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S 여러분! 반갑습니다.    [로그인]
키워드 :
지식놀이터 :: 【 이완근 이학준의 희망의 문학

(지식창고) 지식 자료 구독

  
▣ 다큐먼트 (지식창고)
고대시가 (지식창고) (317) 향가 (지식창고) (825) 고려가요 (지식창고) (1327) 경기체가 (지식창고) (625) 악장 (지식창고) (47) 가사∙개화가사 (지식창고) (968) 민요 (지식창고) (386) 판소리 (지식창고) (270)
▣ 다큐먼트 (저작물)

▣ 전체 페이지 (모든 다큐먼트)
◈ 최근등록순
◈ 조회순
2019.07.18
【학습】 경상도 지방의 대표적인 통속 민요의 하나.
2019.06.22
【학습】 조선 세종 때 지은 것으로 추정되는 작자 미상의 경기체가. ≪악장가사 樂章歌詞≫에 전하며, ≪악학편고 樂學便考≫에도 실려 있다. 이 작품은 ≪악장가사≫에 전하는 것으로 보아 궁중의 연향(宴享)에 쓰인 악장의 하나로 보인다.
2019.07.18
【학습】 12잡가의 하나. 경기잡가의 하나로 월령체가(月令體歌), 또는 달거리요(謠)라고도 한다. 달거리의 매절은 흔히 그 달의 자연·기후상태·명절놀이·민속행사를반영하면서 서정적으로 노래한다. 소위 월령체(月令體)의 소리로서 오랜전통을 가진 형식의 노래라고 할 수 있다.
2019.06.04
【학습】 신라 경덕왕 때 충담(忠談)이 화랑 기파랑(耆婆郎)을 추모하여 지은 10구체 향가. ≪삼국유사≫ 권2 기이편(紀異篇) 제2 경덕왕 충담사 표훈대덕조(景德王忠談師表訓大德條)에 실려 전한다.
2019.07.18
적벽가
【학습】 주제 : 적벽대전에서 크게 패한 조조가 관운장에게 목숨을 비는 광경을 그린 노래
2019.06.08
【학습】 고려 가요의 하나. 고려 시대의 효자 문충이 지은 것으로 《목계가》라고도 한다. 가사는 전해지지 않으며, 다만 제목과 지은이, 내용의 유래만이 《고려사》의 《악지》에 전해져 내려오고 있다.
2019.07.18
【학습】 서울의 긴 잡가인 12잡가 중 하나. 판소리 〈춘향가〉 중 신관사또가 수청들지 않는다고 춘향이를 매질하게 하는 대목과 그것을 보고 불쌍해하는 구경꾼들의 동정, 춘향의 굽힘없는 수절을 잡가로 엮은 것이다.
2019.06.08
【학습】 작자와 연대 미상의 고려속요.
2019.07.18
【학습】 판소리 다섯마당 가운데 하나.‘박타령’이라고도 한다. 가난하고 착한 아우 흥보는 부러진 제비다리를 고쳐주고 그 제비가 물고 온 박씨를 심어 박을 타서 보물들이 나와 부자가 되고, 넉넉하고 모진 형 놀보는 제비다리를 부러뜨리고 그 제비가 물고 온 박씨를 심어 박을 타서 괴물들이 나와 망한다는 이야기를 판소리로 엮은 것이다.
38 (+4) | 판소리, 흥부가
2019.07.18
【학습】 경상도 지방의 대표적인 통속 민요의 하나.
2019.07.18
【학습】 판소리 사설. 박봉술(朴奉述) 창(唱) 박초월 창본
10 (+1) | 수궁가, 판소리
2019.06.08
【학습】 작자와 연대를 알 수 없는 고려 가요. 《악장가사》 《시용향악보》 《안상금보》 등에 실려 전한다.
