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S 여러분! 반갑습니다.    [로그인]
키워드 :
한글 
◈ 漢陽太平歌 (한양태평가) ◈
◇ 11. 승전 놀음과 복식(服飾), 기생점고(妓生點考)와 가무(歌舞) ◇
해설   목차 (총 : 14권)     이전 11권 다음
漢山居士(한산거사)
목   차
[숨기기]
 

1. 승전놀음과 참여자들의 옷 차림새

 
2
구경가자 구경가자 승전(承傳)놀음 구경가자
 
3
북일영(北一營) 군자정(君子亭)에 좋은 놀음 벌였구나
 
4
눈빛 같은 흰 휘장(揮帳)과 구름 같은 높은 차일(遮日)
 
5
차일 아래 유둔(油芚)치고 마루 끝에 보계판(補階板)과
 
6
아로새긴 서까래에 각 영문(營門) 사촉롱(紗燭籠)을
 
7
빈틈 없이 달아 놓고 좁쌀 구슬 화초등(花草燈)과
 
8
보기 좋은 양각등(羊角燈)을 차례(次例)있게 걸어 놓고
 
9
난간 밖에 춘화(春花) 가화(假花) 붉은 비단 허리 매어
 
10
빙문(氷紋)진 유리병에 가득히 꽂아 놓고
 
11
각색 총전(氈) 몽고전(蒙古氈)과 만화(滿花) 등메 담방석(?方席)에
 
12
백통〔白銅〕타구(唾具) 옥타구며 백통 요강(尿綱) 은재털이
 
13
왜찬합(倭饌盒)과 당(唐)찬합과 아로새긴 교자상(交子床)과
 
14
모란병풍(牡丹屛風) 영모(翎毛)병풍 산수병풍 글씨병풍
 
15
홍융사(紅絨絲) 구멍 뚫어 이리저리 얽어 매고
 
16
별간(別監)의 거동 보소 난번〔下番〕별감 백여명이
 
17
맵시도 있거니와 치장(治粧)도 놀라울사
 
18
편월(片月) 상투 밀화(蜜花) 동곳 대(大)자 동곳 섞어 꽂고
 
19
곱게 뜬 평양망건(平壤網巾) 외점박이 대모관자(玳瑁貫子)
 
20
상의원(尙衣院) 자지팔사(紫芝八絲) 초립(草笠)밑에 팔괘(八卦)놓고
 
21
남융사(藍絨絲) 중두리에 오동입식(烏銅笠飾) 껴서 달고
 
22
손벽 같은 수사(繡絲)갓끈 귀를 가려 숙여 쓰고
 
23
다홍생초(茶紅生?) 고운 홍의(紅衣) 숙초 창의(熟??衣) 받쳐 입고
 
24
보라누비 저고리에 외올뜨기 누비 바지
 
25
양색단(兩色緞) 누비 배자(褙子) 전배자(氈褙子) 받쳐 입고
 
26
금향수주(錦香繡紬) 주비 토수(吐手) 전(氈)토수 받쳐 끼고
 
27
중동치레 볼작시면 우단 대단(羽緞大緞) 도리불수(桃李佛手)
 
28
각색 줌치 묘히 접어 나비매듭 별매듭에
 
29
파리매듭 도래매듭 색색으로 꿰어 차고
 
30
오색비단(五色緋緞) 괴불줌치 약랑(藥囊) 향랑(香囊) 섞어 차고
 
31
이궁전 대방전과 금사향(金絲香) 자개향을
 
32
고름마다 덮어 차고 대모장도(玳瑁粧刀) 서(犀)장도며
 
33
밀화장도(蜜花粧刀) 백옥장도 안팎으로 비껴 차고
 
34
삼승(三升) 버선 수눅 파서 맵시 있게 하여 신고
 
35
제제창창(濟濟??) 앉은 모양 절차(節次)도 거룩하다
 
36
금객(금객) 가객(歌客) 모였구나 거문고 임종철(林宗哲)이
 
37
노래에 양사길(梁四吉)이 계면(界面)에 공득이(孔得伊)며
 
38
오동복판(梧桐腹板)거문고는 줄 골라 세워 놓고
 
39
치장(治粧) 차린 새 양금(洋琴)은 떠난 나비 앉혔구나
 
40
생황(笙簧) 퉁소 죽장고(竹杖鼓)며 피리 저 해금(奚琴)이며
 
41
새로 갈린 큰 장구를 처서피(靑鼠皮) 새 굴레에
 
42
홍융사(紅絨絲) 용두(龍頭)머리 단단히 죄어 매고
 
43
태극(太極)그린 큰 북 가에 쌍룡(雙龍)을 그렸구나
 
44
왕대를 가로 질러 흰 무명 십여척(十餘尺)을
 
45
고리 꿰어 매어 달고 다홍상모(茶紅象毛) 긴 북채ㄹ다
 
 

