월읍, M 010-6693-3704
▣ 커뮤니티 (참여∙의견)
내메모
페이스북 공유하기 트위터 공유하기
기본항목(E)
▣ 동음이어
정신 활동에 따라 일어나는 감정. 특히, 진리, 아름다움, 선한 행동, 신성한 것을 보거나 대하였을 때 마음에서 느끼는 고차원적인 감정이다.
[1752 ~ 1800] 조선 제22대 왕 (재위 1776~1800년). 아버지는 사도 세자이고, 어머니는 혜경궁 홍씨이다.
내서재 추천 : 0
▣ 참조정보
백과 참조
 
목록 참조
 
외부 참조
 
©2021 General Libraries 최종 수정일: 2021년 1월 1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