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S 여러분! 반갑습니다.    [로그인]
키워드 :
지식놀이터 :: 정학유(丁學游)
정학유
자 료 실
▶ 지식지도
원문/전문
시민 참여 콘텐츠
▶ 관련 동영상 (없음)
about 정학유


[광고]
[100 세트 한정] 행운의 2달러 스타노트+네잎클로버 컬렉션 35% 19,800원 12,800원
정학유 (丁學游)
[1786 ~ 1855] 조선 헌종 때의 문인. 호는 운포(耘逋)이며, 다산 정약용의 둘째 아들이다. 《농가월령가》의 작자로 알려져 있다.
▣ 지식지도
◈ 요약정보
정학유 (丁學游) [? ~ ?] 조선 헌종 때의 문인. 호는 운포(耘逋) 다산 정약용의 둘째 아들 농가월령가》의 작자로 알려져 있다.
◈ 지식지도
정학유 (丁學游) 신유 박해 실학 다산학단 남양주시 정약용 황상 고상안 김정희 남상교 박제가 서유구 신위 유형원 이익 정약전 정약종 이학규 박장암 홍길주 농가월령가 경세유표 목민심서 시경강의 흠흠신서 정학연
▣ 원문/전문 (인기순, 1~10 위)
▣ 시민참여콘텐츠
◈ 인기순 (1 ~ 4 위)
2019.07.17
【학습】 조선 헌종 때 정학유(丁學游)가 지은 가사. 1책. 필사본. 월령체(月令體) 장편가사이다. 작자가 고상안(高尙顔)이라는 설도 있었으나, 정학유로 고증되었다. 필사 이본으로는 권경호본(權卿鎬本, 1876)·이탁본(李鐸本)·정규영본(丁奎英本, 1925)·안춘근본(安春根本)·이능우본(李能雨本) 등이 전하고 있다.
 
◈ 등록순
2019.07.17
【학습】 조선 헌종 때 정학유(丁學游)가 지은 가사. 1책. 필사본. 월령체(月令體) 장편가사이다. 작자가 고상안(高尙顔)이라는 설도 있었으나, 정학유로 고증되었다. 필사 이본으로는 권경호본(權卿鎬本, 1876)·이탁본(李鐸本)·정규영본(丁奎英本, 1925)·안춘근본(安春根本)·이능우본(李能雨本) 등이 전하고 있다.
 
▣ 참조 카달로그
◈ 참조 키워드
정약용 (4) 백과 경세유표 (2) 백과 김정희 (2) 백과 다산학단 (2) 백과 목민심서 (2) 백과 실학 (2) 백과 유형원 (2) 백과 이익 (2) 백과 흠흠신서 (2) 백과
▣ 백과사전
[1786 ~ 1855] 조선 헌종 때의 문인. 호는 운포(耘逋)이며, 다산 정약용의 둘째 아들이다. 《농가월령가》의 작자로 알려져 있다.
 
정학유는 1786년(정조 10) 7월 29일 아버지 정약용과 어머니 풍산 홍씨 사이에서 둘째 아들로 태어났다. 이 해는 정약용이 25세 때로 별시(別試)의 초시(初試)에 합격한 해이기도 하다. 정학유의 학문은 아버지 정약용에게서 영향을 받았다. 정약용은 정학연(丁學淵, 1783~1859), 정학유 두 아들에게 자주 올바른 학문과 처신을 강조하였다. 정학유가 자신의 가벼운 성격을 고치고자 처소의 이름을 ‘경기재(敬己齋)’라고 짓자 이에 정약용은 <경기재잠(敬己齋箴)>을 지어주어 독려하였다. 또한 정약용은 정학유가 닭을 기르자, 그에게 양계(養鷄) 방법을 연구하여 《계경(鷄經)》을 지어볼 것을 권유하였다. 이러한 일화는 새로운 실용적 학문 영역에 대한 그들의 관심을 반영한다고 볼 수 있다. 이 밖에도 정약용은 정학유에게 경학 등의 학문에 힘쓸 것을 자주 독려하였다. 정약용은 《주역사전(周易四箋)》, <제무진본(題戊辰本)>에서 1808년(戊辰)에 이 책을 완성하는 데 정학유의 도움을 받았음을 기록하였으며, 《주역사전》에는 정학연과 정학유의 의견이 간간이 실려있다.
 