2. 승전놀음에 참여할 기생점고(妓生點考)

 
47
각색 기생 들어 온다 예사로운 놀음에도
 
48
치장(治粧) 놀랍거든 하물며 승전(承傳)놀음
 
49
별감(別監)의 놀음인데 범연히 치장하랴
 
50
얼음 같은 누런 전모(氈帽) 자지갑사(紫芝甲紗) 끈을 달고
 
51
구름 같은 허튼머리 반달 같은 쌍얼레로
 
52
솰솰 빗겨 고이 빗겨 편월(片月)좋게 땋아 얹고
 
53
모단삼승(毛緞三升) 가리마를 앞을 덮어 숙여 쓰고
 
54
산호잠(珊瑚簪) 밀화(蜜花)비녀 은비녀 금봉차(金鳳차)를
 
55
이리 꽂고 저리 꽂고 당가화(唐假花) 상가화(常假花)를
 
56
눈을 가려 자주 꽂고 도리불수(桃李佛手) 모초단(毛?緞)을
 
57
웃저고리 지어 입고 양색단(兩色緞) 속저고리
 
58
갖은 패물 꿰어 차고 남갑사(藍甲紗) 은조사(銀條紗)며
 
59
화갑사(花甲紗) 긴치마를 허리 졸라 동여 입고
 
60
백방수주(白紡水紬) 속속곳과 수갑사(繡甲紗) 단속곳과
 
61
장원주(壯元紬) 넓은 바지 몽고삼승(蒙古三升) 겉버선과
 
62
안동상전(安東床廛) 수운혜(繡雲鞋)를 맵시 있게 신어두고
 
63
백만교태(百萬嬌態) 다 피우고 모양 좋게 들어온다
 
64
내의녀(內醫女) 침선비(針線婢)며 공조(工曹)라 혜민서(惠民署)며
 
65
늙은 기생(妓生) 젊은 기생 명기(名妓) 동기(童妓) 들어온다
 
 

3. 승전놀음의 가무(歌舞)

 
67
오동양월(梧桐良月) 밝은 달에 밝고 밝은 추월(秋月)이며
 
68
춘내편시(春來片時) 도화수(桃花樹)라 벽도(碧桃) 홍도(紅桃) 들어 온다
 
69
설만장안(雪滿長安) 학정홍(鶴頂紅)하니 외로울사 일점홍(一點紅)이
 
70
정부만리(征夫萬里) 수타향(戍他鄕)하니 바라볼사 관산월(關山月)이
 
71
앵전고지(鶯?高枝) 연입루(燕入樓)하니 소리 좋은 연앵(燕鶯)이며
 
72
청천삭출(靑天削出) 금부용(金芙蓉)하니 의젓한 부용(芙蓉)이며
 
73
천류앵제(穿柳鶯啼) 녹영홍(綠映紅)하니 탈색(奪色)할사 연산홍(映山紅)이
 
74
구봉침(九鳳枕) 잠간 보니 화려할사 채봉(彩鳳)이며
 
75
옥출곤강(玉出崑崗) 금생여수(金生麗水) 보매로운 금옥(金玉)이며
 
76
선성재수(蟬聲在樹) 홀사양(忽斜陽)하니 신기(神奇)롭다 초선(貂蟬)이며
 
77
낙양장안(洛陽長安) 봄 늦었다 번화로운 만점홍(滿點紅)이
 
78
강성오월(江城五月) 낙매화(落梅花)하니 향기로운 매향(梅香)이며
 
79
녹죽의의(綠竹??) 청고절(靑高節)하니 절개있는 죽엽(竹葉)이며
 
80
경수무풍(鏡水無風) 야자파(也自波)하니 곱고 고운 백능파(白凌波)ㄹ다
 
81
운빈화안(雲?華顔) 금보요(金步搖)하니 설부화모(雪膚花貌) 참치시(參差時)라
 
82
차례로 늘어 앉아 놀음을 재촉한다
 
83
화려한 거문고는 안족(雁足)을 옮겨 놓고
 
84
문무현(文武絃) 다스리니 농현(弄絃) 소리 더욱 좋다
 
85
한만(汗漫)한 저 다스림 길고 길고 구슬프다
 
86
피리는 침을 뱉고 해금(奚琴)은 송진(松津) 그을고
 
87
장구〔長鼓〕는 굴레 조여 더덕을 크게 치니
 
88
관현(管絃)의 좋은 소리 심신(心身)이 황홀하다
 
89
거상조(擧床調) 내린 후에 소리하는 어린 기생
 
90
한 손으로 머리 받고 아미(蛾眉)를 반쯤 숙여
 
91
우조(羽調)라 계면(界面)이며 소용(搔聳)이 편악(編樂)이며
 
92
춘면곡(春眠曲) 처사가(處士歌)며 어부사(漁父詞) 상사별곡(相思別曲)
 