2019.07.18
심청가
【학습】 판소리 사설. 인당수 제수로 팔려가는 심청이가 행선날 심봉사와 이별하는 장면
2019.06.08
【학습】 지은이와 연대를 알 수 없는 고려 가요. 《가시리》 《서경별곡》과 더불어 매우 뛰어난 고려 가요의 하나로 손꼽힌다.
2019.07.18
【학습】 판소리 계열 고대소설의 국문본, 판소리로 불리어질 때 ‘옹고집타령’이라고 한다.
2019.06.04
【학습】 신라 경덕왕 때 월명사(月明師)가 지은 10구체 향가. ≪삼국유사≫ 권5 감통(感通)7 ‘월명사 도솔가조(月明師兜率歌條)’에 실려 있다.
2019.07.18
【학습】 '춘향가'는판소리 다섯 마당 가운데 하나로 뒤에 판소리계 소설로 정착되었다고 보고 있다. 사설의 서사적 구조나 서술이 가장 예술성이 높고, 청중들의 사랑을 가장 많이 받아 온 마당이다. 사설과 창의 길이도 긴 것은 8시간이나 된다.
38 (+3) | 춘향가, 판소리
2019.06.08
가시리
【학습】 지은이와 지은 연대를 알 수 없는 고려 시대의 노래. 《악장가사》에는 《가시리》란 제목으로 전편이, 《시용향악보》에는 《귀호곡》이란 제목으로 제1연만 실려 전한다.
2019.07.18
【학습】 판소리 전승 5마당의 하나로 기본 줄거리는 〈삼국지연의〉의 적벽대전을 중심으로 한 부분을 차용하고 있으나, 세부에 있어서는 우리 실정에 맞게 새로이 창작된 부분이 많다.
55 (+4) | 적벽가, 판소리
2019.06.02
【학습】 작자·연대 미상의 가요로백제시대부터 구전해온 민간전승의 가요로서 현재 남아있는 유일한 작품으로 알려져 있다.
2019.07.18
【학습】 장끼타령은 판소리 열두마당 가운데의 하나로 일명 자치가(雌雉歌)라고도 한다. 내용은 장끼가 까투리의 만류에도 불구하고 탁첨지가 덫에 놓은 콩을 먹고 죽게 되자, 까투리는 참새·소리개와혼담을 하다가 홀아비 장끼를 만나 재혼하고 자손이 번창하였다는 이야기를 판소리로 꾸민 것이다.
2019.07.18
【학습】 조선 후기에 지어진 작자 미상의 가사. ≪경세설 警世說≫과 ≪초당문답가 草堂問答歌≫에 13편의 가사 중 하나로 실려 전한다. 이 작품은 제목에 드러나 있듯이 어리석은 사나이〔愚夫〕의 행적을 다루고 있다.
2019.07.18
【학습】 조선 시대 소설 '숙영낭자전'을 소리에 얹어부른 판소리 열두 마당의 하나로 일명 숙영낭자전 또는 백상서가라고도한다.
2019.06.02
【학습】 신라 제32대 효소왕(재위 692~702년) 때의 화랑 득오가 지은 향가. 8구체 형식의 향가이다. 동료 화랑인 죽지랑의 죽음을 애도하여 죽지랑에 대한 사모의 정과 인생의 무상함을 노래한 작품이다.
2019.07.18
【학습】 신재효(申在孝)가 개작한 판소리로 6마당 중의 하나로 일명, '가루지기타령', '횡부가(橫負歌)'라고도 한다. 송만재의 '관우희'에 '변강쇠타령'이라는 곡명이 보이고, 신재효의 '판소리 여섯마당'에 '변강쇠가'의 사설이 정리되어 있다.
2019.07.17
【학습】 조선 전기에 정극인(丁克仁)이 지은 가사. 작자의 문집 ≪불우헌집 不憂軒集≫에 전한다. 작자가 치사 후 태인에 돌아와 자연에 묻혀 살 때 지은 것으로, 속세를 떠나 자연에 몰입하여 봄을 완상하고 인생을 즐기는 지극히 낙천적인 노래이다.
