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S 여러분! 반갑습니다.    [로그인]
키워드 :
지식놀이터 :: 【 고재완의 지식창고
고재완의 여행을 떠나요     【고재완의 지식창고】 2017.12.23. 11:07 (2017.12.23. 11:07)

서삼릉 방문기 (2017. 4. 12)

 
원당 종마목장을 다녀올 때 옆의 서삼릉(西三陵) 관람 후기입니다.
원당 종마목장을 다녀올 때 옆의 서삼릉(西三陵) 관람 후기입니다. 중학생 때 소풍 가서 뒹굴고 석상에 올라갔던 곳이 조선 왕릉이었는데, 세계문화유산으로 등재된 지금은 상상도 못할 일입니다. 그만큼 문화유적에 대하여 무관심했던 반증입니다.
 
왕이나 왕비의 무덤을 능(陵)이라 칭하며 보통 배산임수(背山臨水)의 명당자리를 찾아서 한양에서 100리 이내에 설치합니다. 아는 만큼 보이므로 도착전에 읽어보시기 바라며 약 1시간 이 소요되는 현지 문화해설사(문화해설 예약 ☎ 031-966-6776)의 도움을 청하셔도 좋습니다. 호젓한 서삼릉에 봄 나들이 가실 때 원당 종마목장(승마교육원)을 함께 다녀 오시길 권합니다.
 

 
▶ 조선 왕릉 (2009년 유네스코 세계문화유산 등재)
조선왕릉(朝鮮王陵)은 18개 지역에 흩어져 있고 총 40기에 달합니다. 1408년부터 5세기 동안 만들어진 왕릉은 선조와 그 업적을 기리고 존경을 표하며, 왕실의 권위를 다지는 한편 선조의 넋을 사기(邪氣)로부터 보호하고 능묘의 훼손을 막는 역할을 했습니다.
 
왕릉은 뛰어난 자연경관 속에 자리 잡고 있으며, 보통 남쪽에 물이 있고 뒤로는 언덕에 의해 보호되는 배산임수(背山臨水)의 터이며, 멀리 산들로 둘러싸인 이상적인 자리를 선택해 마련되었습니다.
 
왕릉에는 매장지만 있는 것이 아니라 의례를 위한 장소와 출입문, 봉분뿐만 아니라 T자형의 목조 제실(정자각), 비각, 왕실 주방, 수호군(守護軍)의 집, 홍살문, 무덤지기인 보인(保人)의 집을 포함한 필수적인 부속 건물이 있으며 왕릉 주변은 다양한 인물과 동물을 조각한 석물로 장식되어 있습니다.
 
 
★ 조선왕릉의 길잡이를 먼저 읽어 보시길 권합니다(클릭).
 
 

▣ 서삼릉
서삼릉은 한양 도성 서쪽에 있는 3개의 능으로 희릉(禧陵, 11대 중종 계비, 공개), 예릉(睿陵, 25대 철종과 왕비, 공개)과 효릉(孝陵, 12대 인종과 왕비, 비공개)의 3기의 능을 말합니다.
 
 
서삼릉에는 3기의 왕릉 이외에도 3기의 원(소경원,의령원,효창원)과 1묘(회묘), 왕자·공주·후궁 등의 묘 46기, 태실 54기가 자리 잡고 있습니다.
 
1645년(인조 23) 소현세자가 죽자 소현세자를 이곳에 안장하고 소현묘(昭顯廟)라고 칭하였으나 1870년(고종 7)에는 소경원(昭慶園)으로 개호하였습니다.
 
일제강점기에는 일제에 의해 조선 왕실의 태실, 왕자묘, 후궁묘, 공·옹주묘가 현재의 위치로 집결되었으며, 해방 이후에 명종 후궁 경빈 이씨의 묘 외 6기의 묘를 옮겨왔습니다.
 
1944년에는 정조의 맏아들 문효세자의 묘인 효창원(孝昌園, 용산구 효창공원 위치)이, 1949년에는 영조의 손자이자 사도세자의 맏아들 의소세손의 묘 의령원(懿寧園)이 이곳으로 옮겨왔으며, 1969년에는 성종 폐비 윤씨(연산군 모친)의 회묘(懷墓)가 서삼릉으로 옮겨왔습니다.
 
