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S 여러분! 반갑습니다.    [로그인]
키워드 :
지식놀이터 :: 【 고재완의 지식창고
고재완의 여행을 떠나요     【고재완의 지식창고】 2017.12.20. 10:18 (2017.12.20. 10:17)

닭 관련 지명(地名) 스토리 (2017. 1. 8)

 
십이지의 열 번째 동물이자 유일하게 날개가 달린 동물인 닭은 우리에게 친숙하고 가까운 동물인 만큼, 닭을 상징하는 산·들· 마을 등과 같은 지명이 남한에 293곳이나 있다고 합니다.
2017년은 닭의 해인 정유년(丁酉年)입니다. 닭은 예로부터 어둠 속에서 새벽을 알리는 빛의 전령이자 상서로운 동물로 여겨졌습니다. 오래 전부터 가축으로 길러왔고, 십이지의 열 번째 동물이자 유일하게 날개가 달린 동물인 닭은 우리에게 친숙하고 가까운 동물인 만큼, 닭을 상징하는 산·들· 마을 등과 같은 지명이 남한에 293곳이나 있다고 합니다. 이처럼 닭의 볏, 머리 등 주요 생김새와 모습을 닮은 지명 중 닭 계(鷄) 자가 들어간 곳은 충남계룡산, 다시 가고픈 황토길을 맨발로 걷는 대덕 계족산성, 봉화 닭실 마을과 경주 계림 정도 들었습니다.
 
2016년 말부터 조류 인플루엔자(AI. 주로 닭, 오리 등의 조류에 발병하는 전염성 호흡기 질환)로 3천 마리 이상이 매몰(埋沒)되는 사태에도 불구하고 2017년은 붉은 닭의 희망찬 울음소리로 건강하고 행복하며 풍성한 결실이 함께하는 한해가 되도록 시작합시다.
 
 

 
▼ 충남 계룡산
 
★ 계룡산 국립공원 (클릭)
 
조선 초기에 태조 이성계가 도읍을 정하려고 이 지역을 답사하였을 때 동행한 무학대사가 산의 형국이 금닭(金鷄)이 알을 품는 모습(금계포란형)이요, 용(龍)이 날아 하늘을 올라가는 모습(비룡승천형)이라 일컬었는데, 여기서 계(鷄)와 용(龍)을 따서 계룡산이라 부르게 되었다고 전해집니다.
 
 
★ 계룡산 갑사 방문기 1편, 2편, 3편, 4편, 5편, 6편
★ 계룡산 동학사 방문기 1편, 2편, 3편, 4편, 5편
 
 

 
▼ 대덕 계족산
 
 
▶ 계족산성 개요(문화재청)
 
대전시 장동 계족산(해발420m) 정상에서 능선을 따라 축조된 테뫼식(뫼는 산이고 테는 두른다는 뜻으로, 산 정상부근에 성벽을 세워 만든 형태) 석축산성입니다. 이 산성은 백제가 쌓은 것으로 알려져 왔으나, 1998∼99년 발굴을 통해 신라에서 쌓은 것으로 밝혀졌습니다.
 
산성의 높이는 약 7∼10m 가량 되며, 동·서·남쪽에 문터를 만들었고 성 안에서 삼국 시대에 만든 큰 우물 터가 발견되었으며, 성내 건물 터에서는 고려시대 기와 파편과 조선 시대 자기 파편이 발견되어 조선시대까지 사용되었음을 알 수 있지요.
 
성 쌓기(축성) 방법은 보은에 있는 신라 삼년 산성(사적 제235호)과 같은 방식으로 쌓았다는 것이 발굴을 통해 밝혀졌고, 출토된 토기 중 가장 오래된 것이 6세기 중·후반의 신라 토기임이 밝혀졌습니다. 이후에 나온 토기 형태도 백제계는 소수이며 다수의 신라계 토기가 보여, 한때 백제가 점령하긴 했지만 신라에 의해 만들어진 산성으로 밝혀졌습니다.
 
▼ 맨발로 걷는 계족산성 황토길
 

 
▼ 독도 닭바위
 
 

 
▼ 경북 영주 금계바위
 
▶ 전설
이 바위는 원래 닭의 형상이었고, 눈은 빛나는 보석으로 채워져 있어 마을 주민들이 수호신으로 여겨왔다고 합니다. 그런데 한 나그네가 눈에 박힌 보석을 빼내려 하자 하늘에서 천둥이 쳐서 바위의 일부분이 무너져 내렸다고 합니다. 닭의 눈에 박혀있던 보석은 닭의 눈물처럼 바위 곳곳에 박혀서 해질 무렵이면 낙조에 눈부시게 반사된다고 합니다.
 
 

 
 
▼ 경북 봉화 닭실마을
 
조선 중기의 실학자 이중환은 <택리지>에서 이 마을을 우리나라의 빼어난 명승지로 손꼽았으며, 닭실 마을, 충재 권벌선생(조선 중종 때 우찬성) 및 유적(청암정, 석천정사)들은 사적 및 명승 제3호로 지정되어 있습니다. 마을의 중심이 되는 충재 종가는 전형적인 영남 양반가옥의 모습을 보여주고 있으며, 종택 옆 기념관에는 충재일기를 비롯한 많은 유물들이 전시되어 있어 방문객들을 맞이하고 있습니다.
 
