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S 여러분! 반갑습니다.    [로그인]
키워드 :
한글 
◈ 漢陽太平歌 (한양태평가) ◈
◇ 12 능행(陵幸) - 임금이 왕릉에 가던 행차 ◇
카탈로그   목차 (총 : 14권)     이전 12권 다음
漢山居士(한산거사)
목   차
[숨기기]
 

1. 능행과 능행의 택일

 
2
해마다 정월이면 태묘(太廟) 사직(社稷) 다니신 후
 
3
능행령(陵幸令) 내리시니 남도거동(南道擧動) 되신다네
 
4
남도는 화성부(華城府)라 두 능을 모셨으니
 
5
건능(健陵)과 현륭원(顯隆園)에 춘전알(春展謁) 영이 났다
 
6
병판(兵判)은 군령(軍令) 대령 각 영문(營門) 장신(將臣)네는
 
7
군장점고(軍裝點考) 신칙(申飭)하고 백각사(百各司) 관원들은
 
8
군복융복(軍服戎服) 치장(治粧)하고 백각사 하인들은
 
9
능행복색(陵幸服色) 재촉하니 택일(擇日)은 삼월이라
 
10
능행도 하시면서 춘성경(春省耕) 하시련다
 
 

2. 능행에 참여한 사람들과 행사의 모습

 
12
호조(戶曹)의 별례방(別例房)은 계사(計士)를 영통(領統)하여
 
13
각색장색(各色匠色) 거느리고 능소(陵所)로 바삐 가고
 
14
주교대장(舟橋大將) 전령(傳令)하여 주교(舟橋)를 신칙(申飭)한다
 
15
전세(田稅) 대동(大同) 실은 배와 두 대박이 외대박이
 
16
당도리며 먼정이며 중거루 낚거루를
 
17
십리장강(十里長江) 넓은 물에 머리 맞게 늘어 세고
 
18
선장(船匠)이며 지휘목수(指揮木手) 주야(晝夜)로 일을 할 제
 
19
주교별장(舟橋別將) 군복(軍服)하고 이리 가며 저리 가며
 
20
등패(等牌)를 영통(領統)하여 결곤(決棍) 신칙 일을 몬다
 
21
배 위에 장송(長松) 깔고 장송 위에 박송(薄松) 깔고
 
22
그 위에 모래 펴고 모래 위에 세사(細砂)펴고
 
23
그 위에 황토(黃土) 깔고 좌우에 난간 짜고
 
24
팔뚝 같은 쇠사슬로 뱃머리를 걸어 매고
 
25
양 끝에 홍전문(紅箭門)과 한가운데 홍전문에
 
26
홍기(紅旗)를 높이 꽂고 좌우의 뱃사공은
 
27
청의청건(靑衣靑巾) 남전대에(藍纏臺)에 오색기(五色旗) 손에 들고
 
28
십리주교(十里舟橋) 벌였으니 천승군왕(千乘君王) 위의(威儀)로다
 
29
주교대장(舟橋大將) 주교별장신칙 호령 엄위(嚴威)하다
 
30
유도대장(留都大將) 영군(領軍)하고 종로(鐘路)마루 한가운데
 
31
차일(遮日)을 높이 치고 차일 밑에 유둔(油芚)치고
 
32
유둔 아래 군막(軍幕)치고 군중(軍中)에 호령한다
 
33
신시(申時)에 취군(聚軍)하여 돈화문(敦化門) 밖 다 모인다
 
34
경야(經夜)를 하려 하고 어한제구(禦寒諸具) 가졌구나
 
35
길마재〔鞍峴〕한 봉화(烽火)에 남산 봉화 응하여서
 
36
일제히 네 자루가 변방무사(邊方無事) 보(報) 하였다
 
37
초겻〔初更〕삼경(三更) 인정(人定)소리 이십팔수(二十八宿) 응하였고
 
38
전루(傳漏)를 몰아 쳐서 오경(五更)이 벌써 되니
 
39
서른 세번 파루(罷漏)소리 그치면서 초엄(初嚴)치고
 
40
재엄(再嚴)치고 삼엄(三嚴)치니 묘정삼각(卯正三刻) 되었구나
 
41
통례원(通禮院) 좌통례(左通禮)가 승여(乘輿)를 청하였다
 
42
부도가(部導駕) 앞 도가(導駕)며 한성부(漢城府) 꼭뒤 도가(導駕)
 
43
사헌부(司憲府) 도가 끝에 선진(先陣)이 동군(動軍)한다
 
44
기대장(騎大將) 앞을 서니 마군(馬軍)의 머리로다
 
45
오마대(五馬隊) 마군들은 항오(行伍)가 엄숙하다
 
46
별대(別隊) 마병(馬兵) 선기대(善騎隊)며 천총(千摠) 파총(把摠) 기총(騎摠)이며
 
47
각초초관(各哨哨官)모양들은 제 방위색(方位色) 물을 들여
 
48
더그레며 수기(手旗)쥐고 원앙진(鴛鴦陣) 보군작대(步軍作隊)
 
