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S 여러분! 반갑습니다.    [로그인]
키워드 :
지식놀이터 :: 연시조(連時調)
연시조
자 료 실
▶ 지식지도
원문/전문
▶ 시민 참여 콘텐츠 (없음)
▶ 관련 동영상 (없음)
about 연시조


[광고]
[100 세트 한정] 행운의 2달러 스타노트+네잎클로버 컬렉션 35% 19,800원 12,800원
연시조 (連時調)
시조의 한 종류.
▣ 지식지도
◈ 지식지도
연시조 (連時調) 시조 가사 문학 기호 학파 남인 단가 문묘 사설 시조 서인 엇시조 영남 학파 주자학 평시조 한국 문학 청백리 이기이원론 맹사성 윤선도 이이 이황 정철 기대승 김성일 김장생 김천택 박인로 봉림 대군 성혼 송익필 신 사임당 어숙권 류성룡 윤휴 이세춘 이언적 이은상 이이첨 이항복 인평 대군 정양 조헌 주희 황희 정탁 권필 이우 황준량 강호사시가 고산구곡가 고산유고 도산십이곡 청구영언 훈민가 가곡원류 강촌별곡 격몽요결 경연일기 고금가곡 권주가 매화가 백구사 사미인곡 사서율곡언해 산중신곡 성산별곡 성학집요 속미인곡 송강가사 송강집 양양가 어부사시사 율곡전서 장진주사 춘면곡 팔도지리지 해동가요 무이구곡가 퇴계전서 산중속신곡 인조 반정 도산 서원 황계사
▣ 원문/전문 (인기순, 1~10 위)
(총 85 작품) [모두보기]
어부사시사 漁父四時詞 시조 윤선도 (1094) 도산십이곡 陶山十二曲 시조 이황 (644) 강호사시가 江湖四時歌 시조 맹사성 (516) 오우가 五友歌 시조 윤선도 (428) 어부단가 漁父短歌 시조 이현보 (403) 단가 육장 短歌 六章 시조 이신의(李慎儀) (336) 고산구곡가 高山九曲歌 시조 이이 (332) 훈민가 訓民歌 시조 정철 (300) 견회요 遣懷謠 시조 윤선도 (266) 오륜가 五倫歌 시조 주세붕 (263) 매화사 梅花詞 시조 안민영 (安玟英) (256) 율리유곡 栗里遺曲 시조 김광욱 (213)
◈ 참조 원문/전문
목주잡가 木州雜歌 시조 황윤석(黃胤錫) (27)
▣ 참조 카달로그
◈ 주요 언급 키워드
시조 (58) 백과 정인보 (25) 백과 윤선도 (8) 백과 권섭 (5) 백과 박인로 (5) 백과 최남선 (4) 백과 이중경 (3) 백과 1642년 (2) 백과 김상용 (2) 백과 이신의 (2) 백과 이현보 (2) 백과
◈ 참조 키워드
고산유고 (7) 백과 삼강 오륜 (6) 백과 매화 (5) 백과 이덕형 (4) 백과 맹사성 (3) 백과 박인로 (3) 백과 정철 (3) 백과 청구영언 (3) 백과 (2) (2) 가곡원류 (2) 백과 강호가도 (2) 백과 국화 (2) 백과 금강산 (2) 백과 대나무 (2) 백과 산중신곡 (2) 백과 소나무 (2) 백과 송강가사 (2) 백과 안동시 (2) 백과 어부 (2) 어부가 (2) 백과 우국충정 (2) 백과 윤선도 (2) 백과
▣ 백과사전
시조의 한 종류.
 

주요작품

지은이가 만년에 벼슬을 버리고 고향에 내려가 한가로이 세월을 보낼 때 지은, 우리 나라 최초의 연시조로 총 4수로 구성되어 있다.
 
조선 후기 작자가 30세 때 권신 이이첨(李爾瞻)의 횡포를 상소하였다가 함경도 경원으로 유배되었을 때 지은 것으로 시어(詩語)의 반복을 통해 의미와 운율을 동시에 강조했고, 작가의 강직한 삶의 태도가 잘 드러나고 있다.
 
이이가 1578년(선조 11)에 벼슬에서 물러난 후, 황해도 해주에 정사(精舍)를 짓고 은거할 때, 주희(주자)의 ‘무이도가(武夷櫂歌)’를 본떠 지은 총 10수의 연시조이다.
 