93
황조타령(黃鷄打令) 매화타령(梅花打令) 잡가(雜歌) 시조(時調) 듣기 좋다
 
94
춤추는 기생(妓生)들은 머리에 수건 매고
 
95
웃영산(靈山) 늦은 춤에 중령산(中靈山) 춤을 몰아
 
96
잔영산 입(立)춤 추니 무산선녀(巫山仙女) 내려온다
 
97
배 떠나기 북춤이며 대무(對舞) 남무(男舞) 다 춘 후에
 
98
안 올린 벙거지의 성성전(猩猩氈) 전두리에
 
99
주먹 같은 밀화증자(蜜花증子) 매미 새겨 달고
 
100
갑사군복(甲紗軍服) 홍수(紅袖) 달아 남수화주(藍繡花紬) 긴 전대(纏帶)를
 
101
허리를 잔뜩 매고 상모(象毛) 단 노는 칼을
 
102
두 손에 비껴 쥐고 잔영산(靈山) 모는 삼현(三絃)
 
103
항장(項莊)의 춤이런가 가슴이 서늘하다
 
104
보기에 번화하고 듣기에 신선하다
 
 

4. 한양에 대한 자부심

 
106
춘성(春城) 삼백 구십교(九十橋)와 대도청루(大道靑樓) 십이중(十二重)에
 
107
집집이 관현(管絃)이요 거리 거리 노래로다
 
108
연풍해전(年豊海甸) 가가주(家家酒)요 춘만강성(春滿江城) 처처화(處處花)라
 
109
동도부(東都賦) 서도부(西都賦)며 임고대(臨高臺) 제경편(帝京編)과
 
110
제왕국도(帝王國都) 지은 글이 번화가 장(壯)하건만
 
111
자성제인(子誠齊人) 어린 소견 우리 한양(漢陽) 제일일다
 
 

5. 임금과 우리문화에 대한 자부심

 
113
임자는 그 뉘신고 하늘이 내신 인군
 
114
적덕백년(積德百年) 태조대왕(太祖大王) 홍무(洪武)에 등극(登極)하사
 
115
예악법도(禮樂法度) 소중화(小中華)라 선이건곤(仙李乾坤) 거룩하다
 
116
계계승승(繼繼承承) 성자신손(聖子神孫) 즐겁구나 우리 성주(聖主)
 
117
어질기는 요순(堯舜)이요 효(孝)롭기는 문무(文武)로다
 
118
주(周)나라 구여시(九如詩)와 한(漢)나라 사중가(四重歌)는
 
119
아마도 우리나라 수무족도(手舞足蹈) 즐겁구나
【원문】11. 승전 놀음과 복식(服飾), 기생점고(妓生點考)와 가무(歌舞)
▣ 커뮤니티 (참여∙의견)
내메모
여러분의 댓글이 지식지도를 만듭니다. 글쓰기
〔가사〕
▪ 분류 : 가사
▪ 최근 3개월 조회수 : 359
- 전체 순위 : 210 위 (1 등급)
- 분류 순위 : 17 위 / 266 작품
지식지도 보기
내서재 추천 : 0
▣ 함께 읽은 작품
(최근일주일간)
• (1) 에밀레종
▣ 참조 지식지도
▣ 기본 정보
◈ 기본
  한양가(漢陽歌) [제목]
 
  한산거사(漢山居士) [저자]
 
  1844년 [발표]
 
  가사(歌辭) [분류]
 
◈ 참조
▣ 참조 정보 (쪽별)
백과 참조
목록 참조
참조 :
외부 참조
 
백과사전 으로 가기
▣ 인용 디렉터리

  지식놀이터 :: 원문/전문 > 문학 > 한국문학 > 고전 시가 > 가사 해설   목차 (총 : 14권)     이전 11권 다음 한글 
◈ 漢陽太平歌 (한양태평가) ◈
©2021 General Libraries 최종 수정 : 2021년 03월 15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