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S 여러분! 반갑습니다.    [로그인]
키워드 :
지식놀이터 :: 【 고재완의 지식창고
고재완의 여행을 떠나요     【고재완의 지식창고】 2017.12.12. 11:43 (2017.12.12. 11:43)

봉선사 둘러보기 (2016. 6. 15)

 
경기도 남양주 봉선사(奉先寺)에 2년만에 다시 다녀 왔습니다.
경기도 남양주 봉선사(奉先寺)에 2년만에 다시 다녀 왔습니다. 여주 신륵사는 세종의 영릉을 위한 사찰이고, 남양주의 봉선사는 세조의 능침인 광릉(光陵)의 원찰이며 교봉의 본산이었습니다. 임진왜란과 병자호란 그리고 6.25동란때 소실되어 새로 세운 사찰이지만, 500년 된 느티나무와 하마비 그리고 봉선사 동종이 남아있으며 광릉 국립수목원, 세조가 묻힌 광릉을 함께 둘러보면 좋습니다.
 
봉선사는 대한불교조계종 소속의 제25교구 본사입니다. 969년(광종 20)에 법인국사(法印國師) 탄문(坦文)이 창건하여 운악사(雲岳寺)라고 하였습니다. 그 뒤 조선 세종 때에 이전의 7종을 선교양종(禪敎兩宗)으로 통합할 때 이 절을 혁파하였다가, 1469년(예종 1)에 세조의 비 정희왕후(貞熹王后) 윤씨(尹氏)가 세조를 추모하여 능침을 보호하기 위해 89칸의 규모로 중창한 뒤 봉선사(奉先寺)라고 하였습니다.
 
당시 봉선사의 현판은 예종이 직접 썼다고 하며, 현재 보물 제397호로 지정되어 있는 봉선사동종을 같은 해에 주조하였다고 합니다. 1550년(명종 5)에 이 절은 선교양종 중 교종의 수사찰(首寺刹)로 지정되어 전국의 승려 및 신도에 대한 교학진흥의 중추적 기관이 되었으나 임진왜란 때 전소되었으며, 이듬해인 1593년에 주지 낭혜(朗慧)가 중창하였습니다. 1636년(인조 14)에 병자호란으로 다시 소실된 것을 1637년에 주지 계민(戒敏)이 중창하였으며, 1749년(영조 25)에는 재점(再霑)이 중수하였습니다.
 
1790년(정조 14)에는 나라에서 전국사찰을 관할하기 위한 5규정소(五糾正所)를 설치할 때 이 절은 함경도 일원의 사찰을 관장하였습니다. 1848년(헌종 14)에는 화주 성암(誠庵)과 월성(月城)이 중수하였고, 1902년에 도성 안의 원흥사(元興寺)를 수사찰인 대법산(大法山)으로 삼았을 때 이 절은 16개의 중법산(中法山) 가운데 하나로 지정되어 경기도의 전 사찰을 관장하였습니다. 1911년에 사찰령이 반포되었을 때는 31본산의 하나가 되었고, 교종대본산으로 지정되어 교학진흥의 주역을 담당하였습니다.
 
또 1926년에는 주지 월초(月初)가 대웅전과 요사채를 중수하고 삼성각(三聖閣)을 신축하였으나 6·25전쟁으로 1951년 3월 6일에 법당 등 14동 150칸의 건물이 완전히 소실되었습니다. 그 뒤 1959년에 화엄(華嚴)이 범종각을 세운 데 이어 1961년부터 1963년까지 운경(雲鏡)과 능허(凌虛)가 운하당(雲霞堂)을 세웠고, 1970년에는 주지 운허(耘虛)가 큰법당을 중건하고 1977년에는 월운(月雲)이 영각(靈閣)을 세워 오늘에 이르고 있습니다.
 
 
현존하는 당우로는 큰법당·삼성각·개건당(開建堂)·방적당(放跡堂)·운하당·범종각·청풍루(淸風樓)·요사채 등이 있는데 이 가운데 큰법당은 대웅전과 같은 법당으로서 우리 나라에서 최초로 한글현판을 단 것이며 법당 사방 벽에는 한글 『법화경』과 한문 『법화경』을 동판에 새겨놓아 이채롭습니다.
 