2019.07.18
【학습】 현재 판소리 창으로나 창본인 사설이 전하지 않는다. 다만 김삼불이 국제문화관에서 출판한 교주본인 '배비장전'이 판소리 창본의 내용이 되리라고 추측되며, 판소리 열두 마당 중 한 마당으로, 작자 ·연대는 미상이나, 영 ·정조 연간에 배비장의 설화가 판소리에 사설로 극화(劇化)된 것으로 짐작된다.
2019.06.08
【학습】 지은이와 지은 연대를 알 수 없는 고려 가요 .
76 (+13) | 고려 가요, 동동
2019.07.18
【학습】 판소리 열두 마당의 하나로 '왈자타령(曰者打令)'이 '무숙이타령'이라는 설과 '오유란전(烏有蘭傳)'이 '무숙이타령'과 같다는 설 등 이설(異說)이 있으나 사설(辭說)은 전하지 않는다.
2019.06.08
【학습】 지은이와 연대를 알 수 없는 고려 시대의 가요. 가사가 전하는 고려 가요 중에서 가장 뛰어난 것의 하나이다.
2019.07.18
【--】 판소리를 부르기 전에 목을 풀기 위하여 부르는 단가(短歌)의 하나. 조선조 말기에 생긴 것으로 보이는 곡으로 민족항일기에 가장 많이 불린 곡 중 하나이다. ‘만고강산’이라는 곡명은 첫머리의 “만고강산 유람할제”라는 구절에서 따온 것이다.
2019.06.02
【학습】 백수광부의 아내(원작자는백수 광부의 처이며, 곽리자고의 부인 여옥이 이를 노래로 정착시킨것으로 알려져 있다.
2019.07.18
【학습】 작자 ·연대 미상의 판소리로 12마당 중의 하나로 강릉매화전(江陵梅花傳)이라고도 한다. 이 소리도 1810년 이전부터 불려 온 듯하나 현재는 전하지 않는다. 다만 1992년 '강릉매화타령'의 사설을 바탕으로 한 '매화가'라는 소설이 발견되어 그 전모를 알 수 있게 되었다.
2019.06.04
【학습】 신라 성덕왕대(702~737)에 이름을 알 수 없는 노인이 수로부인(水路夫人)에게 꽃을 꺾어 바치며 부른 4구체 향가로 〈삼국유사〉 권2 수로부인조에 가사 전문과 배경설화가 실려 전한다.
60 (+8) | 향가, 헌화가
2019.07.18
【학습】 판소리 열두마당의 하나. 송만재(宋晩載)의 〈관우희 觀優戱〉에서 그 존재가 확인되었으나 곧 소멸되어 현재는 전해지지 않는다. 정노식(鄭魯湜)의 ≪조선창극사 朝鮮唱劇史≫에서 이 작품 대신에 〈숙영낭자전 淑英娘子傳〉이 소개된 것으로 보아서, 〈가짜신선타령〉은 판소리의 열두마당에 들어 있다가 〈숙영낭자전〉으로 대치되어 소멸된 것으로 추측된다.
2019.07.18
【학습】 판소리 전승 5마당의 하나로 기본 줄거리는 〈삼국지연의〉의 적벽대전을 중심으로 한 부분을 차용하고 있으나, 세부에 있어서는 우리 실정에 맞게 새로이 창작된 부분이 많다.
55 (+4) | 적벽가, 판소리
2019.07.18
【--】
56 (+8) |
2019.06.25
【학습】 1580년(선조 13) 정철(鄭澈)이 지은 가사. ≪송강가사 松江歌辭≫와 ≪협률대성 協律大成≫에 수록되어 있다.
2019.07.18
【학습】 십이잡가(十二雜歌)의 하나.
2019.06.08
【학습】 지은이와 연대를 알 수 없는 고려 가요의 하나. 모두 6연 11절로 되어 있는 노래로 《악장가사》에 실려 전한다.