 
서삼릉 능역에는 의친왕과 의친왕의 모친 귀인 장씨의 묘도 있었으나 1996년 의친왕묘가, 2009년에 귀인 장씨(의친왕의 모친)의 묘가 서삼릉에서 홍유릉 경역으로 천장하였습니다.
 
 
☞ 능, 원, 묘 구분
왕과 왕비의 무덤은 능(陵)이라 하고, 세자와 세자비·왕의 사친(私親)은 원(園), 대군·공주 등 왕자녀의 무덤은 묘(墓)라 말합니다.
 
 
▼ 매표소 입장료 1,000원(희릉과 예릉만 공개)
 
▼ 서삼릉 안내도
 
 
▼ 백송(白松)
 
▼ 산수유
 
▶ 희릉(禧陵)
 
☞ 희릉(禧陵)은 11대 중종(1488 ~1544, 38년 2개월 재위)의 첫 계비(繼妃)인 장경 왕후(章敬王后, 인종의 모친) 윤씨(尹氏)의 능으로 처음에는 광주(廣州) 서쪽의 대모산(大母山)에 있는 헌릉(獻陵:태종의 능) 서쪽에 있었는데, 1537년(중종 32)에 고양(高陽) 남쪽 원당리(元堂里), 곧 지금의 고양군 원당면 원당리 서삼릉(西三陵) 경내로 옮겼습니다.
 
☞ 1515년(중종 10)에 장경왕후 윤씨가 세상을 떠나자 태종의 헌릉(獻陵) 서쪽 언덕에 능을 조성하였으나 1537년(중종 32)에 희릉 조성 당시에서 문제점이 있다는 김안로의 주장에 따라, 현재의 자리로 천장하였습니다.
 
이후 1544년(중종 39)에 중종이 세상을 떠나자 중종의 능을 희릉 오른쪽 언덕에 조성하면서 동원이강릉 형식(하나의 정자각을 두고 두 개의 언덕에 각각 두 개의 단릉이 있는 것)으로 취하고 능호를 정릉(靖陵)이라 하였으나, 1562년(명종 17)에 중종의 능을 서울 강남구로 천장하면서 다시 희릉으로 부르게 되었습니다.
 
☞ 장경왕후 윤씨(재세 : 1491년 음력 7월 6일 ~ 1515년 음력 3월 2일)는 파평 윤씨 파원부원군 윤여필(尹汝弼)의 딸로 호현방(현 회현동) 사저에서 태어났으며 1506년(중종 1)에 후궁으로 간택되어 숙의(淑儀, 내명부 종2품)로 책봉되었다가, 중종의 첫 번째 단경왕후 신씨가 폐위되면서 1507년에 왕비로 책봉되었습니다.
 
중종 사이에서 효혜공주와 인종(12대 임금)을 낳았으며, 1515년(중종 10)에 인종을 낳고 산후병으로 경복궁 동궁별전에서 25세로 세상을 떠났습니다.
 
드라마의 "대장금"이 장경왕후의 산후병을 돌본 의녀(醫女) 장금인데, 신하들이 장금이에게 벌을 주자고 하지만 중중이 막아주지요.
 
 
▼ 홍살문(紅箭門,홍전문) : 신성한 지역을 알리는 문입니다. 홍살문 초석 밑의 구멍은 비 올때 기둥하부가 썩는 것을 막고저 배수를 위한 것입니다.
 
 
▼ 정자각 가는 좌측이 높은 향로(香路,神道라고도 함)와 우측은 어로(御路)
 
▼ 정자각(丁字閣) : 제향을 올리는 丁자 모양의 집
 
▼ 좌측이 향계(香階), 우측은 어계(御階) 반대쪽에는 어계만 있습니다.
 
 
▼ 비석 : 조선국 장경왕후 희릉
 
▼ 단릉(單陵)
 
▼ 봄날의 연인
 
▶ 예릉(睿陵)
☞예릉은 조선 25대 철종(철종장황제,1831~1863, 14년 6개월 재위)과 철종왕비(철인장황후) 김씨의 능입니다. 하나의 곡장 안에 왕과 왕비의 봉분을 나란히 조성한 쌍릉 형식으로 정자각 앞에서 바라보았을 때 왼쪽이 철종장황제, 오른쪽이 철인장황후의 능으로 예릉은 『국조오례의』와 『국조상례보편』에 의거한 마지막 조선왕릉의 형태로 조성하였습니다.
 