닭실 마을 입구에는 충절세향(忠節世鄕) 닭실이라는 커다란 표지석과 함께 길가 곳곳에 있는 가로등도 닭 모양을 하고 있어 이곳의 유래를 짐작하게 하고 있습니다.
 
※ 이중환의 <택리지>에 ‘경북의 4대 길지’ 는 봉화 닭실(酉谷)마을과 안동 하회마을, 안동 양동마을, 안동 내앞(川前)마을 등입니다.
 
 
▼ 청암정(靑巖亭)
 
▼ 석천정사(石泉亭舍)
 
 
★ 누각(樓閣)과 정자(亭子)는 왜 만들었나 ?
 

 
▼ 여주 닭이머리 마을
 

 
▼ 전북 장수 용계마을
 

 
▶ 전국 닭 관련 지명(293곳) : 국토지리 정보원 자료
 
ⓐ 서울(2)
도봉구 쌍문동 계성동(鷄聲洞) : 마을주위를 둘러있는 산(山)의 형세가 닭이 우는 형상이라 하여 계성동이라 함.
강남구 삼성동 닭점 : 마을에 봉은사를 건립한 후에 생긴 마을인데 봉은사의 위치가 지네형의 산맥에 허리부분으로 지네와 상극인 닭을 마을이름에 붙여 닭점이라 부름.
 
ⓑ 부산(3) : 금정구 청룡동 계명산(봉),금정구 금성동 상계봉(上鷄峰)
 
ⓒ 대구(2) : 북구 구암동 구명, 달성군 금계산
 
ⓓ 인천(2) : 서구 오류동 금계동, 강화군 교동면 계미(鷄尾)
 
ⓔ 광주(3) : 북구 운암동 황계, 광산구 진곡동 백계, 광산구 남산동 황계
 
ⓕ 대전(5) : 유성구 계산동 빈계산(원계산), 동구 판암동 닭이장골, 대덕구 장동 계족산,계룡산
 
ⓖ 울산(2) : 울주군 두동면 계명, 북구 달천동 계성골
 
ⓗ 세종(1) : 금남면 달전리 닭재
 
ⓘ 경기(19): 화성시(황계동, 금계동, 닭말), 평택시(계두봉), 파주시(닭이실, 닭운리, 닭이실),이천시(백우), 오산시(여계산), 여주시(계명재, 닭이머리, 금계산), 안성시(월곡동), 시흥시(계란마을), 남양주시(상계전,아래계전), 고양시(닭발, 닭알뿌리), 가평군(달개지:鷄間村)
 
ⓙ 강원(18): 화천군(계산골), 홍천군(닭바위,청계동), 춘천시(계명산,한터), 철원군(계웅산), 정선군(계림마동, 계룡잠, 쇳골:은곡, 계봉, 수령), 원주시(알산골), 영월군(계족산), 강릉시(당목골, 닭목재, 닭목이, 생계령, 명계동)
 
ⓚ 충북(8) : 충주시(계명산, 닭이머리고개), 청주시(계림), 옥천군(닭재,닭이치), 영동(닭재),보은(닭모랭이), 단양군(계란재)
 
ⓛ 충남(45): 홍성군(와계, 하유정, 암닭골, 닭제산, 계봉산), 태안군(고남면 닭섬, 소원면 닭섬), 청양군(금계동, 계봉산, 계봉), 예산군(닭재산, 서달, 계명리), 아산시(닭이머리나루, 금계), 서천군(닭뫼, 닭마을), 서산시(닭실, 지곡면 닭섬, 부석면 닭섬), 부여군(닭바실, 닭뫼, 닭바위), 보령시(닭비슬), 당진시(계성동, 계명골, 닭머리, 계두도, 닭골), 논산시(북계, 유봉), 금산군(닭실, 닭실나루터, 계원봉, 알미, 닭이봉), 공주시(쌍계, 비계실, 유구읍 계봉, 금계산, 사곡면 계봉, 금계뜸, 닭머리), 계룡시(금계동)
 
ⓜ 전북(41): 장수군 용계마을외
 
ⓝ 전남(83): 광양시 계족산외
 
ⓞ 경북(26): 독도 닭바위외
 
ⓟ 경남(31): 함양 계관봉외
 
ⓠ 제주(2) : 제주시 외도 일동 계명(鷄鳴), 제주시 애월읍 계원동(鷄園洞)은 지금으로부터 약 300여년전에 고응열(高應悅)이란 사람이 부인과 함께 설촌하였다고 한다. 그 후 그의 손자 고백영(高白英)이 후원에서 닭을 많이 길러 하루에 대바구니로 하나씩 계란을 주웠다고 하여 계원동(鷄園洞. 닭우영동네)이라고 이름이 붙여진 것임
 
 
출처: 통플러스,국토지리정보원,구글,네이버지도
• 활동 지역 : 강서구(江西區)
▣ 지식창고
(A) 내 지식자료
Ο 지식창고 작업
about 고재완의 지식창고
©2021 General Libraries 최종 수정일: 2021년 1월 1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