2019.07.18
【학습】 '춘향전(春香傳)'의 이도령과 춘향이 오리정(五里亭)에서 이별할 때 주고받는 사랑의 이야기 한 토막을 3마디로 나누어 도드리장단에 맞추어 부르는 소리 곡조이다.
2019.07.17
【학습】 유배 가사의 하나로, 조선 정조 때 대전별감(大殿別監)이던 안조환(安肇煥)이 지은 가사(歌辭)로 '사고향(思故鄕)'이라고도 한다. 이본으로 필사본 3종이 전하며, 필사본에 따라 작자 안조환이 안도환으로 기록되어 있기도 하다. 작자가 34세 때에 추자도(楸子島)로 유배된 사건을 작품의 배경으로 하고 있다.
2019.07.18
【학습】 판소리 '춘향가' 중 춘향이 신관사또 변학도(卞學道) 앞에 끌려 나와 매 맞는 장면에서 집장사령의 거동을 가극화한 것이다. 4분의 6박자 도드리장단에 속하나 실제로는 경쾌한 세마치장단에 의해 부르는 것이 보통이다.
2019.07.18
【--】
56 (+8) |
2019.07.18
【학습】 연자가(燕子歌)라고도 한다. 내용은 남도의 잡가인 '새타령'과 판소리 '흥보가'의 제비 후리러 나가는 대목에서 빌려온 것들이지만, 서울의 긴 잡가로 재치있게 꾸민 소리이다.
2019.06.02
【학습】 고구려 제2대 유리왕이 지은 가요. 왕의 계실(후실)이었던 치희(雉姬)와 헤어진 외로운 심정을 읊은 내용으로, 《삼국사기》에 실려 전한다.
2019.07.18
【학습】 십이잡가(十二雜歌)의 하나. 지은 사람은 잡가의 명창인 박춘경(朴春景)이라 하나, 그는 구전의 〈유산가〉를 현전하는 것으로 개작하였다는 설도 있다. 내용은 봄철이 되어 아름다운 산천을 구경가자는 데에서 비롯하여 그곳에서 펼쳐지는 가경이 풍류적으로 묘사되어 있다.
2019.06.21 경기체가(景幾體歌)
【--】 고려 고종 때 발생하여 조선 선조 때까지약 350년간 이어진 별곡체 형태의 시가를 이른다. 그최초의 작품은 한림학사들이 지은 '한림별곡(翰林別曲)'이다.
59 (+18) | 경기체가
2019.07.18
【학습】 판소리 '춘향가' 대목 가운데 옥에 갇혀 있던 춘향에게 집장사령이 매질하는 부분의 사설을 경기 12잡가로 옮겨 부르는 노래이다.
2019.07.18
【--】 '애국하는 노래'는 가사의 4음보 형식을계승한 개화기 시가문학으로서 개화기의 문학의 흐름을 보여 주는 제재로선정되었다. 이 노래는 <독립 신문>에 발표된 대표적 개화기 애국가사 가운데 하나이다.
2019.07.18
【학습】 12잡가의 하나. 내용의 전반은 춘향이 이도령에게 자기 집을알려 주는 대목이고, 후반은 이에 대한 남성의 연정을 노래한 것이다. 모두 72구의 짧은 작품으로 '춘향가(春香歌)'의 일부분을 초하였다는 뜻으로 '소춘향가(小春香歌)'라 하였다.
2019.06.04
【학습】 신라 헌강왕 때 처용이 지었다는 8구체 향가. ≪삼국유사≫ 권2 ‘처용랑망해사조(處容郞望海寺條)’에 관련 설화와 더불어 원문이 실려 있다.
40 (+2) | 처용가, 향가
2019.07.18
【학습】 12잡가의 하나. 산놀이를 주제로 한 '유산가'와 대비되는 것으로 가세타령이라고도 한다.