49
전초(前哨) 후초 좌초(左哨) 우초 전사(前司) 후사 좌사(左司) 우사
 
50
삼행(三行)으로 행군하니 초기(哨旗)가 앞을 섰네
 
51
범 같고 곰 같으니 군상(軍像)이 웅위(雄威)하다
 
52
도감(都監)이 선상(先廂)이라 대장(大將)의 기구(器具)보소
 
53
전건(戰巾) 쓴 겹 전배(前陪)의 영기(令旗) 순시(巡視) 곤장(棍杖) 주장(朱杖)
 
54
청도기(淸道旗) 앞을 서고 대기치(大旗幟) 벌여 섰다
 
55
관이영전(貫耳令箭) 신기전(神機箭)에 월도(月刀)든 회자수(劊子手)며
 
56
금안준마(金鞍駿馬) 좋은 말에 상모(象毛)달고 주락(珠絡)달고
 
57
흰 무명 된밀치며 흰 무명 마혁(馬革) 달고
 
58
안 올린 벙거지에 상모(象毛)의 공작우(孔雀羽)며
 
59
비단군복(緋緞軍服) 우단요대(羽緞腰帶) 환도(還刀) 차고 등채 집고
 
60
밀부(密符) 병부(兵符) 거서 차고 동개에 미전(尾箭) 꽂고
 
61
다홍대단(茶紅大緞) 큰 수기(手旗)에 삼군사명(三軍司命) 네 큰 자(字)를
 
62
뚜렷이 새겨 내어 보기 좋게 써서 꽂고
 
63
그 뒤에 문무 낭청(文武郎廳) 그 뒤에 중군(中軍)서고
 
64
교련관(敎鍊官) 집사(執事)들이 위를 막아 호위한다
 
65
그 담은 용호영(龍虎營)이 표기(標旗)밑에 병조판서(兵曹判書)
 
66
누런 수기(手旗) 붉은 글자 본병(本兵) 이자(二字) 써서 들고
 
67
단정히 가는 모양 대사마(大司馬) 원수(元帥)로다
 
68
금려사령(禁旅使令) 금군별장(禁軍別將) 육번금군(六番禁軍) 작대(作隊)하고
 
69
어전기치(御前旗幟) 늘어섰다 청도 일쌍(淸道一雙) 앞선 후에
 
70
좌청룡(左靑龍) 우백호(右白虎)며 남주작(南朱雀) 북현무(北玄武)며
 
71
동남각(東南角) 남동각과 동북각(東北角) 북동각과
 
72
서남각(西南角) 남서각과 서북각(西北角) 북서각과
 
73
홍신문(紅神門) 흑신문(黑神門) 청신문(靑神門) 백신문(白神門)과
 
74
황신문(黃神門) 황신기(黃神旗)며 홍고초(紅高招) 청고초(靑高招)며
 
75
백고초 흑고초며 황고초 등사기(騰蛇旗)며
 
76
남신장(南神將) 북신장과 동신장 서신장과
 
77
칠성기(七星旗) 표미기(豹尾旗)며 초요기(招搖旗) 금고기(金鼓旗)라
 
78
물색(物色)도 좋거니와 오군미목(五軍眉目) 분며아다
 
79
삼행분입(三行分立) 완행(緩行)으로 내호(來呼)소리 연(蓮)하였네
 
80
가전(駕前)의 좋은 복색(服色) 교룡기(交龍旗) 옹위(擁衛)하고
 
81
둑(纛) 담에 양산(洋傘)서고 좌우에 수정절월(水晶節鉞)
 