☞진입 및 제향공간에는 홍살문, 판위, 향로와 어로, 정자각, 비각이 배치되어 있고 향로와 어로는 일반적인 조선왕릉의 향로와 어로와 달리 향로 양 옆으로 어로(황제의 예법)를 깔았는데, 이후 고종의 홍릉(洪陵)과 순종의 유릉(裕陵)에도 똑같이 적용되었습니다.
 
☞능침은 병풍석을 생략하고 난간석만 둘렀으며, 문무석인, 석마, 장명등, 혼유석, 망주석, 석양과 석호를 배치하였습니다. 예릉의 문무석인과 석마, 장명등, 석양과 석호 일부는 중종의 구 정릉(靖陵)의 석물을 다시 사용한 것으로, 정릉(靖陵)을 서울 강남으로 천장할 때 석물을 묻었다가 다시 꺼내 사용하였다. 장명등은 문석인 가운데가 아닌 능침 앞쪽으로 배치한 것이 특이한데, 이는 조선시대 유일한 배치방법입니다.
 
☞1863년(철종 14)에 철종이 세상을 떠나자 이듬해인 1864년에 고양 희릉(禧陵) 오른쪽 언덕인 구 정릉(靖陵) 자리에 능을 조성한 후 철인장황후 김씨가 1878년(고종 15)에 세상을 떠나자 예릉에 쌍릉으로 능을 조성하였습니다.
 
 
▼ 향로 양 옆으로 어로(황제릉의 예법)
 
 
▼ 쌍릉(부부묘)이며 곡장(曲墻), 봉분(封墳), 무석인(武石人), 문석인(文石人), 혼유석(魂遊石), 장명등(長明燈), 석양(石羊), 석호(石虎)가 보입니다.
 
 
▼ 대한 철종장황제 예릉, 철인장황후 신위
 
☞ 철종
철종(재세 : 1831년 음력 6월 17일 ~ 1863년 음력 12월 8일, 재위 : 1849년 음력 6월 9일 ~ 1863년 음력 12월 8일)은 장조(사도세자)의 손자인 전계대원군과 용성부대부인 염씨의 아들로 1831년(순조 31)에 경행방(현 종로 3가) 사저에서 태어났습니다.
 
철종의 할아버지는 은언군으로 장조(사도세자)의 아들로 은언군은 정조 즉위 후 역모 사건에 휘말려 강화도에 유배되었다가 1801년(순조 1)에 신유박해사건 때 부인과 며느리가 천주교 신자라는 이유로 사사되었습니다.
 
이후 순조는 1830년(순조 30)에 은언군의 가족을 방면하였고, 은언군의 아들 전계대원군이 1831년(순조 31)에 철종을 낳았으나, 헌종 즉위 후에 역모사건으로 다시 강화도에 유배되었습니다. 계속 강화도에서 생활하였다가 1849년에 헌종이 후사 없이 세상을 떠나자 순원숙황후의 명으로 순조의 양자로 입적되어 왕위에 올랐습니다.
 
즉위 처음에는 순원숙황후의 수렴청정을 받아 국정을 운영하였고, 1851년(철종 2)부터 친정(親政)하였습니다. 헌종 대에부터 시작된 삼정(三政 : 전정, 군정, 환곡)의 문란이 극에 달해 진주민란을 비롯한 농민 봉기가 일어나자, 삼정이정청(三政釐政廳)이라는 특별 기구를 설치하여 삼정의 문란을 수습하기 위한 정책을 시행하였습니다.
 
그러나 안동 김씨의 세도로 인해 국정을 바로 잡지 못하고 1863년(철종 14)에 창덕궁 대조전에서 33세로 세상을 떠났으며 대한제국 선포 후 1908년(융희 2)에 철종장황제로 추존되었습니다.
 
☞ 철종왕후 김씨(재세 : 1837년 음력 3월 23일 ~ 1878년 음력 5월 12일)는 본관이 안동인 영은부원군 김문근과 흥양부부인 민씨의 딸로 1837년(헌종 3)에 순화방(현 효자동) 사저에서 태어났습니다. 1851년(철종 2)에 왕비로 책봉되었고, 1858년(철종 9)에 원자를 낳았으나 일찍 죽는 비운을 겪었습니다.
 