2019.06.04
【학습】 신라 경덕왕 24년(765년)에 충담사가 지은 10구체 향가
2019.07.18
【학습】 12잡가의 하나. 이별을 거부하는 여인에게 여러가지 방물을 주어 타이르는 노래 또는 사랑하는 낭군을 한양으로 떠나보내는 한 여인의 애절한 심정을 노래한 가사
2019.07.18
【학습】 '춘향가'는판소리 다섯 마당 가운데 하나로 뒤에 판소리계 소설로 정착되었다고 보고 있다. 사설의 서사적 구조나 서술이 가장 예술성이 높고, 청중들의 사랑을 가장 많이 받아 온 마당이다. 사설과 창의 길이도 긴 것은 8시간이나 된다.
38 (+3) | 춘향가, 판소리
2019.07.18
【학습】 경기 민요의 하나. 서울을 중심으로 한 중부지방에서 가장 많이 불리고 있는 민요의 하나이다. 원래 이 노래는 노랫가락과 함께 무당들이 부르던 무가(巫歌)였는데, 점차적으로 세상에 퍼지면서 경기 민요의 대표적인 노래가 되었다.
2019.07.18
【학습】 판소리 다섯마당 가운데 하나.‘박타령’이라고도 한다. 가난하고 착한 아우 흥보는 부러진 제비다리를 고쳐주고 그 제비가 물고 온 박씨를 심어 박을 타서 보물들이 나와 부자가 되고, 넉넉하고 모진 형 놀보는 제비다리를 부러뜨리고 그 제비가 물고 온 박씨를 심어 박을 타서 괴물들이 나와 망한다는 이야기를 판소리로 엮은 것이다.
38 (+4) | 판소리, 흥부가
2019.07.18
【학습】 전라남도 진도 지방의 민요. 부요적(婦謠的) 성격이 강한 서정민요이다. 현지에서는 ‘아리랑타령’이라고 부른다. 전라남도 진도에서 발생한 노래이나 지금은 전국적으로 불리고 있다. 사설은 기본적으로 남녀의 사랑과 이별을 주제로 하고 있다.
2019.06.23
【학습】 이 노래는 경기체가의 전형적인 작품이자 현전하는 최고(最高)의 작품이다. 작자는 고려 고종 때 한림의 유생들로, 바로 제1장에 나오는 문인들로 여겨진다.
2019.07.18
【학습】 강원도 정선 지방에 전승되는 민요. 강원도 무형문화재 제1호. 현지에서는 ‘아라리’ 또는 ‘아라리타령’이라고도한다.
2019.07.18
【학습】 조선 선조 때 정철(鄭澈)이 지은 가사. 4음보 1행으로 따져 48행이며, 기본 율조는 3·4조가 우세하다. 작품 연대는 정철의 나이 50세(1585)에서 54세(1589) 사이로 추측되고 있다. 군왕을 그리워하는 심정을 은유적으로 노래하였다. ≪송강가사 松江歌辭≫라는 판본에 수록되어 있다.
2019.07.18
【학습】 경북 대구지역의 민요. 부요(婦謠)
2019.07.18
【학습】 경북 경산 지방의 부녀자들에 의해 구전되던 부요(婦謠)로 봉건적인 가족제도 아래서 겪는 시집살이의 어려움을 주제로 삼았다.
2019.07.18
자장가
【학습】 경남 함양 지방의 민요. 독창으로 이루어진 아기를 어루고 달래는 기능요이다.
2019.07.17
【학습】 잇따른 불행으로 세 번을 개가(改嫁)하며 고단한 삶을 산 덴동어미의 이야기 [덴동어미화전가]는, 봄날 화전놀이를 배경으로 조선 시대 서민 여성의 삶이 생동감 있게 그려져 있는 한글 가사 작품이다.
2019.07.18
【학습】 제주도의 해녀들이 배를 타고 바다로 나갈 때 부르는 노래로 '이여도사나 노래'라고도 한다.