정학유는 정약용의 벗이었던 청송 심씨 심욱(沈澳, ?~?)의 딸과 1800년(정조 24)에 혼인하였다. 하지만 정학유의 처 심씨는 1816년(순조 16) 8월에 죽었고 《다산시문집》에는 정약용이 지은 심씨의 묘지명 「孝婦沈氏墓誌銘」이 있다. 정학유는 이후 남양 홍씨 홍발(洪鏺, ?~?)의 딸과 혼인하였다. 정학유는 형 정학연과 더불어 현재 “다산학단(茶山學團)”이라고 불리는 정약용의 제자 집단에 속하여 정약용으로부터 많은 학문적 영향을 받았다. 정학유는 1845년(헌종 11) 형 정학연과 더불어 정약용의 제자인 황상(黃裳, 1788~1863, 호:巵園)과 《정황계첩(丁黃契帖)》을 엮어 두 집안이 대대로 우의를 지속하기를 다짐하며 계를 맺고 그 기록을 남기기도 했다. 구체적이고 실용적인 학문에 대한 정학유의 관심은 그의 저작 《시명다식》과 《농가월령가》를 통해서 상세히 확인할 수 있다. 《시명다식》은 《시경(詩經)》에 나오는 사물들을 풀, 곡식, 나무, 채소, 새, 짐승, 곤충, 물고기의 총 여덟 개의 범주로 설명한 것으로서 《시경》을 독해하는 데 있어 유익한 참고서가 될 수 있는 문헌이다. 이 책은 총 네 권으로 구성되어 있다. 서문은 형 정학연이 썼다. 그는 이 글에서 《시명다식》이 지어진 계기를 상세히 설명하였다. 정학유는 《금경(禽經)》, 《채보(菜譜)》, 《이아(爾雅)》, 《본초(本草)》 등을 서로 참조하여 이 책을 지었다고 기술하였다. 이러한 시도는 사물에 대한 실질적인 관심에서 비롯된 것으로 볼 수 있다. 《농가월령가》에서도 그의 학문적 관심사가 잘 드러나 있다. 정학유는 농민들의 일상과 농사일을 이 책에서 상세히 묘사하였다. 농민들이 각 절기마다 어떻게 행동해야 하는지에 대한 상세한 행동강령을 제시하였으며 농업이 갖는 중요성을 농민들에게 각인시켰다.
 
양계와 관련된 일화, 《시명다식》, 《농가월령가》의 내용들을 종합해 보면, 정학유의 학문이 구체적인 사물 자체를 탐구하는 데 있었으며, 그 가운데에서도 특히 농업과 긴밀한 관련성을 가졌음을 보게 된다. 닭을 직접 길러보거나 《시경》에 등장하는 사물들을 그냥 지나치지 않고 구체적으로 어떠한 것인지 찾아보고자 한 일, 《농가월령가》를 통하여 농민들의 생활을 제시하고 가르치고자 한 일은 정학유가 지향한 학문의 정신과 방향성을 잘 보여준다.
 
정학유의 묘는 현재 경기도 남양주시(南楊州市) 화도읍(和道邑) 금남리(琴南里)에 있다.
 
【인용】다산학술문화재단 홈페이지
[광고]
제주 클레르 드 륀 펜션 제주시 애월읍, M 010-6693-3704
▣ 커뮤니티 (참여∙의견)
내메모
페이스북 공유하기 트위터 공유하기
기본항목(E)
내서재 추천 : 0
▣ 참조정보
백과 참조
다산 정약용의 아들.
 
형제 : 정학연
 
목록 참조
【전문】농가월령가
외부 참조
 
©2021 General Libraries 최종 수정일: 2021년 1월 1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