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S 여러분! 반갑습니다.    [로그인]
키워드 :
지식놀이터 :: 【 고재완의 지식창고
고재완의 여행을 떠나요     【고재완의 지식창고】 2017.12.07. 10:56 (2017.12.07. 10:47)

파주 보광사 방문기 (범종, 석불전과 영각전) (2016. 3. 3)

 
새로 지은 해탈문에서 부도전을 지나 만세루와 만세루에 걸린 목어(木魚)를 설명한데 이어 오늘은 보광사 범종과 영각전 및 석불전에 대하여 포스팅한다.
새로 지은 해탈문에서 부도전을 지나 만세루와 만세루에 걸린 목어(木魚)를 설명한데 이어 오늘은 보광사 범종과 영각전 및 석불전에 대하여 포스팅한다.
 
그리고 사찰에 가면 전각 이름을 잘 모르겠는데 일반적으로 ①'대웅전'에는 석가모니부처, ②'대적광전'이나 '비로전'에는 비로자나부처, ③'극락전'이나 '무량수전'에는 아미타부처, ④'약사전'이나 '만월보전'에는 약사여래부처, ⑤'용화전'이나 '미륵전'에는 미륵부처, ⑥'관음전'이나 '원통전'에는 관세음보살, ⑦'명부전'이나 '지장전'에는 지장보살, ⑧'응진전'이나 '나한전'에는 500나한이나 16나한 등이 모셔져 있다.
 

 
▼파주 보광사 연혁
 
894년(진성여왕 8)
도선(道詵)이 국가비보사찰(國家裨補寺刹)로 창건함.
 
 
1215년(고종 2)
원진국사(元眞國師) 중창함
법민대사(法敏大師)가 ‘목조비로차나삼존불(木造毘盧遮那三 尊佛)과 문수·보현보살상(文殊·普賢菩薩像)’ 등 불보살상(佛菩薩像) 5위를 造成하여 대웅보전(大雄寶殿)에 봉안(奉安)
 
1388년(우왕 14)
서거정(徐居正 1420~1480)이 절에 와서 시를 남김.
조욱(趙昱 1498~1557)이 절에서 노닐음.
 
1545년(명종원년)
10월 무렵 인근 파주 금강암(金剛庵)의 승려 敬元이 주석함.
 
1592년 이후
임진왜란(壬辰倭亂)으로 절이 전소됨.
 
1622년(광해군 4)
설미(雪眉)와 덕인(德仁)이 법당(法堂)과 승당(僧堂)을 복원하고 도솔암(道率庵)을 창건함.
 
1631년(인조 9)
도원(道元)이 범종불사(梵鐘佛事)를 위하여 청동(靑銅) 80근을 모음.
 
1634년(인조 12)
신관(信寬)이 300근의 범종을 조성함. 현 숭정7년명 동종(崇禎7年銘 銅鐘)
 
1667년(현종 8)
지간(智侃), 석련(釋蓮)이 중수함.
 
1740년(영조 16)
숙빈최씨의 묘 소령원(昭寧園)의 능침사찰로 조성.
대웅보전(大雄寶殿)과 광응전(光膺殿)을 중수하고 만세루(萬歲樓)를 創建. 영조(英祖)가 친필 현액을 내림.
풍계명찰(楓溪明察 1640~1708), 「고령산보광사명경당중수낙성축사(古靈山普光寺明鏡堂重修落成祝詞)」를 지음.
 
1863년(철종 14)
쌍세전(雙世殿)과 나한전(羅漢殿)·큰방·수구암(守口庵)이 건립됨.
지장보살(地藏菩薩)과 십왕상·석가여래삼존불·16나한상(十王像·釋迦如來三尊佛·16羅漢像) 등이 나한전(羅漢殿)과 쌍세전(雙世殿)에 조성됨.
 