2019.07.18
【학습】 이 노래에서는 1896년 '독립신문'에 발표되었던 개화 가사이다.1896년 1월 조선은 자주 독립의 의지를 표방하기 위해서 '건양(建陽)'이라는독자적 연호를 제정하여 사용하였는데 이 노래는 당시 사회의 분위기를 잘 전해주고 있어서 독립에 대한 의지를 뚜렷이 하고 애국 정신을 고취하려는 의도에서 지어진 것이다.
2019.07.18
【학습】 전체 9연으로 구성된 신민요. 구한말에서 일제 강점에 이르는 우리 민족의 위기 상황을 반영한 노래로서, 민중들의 위기 의식이 소박하고도 직접적인 언어로 표현되어 날카로운 풍자성과 더불어 절실한 공감을 얻어내고 있다.
11 | 민요
2019.07.16 규원가(閨怨歌)
【학습】 조선 중기에 지어진 작자 미상의 가사. ‘원부사(怨夫詞, 怨婦詞)’ 또는 ‘원부가(怨婦歌)’라고도 한다. ≪고금가곡 古今歌曲≫과 ≪교주가곡집 校註歌曲集≫에 실려 전한다.
2019.07.18
아리랑
【학습】 신민요아리랑의 효시라고 보아도 무관한 〈경기아리랑〉은 노랫말로 유명하지만, 음악 언어의 원류는 대체로 〈정선아라리〉에서 찾을 수 있다.
2 | 민요
2019.06.08
【학습】 지은이 및 지은 연대를 알 수 없는 고려 때의 노래. 모두 4귀로 된 노래로, 《시용향악보》에 실려 전한다.
2019.07.18
【학습】 영남지방의 서사민요. 부녀자들이 주로 부른다. 진주낭군을 보려고 진주 남강에 빨래하러 갔다는 대목이 있어 노래 이름을 ‘진주낭군’이라 한다. 시집살이의 어려움과 남편의 배신 때문에 자살을 한다는 내용이다.
2019.06.08
【학습】 고려시대에 지어진 작자 미상의가요. 본래의 가사는 전하지 않고, 다만 이제현(李齊賢)의 ≪익재난고 益齋亂藁≫소악부(小樂府)와 ≪고려사≫ 악지(樂志)에 노래의 내력과이제현의 한역시가 수록되어 그 내용을 짐작할 수 있을 뿐이다.
2019.07.18
【학습】 경북 경산 지방의 부녀자들에 의해 구전되던 부요(婦謠)로 봉건적인 가족제도 아래서 겪는 시집살이의 어려움을 주제로 삼았다.
2019.06.04
【학습】 백제의 서동(薯童 : 백제 무왕(武王)의 어릴 때 이름)이 신라 제26대 진평왕 때 지었다는 한국 최초의 4구체(四句體) 향가(鄕歌)로, 민요 형식의 이 노래는 이두(吏讀)로 표기된 원문과 함께 그 설화(說話)가 '삼국유사(三國遺事)' 권2 무왕조(武王條)에 실려 전한다.
2019.07.18
【학습】 강원도 통천 지방의 노동요로 베짜는 여인들의 삶의 모습을 엿볼 수 있고, 베틀노래는 한국의 구전민요(口傳民謠)로 베틀가라고도 한다. 부녀자들이 베를 짜면서 그 과정을 노래한 대표적인 부요(婦謠)이다.
2019.07.17
【학습】 1588년(선조 21) 정철(鄭澈)이 지은 가사. 2음보 1구로 계산하여 전체 126구이다. 음수율에서는 3·4조가 주조를 이루며, 2·4조, 3·3조, 4·4조, 5·5조, 5·3조 등도 나타난다. ≪송강집 松江集≫·≪송강가사 松江歌辭≫·≪문청공유사 文淸公遺詞≫ 등에 실려 전한다.
2019.07.18
베틀가
【학습】 우리 나라에 알려진 베틀가 중에서 가장 유명한 노래로 베의 종류나 베 짜는 작업에 관한 사설, 베짜는 부녀자들의 신세 한탄이 주된 내용으로 당시 여성들의 고된 일상사를 엿볼 수 있다. 베짜는 노동의 아픔을 노래로 풀어가는 당시 여성들의 모습을 보는 것같은 작품으로 굿거리 장단으로 부른다.