문화재로는 보물 제397호로 지정된 남양주 봉선사 동종을 비롯하여 1903년에 그린 칠성탱화, 사찰 입구의 보운당부도(報雲堂浮屠) 등이 있습니다.
 
그리고 큰법당 앞에는 1975년에 운허가 스리랑카에서 모셔온 부처님 사리 1과를 봉안한 5층탑이 있으며, 1981년에는 운허의 부도탑을 세웠습니다. 이 밖에도 사찰 안에는 ‘춘원 이광수기념비’가 세워져 있고 이 절 옆에 있는 광릉은 사적 제197호이며, 천연기념물 제197호인 크낙새가 주변 숲에 서식합니다.
 
 

 
▼ 한글로 쓴 운악산 봉선사
 
▼ 춘원 이광수 기념비
 
▼ 500년 이상 된 느티나무
 
 
▼ <대소인원개하마>라 적힌 하마비
 
 
▼ 청풍루
 
▼ 화단
 
▼ 당간지주
 
 
▼ 큰 법당(대웅전)
 
 
 
 
 
 
 
 
 
▼ 돌로 만든 사자상이 중국풍으로 느껴진다.
 
▼ 설법전으로 청풍루의 반대편이다.
 
▼ 관음전
 
 
▼ 2년전에 못 보던 대의왕전
 
 
▼ 범종루
 
▼ 봉선사 동종 (보물 제 397호)
 
▼ 동종의 하단에 양각으로 새긴 기록을 통해, 조성 연대를 비롯한 자세한 내력을 알 수 있다. 세조가 승하한 이후 명복을 빌기 위해 예종 원년인 1469년에 봉선사를 짓고 종을 만들었으며, 하루 여섯 차례씩 종을 쳐서 중생을 구제하고자 염원하였다. 명문은 강희맹(姜希孟)이 짓고 글씨는 정난종(鄭蘭宗)이 썼으며, 주종장은 정길산(鄭吉山)이다. 화원인 이백련(李百連)과 김중경(金仲敬)도 종의 제작에 참여하였다. 기본적으로 중국의 범종 양식을 따르면서, 연곽이나 보살상의 표현처럼 전통적 요소도 가미되었다. 이러한 특징은 조선 초기에 주성된 동종의 일반적인 경향이다.
 
 
 
▼ 봉선사 템플 스테이 체험 신청하기
 
 
 
▼ 방하착 비석 : 놓아 버려라
 
 
 
 
★ 2014. 10월 봉선사 방문기
 
 
☞ 사찰 안에 주차장이 있습니다.
 
☞ 대중교통으로 찾아가기
 
코스 1
① 의정부역 (동부광장에서 왼쪽으로 20M 정도 아래쪽)→21번 광릉내행 버스 (배차간격 30분~40분)→국립수목원→광릉→봉선사 입구
② 의정부시외버스터미널→21번 → 봉선사
 
코스 2
석계역(1호선, 2번 출구)→73번 버스→장현리(장현농협하차)→2번(마을버스)→봉선사
 
코스 3
청량리역 환승센터 1번 승강장 (707번)→장현(정광산호A앞 하차)→2번(마을버스)→봉선사
 
코스 4
① 강변역 4번 출구→강변역A 버스정거장 (1번,11번)→장현(정광산호A앞하차)→2번(마을버스)→봉선사
② 강변역 시외버스터미널→장현행 3000번버스(3,700원, 고속도로경유 직행, 40분소요)→ 장현(정광산호A앞하차)→2번(마을버스, 7분소요)→봉선사(제일 빠르고 쉬워요!)
 
코스 5
① 강남역 1번 출구 세무서앞 (7007번)→장현(정광산호A앞 하차)→2번(마을버스)→봉선사
② 잠실역 7번 출구 (7007번)→장현(정광산호A앞 하차)→2번(마을버스)→봉선사
 
 
글 및 사진 출처: 민족문화대백과 , 봉선사 홈피, 본인,네이버 지식 백과
• 활동 지역 : 강서구(江西區)
▣ 지식창고
(A) 내 지식자료
Ο 지식창고 작업
about 고재완의 지식창고
©2021 General Libraries 최종 수정일: 2021년 1월 1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