1869년(고종 6)
환공치조(幻空治兆)가 보광사(普光寺)에서 결성한 정원사 결사(淨願社 結社)를 전개.
유운이 47세때 정원사 결사문(淨願社 結社文)을 찬술함.
안동김씨 후원으로 만세루(萬歲樓)가 중수됨.
 
1882년(고종 19)
『불설대아미타경(佛說大阿彌陀經)』을 간행함.
 
1884년(고종 21)
관음전(觀音殿)과 別堂이 축성됨.
 
1893년(고종 30)
산신각(山神閣)이 신축됨.
* 산신각편액 기록은 1871년(고종8)
 
1898년(광무 2)
인파(仁坡)가 상궁천씨(尙宮千氏)에게 권하여 취전(鷲殿)을 중수하게 함.
그 후순빈엄씨(淳嬪嚴氏)와 상궁홍씨(尙宮洪氏)의 시주로 단청(丹靑)함.
 
1898년(광무 2)
영산회상후불정(靈山會相後佛幀) 등 정화(幀畵)를 조성하여 봉안함.
 
1950년 이후
6·25 韓國戰爭 당시 別堂 등 일부 당우(堂宇)가 소실됨.
대웅보전·만세루·쌍세전·응진전·산신각·어실각·범종각·(大雄寶殿·萬歲樓·雙世殿·應眞殿·山神閣·御室閣·梵鐘閣·)요사채(寮舍寨) 등이 복원됨.
 
1957년
수각(水閣)이 건립됨.
 
1973년
주지 와운이 종각을 건립함.(住持 臥雲이 鐘閣을 건립함)
 
1981년 8월 30일
석조 호국대불(石造 護國大佛 높이 41尺=12.42m)이 조성됨.
 
1994년
지장전(地藏殿)과 관음전(觀音殿)이 다시 건립됨.
 
1998년 4월
만세루(萬歲樓) 해체 복원 중 1869년의 중수상량문(重修上樑文)이 발견됨.
 
2008년 7월
주지 초격(住持 超格)이 대웅보전(大雄寶殿) 기와를 보수함.
응진전(應眞殿)·산신각(山神閣)의 삼존불(三尊佛)·나한상(羅漢像), 산신상(山神像)을 개금(蓋金) 및 개채(改彩)함.
 
2009년 7월
주지 초격(住持 超格)이 관음전 관세음보살상(觀音殿 觀世音菩薩像)과 관음정(觀音幀)을 조성하여봉안함.
 
2010년 8월
주지 초격(住持 超格)이 대웅보전내(大雄寶殿內) 불보살상(佛菩薩像) 5위와 지장전 지장보살상(地藏殿 地藏菩薩像)을 개금(蓋金)함
 

 
▼ 보광사 배치도
 
▼ 1973년에 건축한 범종각내에 1634년(인조 12,숭정7년) 설봉자(雪峯子)가 만든 동종(銅鐘, 무게 300근, 높이 98cm,경기도 유형문화재 제158호)복사품이 전시중이다. (진품은 대웅보전 안에 보관)
 
 
 
 
▼ 일반적으로 범종각안에 아침·저녁 예불 때 치는 네 가지 불구(佛具)로 범종(梵鐘), 법고(法鼓), 목어(木魚), 운판(雲版)이 같이 있는데 보광사에는 범종만이 범종각에 있고 목어는 만세루에 걸려 있다.
 
 
▼ 범종에 대한 안내문이다. 이종의 실물(진품)은 대웅보전안에 있으며 보고 계신 종은 그것을 본떠 만들었습니다.
 
 
▼ 복사해 만든 범종
 
▼ 실물 진품은
 
경기도 유형문화재 제 158호. 대웅보전에 있는 범종은 1634년 (인조 12) 승려 천보(天寶)와 상륜(尙倫), 경립(敬立) 등에 의해 조성되었다.이 종은 조선 후기 범종 양식을 갖춘 중형 범종으로 명문에 의하면 미지산(彌智山) 설봉자(雪峯子)가 희령(喜岺), 경립(敬立)과 함께 제작하였다고 적혀있으며,주종장(鑄鐘匠) 연구에 중요한 자료이다.
 