2019.07.18
【학습】 십이 잡가의 일종으로 잡가의 명창인 박춘경이 지은 것이라 하나, 그는 구전 '유산가'를 현전하는 것으로 개작하였다는 설도 있다. 내용은 봄철이 되어 아름다운 산천을 구경하자는 데에서 비롯하여 그곳에서 펼쳐지는 가경이 풍류적으로 묘사되어 있다.
2019.07.18
【학습】 모를 심으면서 부르는 민요. ‘모내기소리’·‘모노래’·‘이앙가(移秧歌)’라고도 한다. 농업노동요의 기본적인 형태의 하나이며, 모내기가 전국적으로 보급되었을 때부터 널리 퍼져 어디서나 거의 같은 모습으로 전해지고 있다. 몇 편이 한시로 번역되었을 따름이고 문헌에는 그 이상 남아 있지 않으며, 오늘날의 현지 조사를 통해서 실상을 밝힐 수 있다.
2019.07.17
【학습】 조선 철종 때 김진형(金鎭衡)이 지은 유배가사. 필사본. 2음보 1구로 계산하여 전체 1,026구의 장편이다.작자가 홍문관교리로 있을 때 이조판서 서기순(徐箕淳)의 비행을 논척(論斥)하다가 반대파에 몰려 함경도 명천으로 유배되었다. 이 작품은 그 유배생활로부터 방면되어 돌아오기까지의 과정을 읊은 가사이다.
2019.07.18
【학습】 작자·연대 미상의 잡가(雜歌). 여러 종류의 맹꽁이를 해학적으로 늘어놓은 노래로, 〈바위타령〉·〈곰보타령〉·〈기생타령〉 등과 비슷한성격을 지닌 휘몰이 잡가의 하나이다.
2019.07.17
【학습】 작자·연대 미상의 가사. 국한문필사본. 작자는 이황(李滉)으로 추정되기도 하였으나, 임유후(任有後) 측근 인물들의 증언과 문헌의 신빙성으로 보아, 임유후로 추정되기도 한다.
2019.07.18
【학습】 만가(輓歌)의 일종인 상례의식요(喪禮儀式謠)이며 상여를 운반하는 노동요로 향도가, 향두가, 상두가, 상부소리라고도 한다. 죽은 사람의 명복을 빌면서 산 사람에게는 액이 들지 말고 복만 들기를 기원한다.
2019.06.02
【학습】 신라시대에 지어진 작자 미상의 노래. 신라 유리왕 9년 이후에 지어진 것으로 추정된다. 일명 ‘회악(會樂)’이라고도 한다. 가사는 전하지 않으며, 그 관련 설화가 ≪삼국사기≫ 유리왕 9년조에 전한다.
2019.07.18
【학습】 논에서 김[풀]을 맬 때 부르는 노래. 일종의노동요(勞動謠)로 나주(羅州)·안동(安東)·영양(英陽)·상주(尙州) 등지에서 성하며, 지방마다 각기 다른 사설과 선율을 지녔다.
2019.06.02
【학습】 현전 최고의 집단 무요, 주술성을 지닌 현전 최고의 노동요로 가락국 건국신화에 삽입되어 있는 주술적인 노래이다. <삼국유사> 권2, 가락국기
2019.07.18
녹두새
【학습】 민요 가운데 나오는 녹두는 동학란 때 전라도 고부에서 거병하였던 전봉준(全琫準)과 관련된 것이 많다. 이는 전봉준이 키가 작아서 별명이 ‘녹두장군’이었기 때문이다.