82
은증자(銀증子) 금증자(金증子)며 은몽둥이 금몽둥이
 
83
각색 의장(儀仗) 벌여 서니 선부(仙府)의 복색(服色)일세
 
84
관약지음(管?之音) 난만(爛漫)하고 우모지미(羽毛之尾) 현란(眩亂)하다
 
85
호륵(豪勒)한 어전전배(御前前陪) 자개창(槍) 시위(施威)하고
 
86
모단전건(毛緞戰巾) 흥덩그레 화약통(火藥?) 남갈개며
 
87
오라 사슬 칼에 걸고 행보(行步) 좋게 가는구나
 
88
다홍대단(茶紅大緞) 홍령기(紅令旗)는 곤장(棍杖) 주장(朱杖) 섞어 서고
 
89
금훤화(禁喧?) 대답소리 보보(步步)이 영전(令傳)한다
 
90
어전등롱(御前燈籠) 홍사(紅紗)초롱 신전(信箭)이며 월도(月刀)로다
 
91
선전관(宣傳官) 별군직(別軍職)과 별운검(別雲劍) 총관(摠管)들과
 
92
별감(別監) 무감(武監) 내시(內侍)와 무예청(武藝廳) 통장(統將)들과
 
93
협연초관(俠輦哨官) 창검초관(槍劍哨官) 금훤낭청(禁喧廊廳) 내금장(內禁將)과
 
94
내구마(內?馬) 외구마(外?馬)는 법안(法鞍)지어 앞에 서고
 
95
경기감영(京畿監營) 세패(細牌)들은 홍철릭[紅天翼] 공작우(孔雀羽)의
 
96
가는 소리 권마성(勸馬聲)이 맑고도 고을시고
 
97
숭례문(崇禮門)밖 나오시니 계라차지(啓螺差知) 선전관(宣傳官)이
 
98
자주 걸어 기어 와서 취타(吹打)를 청한 후에
 
99
겸내취(兼內吹) 패두(牌頭) 불러 취타령(吹打令) 내려 오니
 
100
겸내취 거동 보소 초립(草笠)에 작우(雀羽) 꽂고
 
101
누른 철릭[天翼] 남전대(藍纏帶)에 명금삼성(鳴金三聲) 한 연후에
 
102
고동(鼓動)이 세번 울며 군악(軍樂)이 일어나니
 
103
엄위(嚴威)한 나팔(喇叭)이며 애원(哀怨)한 호적(胡笛)이라
 
104
정기(旌旗)는 표표(飄飄)하고금고(琴鼓)는 당당하다
 
105
한가운데 취고수(吹鼓手)는 흰 한삼(汗衫) 두 북채를
 
106
일시에 수십명이 행고(行鼓)를 같이 치니
 
107
듣기에도 좋거니와 보기에도 엄위(嚴威)하다
 
108
앞에는 공가교(空駕轎)요 뒤에는 타신 가교(駕轎)
 
109
무예청(武藝廳) 호위하고 그 밖에 별감(別監) 무감(武監)
 
110
모두 다 홍철릭에 공작우(孔雀羽) 꽂았으며
 
111
가교(駕轎)에 나옵시니 홍양산(紅陽?)은 앞에 섰다
 
112
그 밖에 협연군(俠輦軍)이 자개창(槍) 뒤를 막고
 
113
그 밖에 나장(羅將)이는 주장(朱杖)들고 시위(施威)하고
 
114
대령포교(待令捕校) 사오명은 백의(白衣)로 수가(隨駕)하고
 
115
약방(藥房)내각(內閣)정원(政院)옥당(玉堂) 군복(軍服)하고 수가(隨駕)하고
 
116
위외(衛外)의 산반(散班)들은 철릭으로 배종(陪從)하고
 
117
후상(後廂)은 금위대장(禁衛大將) 삼천 병마(兵馬) 총독(總督)하고
 
118
원앙진(鴛鴦陣) 행군하여 삼십팔면(三十八面) 대기치(大旗幟)에
 
119
난후취(?後吹) 취타(吹打)하고 후진(後陣) 되어 가는구나
 
120
돌모로[石隅洞]지나셨다 노량(露梁)을 당하였네
 
121
주교대장(舟橋大將) 결진(結陣)하고 강물을 굳게 막아
 
122
나는 새를 건넬소냐 행보(行步) 좋은 선전관(宣傳官)이
 
123
표신(標信)을 손에 쥐고 홍령기(紅令旗) 앞세우고
 
124
주교영(舟橋營) 들어가서 표신을 전한 후에
 
125
방포삼성(放砲三聲) 진문(陣門) 열고 대가(大駕)가 드오신다
 
126
명금(鳴金) 취타(吹打) 대진(大振)하니 어룡(魚龍)이 다 놀란다
 
127
언기고(偃旗鼓) 신기전(神機箭)에 삼군(三軍)이 호령하니
 
128
풍운(風雲)이 변화하고 용사(龍蛇)가 비등(飛騰)한다
 
129
규규(赳赳)한 무부(武夫)들은 공후(公侯) 간성(干城) 되었어라
 
130
군제(軍制)가 정숙(整肅)하고 항오(行伍)가 정제(整齊)하다
 
131
하루 지나 이틀 지나 삼일 만에 환궁(還宮)하사
 
132
별단시상(別單施賞) 하신 후에 과거령(科擧令) 내리시니
 
133
알성(謁聖)에 용호방(龍虎榜)이 한데로 뵈신다네
【원문】12 능행(陵幸) - 임금이 왕릉에 가던 행차
▣ 커뮤니티 (참여∙의견)
내메모
여러분의 댓글이 지식지도를 만듭니다. 글쓰기
〔가사〕
▪ 분류 : 가사
▪ 최근 3개월 조회수 : 369
- 전체 순위 : 211 위 (1 등급)
- 분류 순위 : 17 위 / 266 작품
지식지도 보기
내서재 추천 : 0
▣ 함께 읽은 작품
(최근일주일간)
• (1) 전운치전
▣ 참조 지식지도
▣ 기본 정보
◈ 기본
  한양가(漢陽歌) [제목]
 
  한산거사(漢山居士) [저자]
 
  1844년 [발표]
 
  가사(歌辭) [분류]
 
◈ 참조
▣ 참조 정보 (쪽별)
백과 참조
목록 참조
참조 :
외부 참조
 
백과사전 으로 가기
▣ 인용 디렉터리

  지식놀이터 :: 원문/전문 > 문학 > 한국문학 > 고전 시가 > 가사 카탈로그   목차 (총 : 14권)     이전 12권 다음 한글 
◈ 漢陽太平歌 (한양태평가) ◈
©2021 General Libraries 최종 수정 : 2021년 03월 15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