전체 높이 98.5cm, 입지름 63cm의 중형 종으로서, 전체적으로 푸른 녹빛이 감돌고 입체감과 안정감이 있다. 이 종은 우리 나라 종의 특징인 음통 (音筒)이 없는 대신 중국 종의 특징인 두 마리의 용으로 표현된 종을 거는 용뉴가 있다.
 
 
▼ 진품과 복사품 종을 비교하니 다르다. 종 만드는 기술이 부족했거나 시주자를 범종에 적어야 하기 때문인지 아니면 다른 사연이나 목적이 있었는지 모르겠다. 실물과 다른 이유를 설명하는 것이 좋지 않겠는가?
 
 
▼ 범종각에서 석불전 방향으로 가다 우측에 맛있는 약수 한잔하시면 참 좋습니다.
 
 
▼ 석불전 올라 가는 길의 풍경
 
 
 
▼ 석불전
 
1981년에 조성한 대불로서‘호국대불(護國大佛)’로도 불리는데, 대웅보전에 모셔져있는 보살의 복장(腹藏)에서 출현한 부처님 진신사리11과 뿐만 아니라 5대주에서 가져온 각종 보석, 법화경, 아미타경 및 국태민안 남북통일의 발원문 등이 함께 석불 복장에 봉안되었다. 12.42m나 되는 웅장한 규모가 보는 이를 압도할 뿐만 아니라 정교한 조각솜씨가 돋보인다.
 
남북통일이 빨리 되기를......
 
 
불상의 모습 가운데 무엇보다 눈길을 끄는 것은 엄지와 중지를 붙이거나 손바닥을 펴는 등 다양한 형태의 손모양이다.
 
이런 손모양을 수인(手印)이라고 하는데 부처나 보살이 어떤 특정한 상태나 행동에 들어있다는 것을 나타내는 일종의 약속이다.
 
여기 석불은 오른팔을 들어서 손바닥이 바깥으로 보이게 하여 위로 향한 모습인 시무외인(施無畏印)은 중생의 두려움을 없애주고 평안함을 준다는 표시이고 왼팔을 아래로 내리고 손바닥을 바깥으로 보이게 하는 여원인(與願印)은 중생이 원하는 것을 들어준다는 의미다. 여원인과 시무외인은 대개 하나로 짝 지워져 있다.
 
 
 
▼보광사 호국대불 조성 기념비이다.
 
 
 
▼영각전(靈覺殿)
 
영각전은 2003년 완공된 법당으로서 영가를 모시고 있는 봉안당이다.
 
 
 
 
 
▼영각전 벽화
 
 
▼목련 봉우리
 
 
▼휴게소
 
▼ 보광사 찾아가기
대중교통은 구파발역이나 삼송역에서 333번 버스를 타고 보광사 앞에서 하차후 걸어간다.
 
 
 
해당사찰을 누르면 이동합니다.
 
서울 강남 봉은사
서울 신촌 봉원사 전편, 후편
서울 은평구 진관사
서울 삼성산 호압사
북한산 일선사
북한산 문수사
경기 양평 수종사, 수종사일출, 2편, 3편, 4편, 5편
경기 양평 용문사
경기 광릉 봉선사
양주 회암사지
철원도피안사
부여 고란사
부여 정림사지
대구 비슬산 대견사
남원 만복사지
덕유산 백련사해당사찰을 누르면 이동합니다.
 
 
출처: 보광사홈페이지, 문화재청, 민족문화대백과,위키백과,이한성,문화유산채널
• 활동 지역 : 강서구(江西區)
▣ 지식창고
(A) 내 지식자료
Ο 지식창고 작업
about 고재완의 지식창고
©2021 General Libraries 최종 수정일: 2021년 1월 1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