이황이 1565년(명종 20년)에 벼슬을 버리고서 도산서원에 후진을 양성할 때, 성리학을 닦는 마음의 의지를 노래한 총 12수의 연시조이다.
 
만흥(漫興) - 윤선도, 《고산유고》
1642년(인조 20) 윤선도가 병자호란 때 임금을 수행하지 않았다는 이유로 영덕에 유배되었다가 풀려나, 해남의 금쇄동에 은거할 때에 지은 총 6수의 연시조이다.
 
비가(悲歌) - 이정환, 《송암유고》
모두 10수로 된 연시조로, 원제목은 ‘국치비가(國恥悲歌)’이다. 이는 병자호란을 배경으로 하여 비참한 국치를 당한 분노와 나라를 위해 죽지도 못하는 자신의 처지를 한탄하며 우국충정을 노래한 작품이다.
 
어부가(漁夫歌) - 이현보,《농암집》
고려 때부터 전해 오던 12장의 장가와 10장의 단가인 ‘어부가’를 이현보가 9장의 장가와 5장의 단가로 개작한 것이다.
 
어부사시사(漁父四時詞) - 윤선도, 《고산유고》
1651년(효종 2)에 윤선도가 전라남도 보길도 부용동에서 은거할 때 ‘어부가’의 영향을 받아 지은 연시조로, 사계절의 어부 생활과 어촌 풍경을 묘사한 작품이다.
 
영매가(詠梅歌) - 안민영, 《아악부본》
총 8수의 연시조로, 일명 ‘매화사(梅花詞)’라고도 한다. ‘영매가’는 1870년(고종 7)에 안민영이 그의 스승 박효관이 가꾼 매화를 보고 지은 것이라고 한다.
 
오륜가(五倫歌) - 주세붕, 《무릉속집》
총 6수로 된 연시조로, 지은이가 1551년(명종 6)에 해주에 수양 서원을 짓고 백성에게 오륜의 규범을 널리 펴기 위해 지은 것이다.
 
오우가(五友歌) - 윤선도, 《고산유고》
1642년(인조 20)에 윤선도가 병자호란 때 임금을 수행하지 않았다는 이유로 경상북도 영덕에 유배되었다가 풀려나, 전라남도 해남의 금쇄동에 은거할 때 지은 총 6수의 연시조이다.
 
조홍시가(早紅柹歌) - 박인로, 《노계집》
총 4수의 연시조로, 1601년(선조 34)에 이덕형이 도제찰사로서 영천에 이르렀을 때에, 잘 익은 홍시를 보고 부모님을 생각하면서 지은 연시조이다.
 
호아곡(呼兒曲) - 조존성, 《청구영언》
총 4수의 연시조로, 초장의 첫구가 모두 ‘아야’로 시작하였으므로 ‘호아곡(아이를 부르는 노래)’이라고 한다.
 
훈민가(訓民歌) - 정철, 《송강가사》
정철이 강원도 관찰사로 있으면서, 강원도 백성을 교화하고 계몽하기 위하여 지은 16수의 연시조이다. 그러므로 유교적 윤리를 주제로 한 교훈가라고 할 수 있다.
 
전가팔곡(田家八曲)
1664년(현종 5) 이휘일(李徽逸)이 지은 시조. 국문필사본. 작자가 45세 때 지은 이 작품은 농촌의 풍경과 농민의 노고를 소재로 하여 8곡의 단가(短歌), 곧 평시조 8수가 연첩(連疊)으로 구성되어 있다.
 
입암(立巖) - 박인로, 《노계집》
입암이라는 곳에서 지은 22편의 시조인데, 다시 7편이 발견되어 모두 29편이다. 우뚝 솟아 있는 바위가 지닌 긍정적 속성에 주목하여 인간에게 주는 교훈을 찾고 있는 작품이다.
[광고]
제주 클레르 드 륀 펜션 제주시 애월읍, M 010-6693-3704
▣ 커뮤니티 (참여∙의견)
내메모
페이스북 공유하기 트위터 공유하기
기본항목(E)
추천 : 0
▣ 참조정보
백과 참조
시조의 한 종류.
목록 참조
 
외부 참조
 
©2021 General Libraries 최종 수정일: 2021년 1월 1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