안동 김씨 출신의 왕비였지만 정치에 뜻을 두지 않았고, 말수가 적고 성품이 온화하였고 철종이 세상을 떠나고 고종이 왕위에 오르자 명순대비(明純大妃)가 되었으며, 1878년(고종 15)에 창경궁 양화당에서 42세로 세상을 떠났습니다. 대한제국 선포 후 1908년(융희 2)에 철인장황후로 추존되었습니다.
 
 
▼ 불탄 철종 어진
 
★ 철종이 살던 강화도 용흥궁 방문기
 
 
▼ 효창원과 의령원
 
 
▼ 제각(祭閣)
 
▶ 효창원(孝昌園)
효창원은 조선 22대 정조(1752~ 1800, 24년 3개월 재위)의 첫째 아들인 문효세자(1782~1786, 의빈 성씨가 모친)의 무덤으로, 처음 조선시대에 세자의 묘제 형식에 맞게 조성하여 정자각, 비각, 문석인, 석마, 장명등, 혼유석, 망주석, 석양과 석호를 배치하였습니다.
 
1786년(정조 10)에 문효세자가 세상을 떠나자 고양 율목동(栗木洞, 현 서울 용산구 효창공원)에 묘를 조성하였습니다. 묘소의 이름은 효창묘(孝昌墓)로 하였다가 1870년(고종 7)에 원의 이름을 효창원(孝昌園)으로 격상하였습니다.
 
1944년에 서삼릉으로 이장하면서 원침에 있는 석물과 신도비, 표석만 옮겨와 신도비는 입구에 세웠습니다.
 
 
▼ 조선국 문효세자 효창원(기울어진 비석)
 
▼ 문효세자 효창묘 신도비명
 
▶ 의령원(懿寧園)
의령원은 조선 21대 영조(1694~1776, 51년 7개월)의 손자이자 추존 장조(사도세자, 영빈 이씨가 모친)와 헌경왕후 홍씨사이의 첫째 아들인 의소세손(정조의 형,1750~1752)의 무덤입니다. 의령원은 처음 조선시대에 세손의 묘소 형식에 맞게 조성하여 정자각, 표석, 문석인, 석마, 장명등, 혼유석, 망주석, 석양과 석호를 배치하였습니다.
 
1752년(영조 28)에 의소세손이 세상을 떠나자 안현(鞍峴) 남쪽 기슭(현 서울 서대문구 북아현동)에 묘를 조성하였는데 묘소의 이름은 의소묘(懿昭墓)로 하였다가 1870년(고종 7)에 원의 이름을 의령원으로 격상하였습니다.
 
1949년에 서삼릉으로 이장하면서 원침에 있는 석물과 표석만 옮겼고 표석의 전면과 후면의 글씨는 영조의 친필입니다.
 
 
▼ 영조의 친필(御筆)인 조선 의세소손지묘라 쓴 비석 후면에 "나의 즉조 26년 경오(庚午) 8월 27일에 탄생하여 임신(壬申) 3월 초4일에 졸(卒)하니, 아! 나이 겨우 세 살이다. 5월 12일에 양주의 안현 남록 사향원에 장사지냈다. 아! 이것이 우리 세손의 생졸(生卒)이다. 전면의 대자(大字)와 후면의 음기(陰記)를 모두 손수 썼다. 모든 의물을 수효도 줄이고 제도도 줄였으니 뒷사람으로 하여금 내 손자를 위하여 묘를 보고 눈물을 흘리게 함이다." - 영조실록에서-
 
 
☞ 문화해설을 받으시려면 예약하세요. ☎ 031-966-6776
 
 
찾아가기
(서삼릉) 경기도 고양시 덕양구 원신동
 
 
출처: 문화재청, 민족문화대백과, 서삼릉 팜플릿,네이버 지도
 

 
★ 조선왕릉의 길잡이는 여길 누르세요
★ 동구릉 탐방기는 여기를 누르세요.
★ 영휘원 탐방기는 여길 누르세요.
★ 파주 삼릉 ( 공릉, 순릉, 영릉 )탐방기
★ 광릉 탐방기
★ 어진에 대하여는 여길 누르세요.
★ 영조의 글씨
• 활동 지역 : 강서구(江西區)
▣ 지식창고
(A) 내 지식자료
Ο 지식창고 작업
about 고재완의 지식창고
©2021 General Libraries 최종 수정일: 2021년 1월 1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