2019.07.17
【학습】 조선 헌종 때 정학유(丁學游)가 지은 가사. 1책. 필사본. 월령체(月令體) 장편가사이다. 작자가 고상안(高尙顔)이라는 설도 있었으나, 정학유로 고증되었다. 필사 이본으로는 권경호본(權卿鎬本, 1876)·이탁본(李鐸本)·정규영본(丁奎英本, 1925)·안춘근본(安春根本)·이능우본(李能雨本) 등이 전하고 있다.
2019.07.18
【학습】 조선 후기에 지어진 작자 미상의 규방가사. 작품의 화자가 과부라는 점에서 규방가사로 다루기는 하나, 여러 잡가집(雜歌集)들에도 수록된 것으로 보아, 그 성격이 단일하지는 않다.
2019.07.18
【학습】 1866년(고종 3) 가례주청사(嘉禮奏請使)의 서장관으로 북경(北京)에 다녀온 홍순학(洪淳學)이 지은 장편의 기행가사(紀行歌辭).
2019.07.18
【학습】 경기민요의 하나. 〈박연폭포〉라고도 한다. 황해도 난봉가(사랑가)의 일종이며, 박연폭포는 이 노래의 첫 구절에서 따온 것이다. 3절과 후렴으로 이루어진 유절형식(有節形式)의 곡이다.
2019.06.04
【학습】 신라 제26대 진평왕(眞平王:재위 579∼633) 때의 승려 융천사(融天師)가 지은 10구체(十句體) 향가로, 《삼국유사》 권5 <융천사혜성가조(融天師彗星歌條)>에 실려 있다.
2019.07.18
【학습】 강강술래는 정월 대보름날이나 팔월 한가위에 남부 지방에서 행하는 민속놀이로 여러 사람이 예쁜 한복을 입고, 함께 손을 잡고 원을 그리며 빙빙 돌면서 춤을 추고 노래를 부르는 놀이로 중요 무형 문화재 제8호이다.
2019.07.18
【학습】 강강술래는 정월 대보름날이나 팔월 한가위에 남부 지방에서 행하는 민속놀이로 여러 사람이 예쁜 한복을 입고, 함께 손을 잡고 원을 그리며 빙빙 돌면서 춤을 추고 노래를 부르는 놀이로 중요 무형 문화재 제8호이다.
2019.07.18
【학습】 화전놀이를 소재로 하는 규방 가사의 하나인 「화전가」는 양가댁 규중 부녀자들이 청명절을 전후하여 화전놀이를 하면서 부른 것으로 조선 여인의 풍류 노래라 할 수 있다. 임금님의 화갑이 있는 경사스러운 해, 날씨 좋은 날 규방에 갇혀 지내던 부녀자들이 꽃 피는 봄을 맞아 화전놀이를 하기 위해 인근 산천의 명승지를 찾아 떠나는 설렘과 산천에서 자연 경관을 즐기는 심정을 노래한 작품이다.
2019.06.23
【학습】 한글(훈민정음)로 기록된 최초의 작품(장편 영웅 서사시)으로 ‘월인천강지곡’과 함께 악장 문학의 대표작.
2019.07.18
【학습】 1598년(선조 31) 박인로(朴仁老)가지은 가사. 작자가 38세 때에 지은 작품으로 그의 문집인 ≪노계집 蘆溪集≫에 실려 있다. 작자가 경상도 좌병사 성윤문(成允文)의 지휘 아래 왜적을막고 있을 때 부산에 있던 적이 밤에 달아나자, 성윤문이 10여일 그곳에 머무른 뒤에 본영으로 돌아와 수군(水軍)을 위로하기 위하여 박인로로 하여금 이 가사를 짓게 한 것이다.
2019.06.08
【학습】 고려 의종 때 정서(鄭敍)가 지은 가요. 한글로 전하는 고려 가요 가운데서 지은이가 확실한 유일한 노래이며 「삼진작(三眞勺)」이라고도 한다.
• 활동 지역 :
▣ 지식창고
Ο 지식창고작업
판소리
민요
악장
향가
about 이완근 이학준의 희망의 문학
©2021 General Libraries 최종 수정일: 2021년 1월 1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