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S 여러분! 반갑습니다.    [로그인]
키워드 :
한글 
◈ 탁류(濁流) ◈
◇ 9 행화(杏花)의 변(辯) ◇
해설   목차 (총 : 19권)     이전 9권 다음
1937.10
채만식
1
탁류(濁流)
 
2
9. 행화(杏花)의 변(辯)
 
 
3
치료를 받고 난 태수는 그 길로 개복동 행화(杏花)의 집을 들렀다.
 
4
언제나 마찬가지로 오늘도 형보가 먼저 와서, 아랫목 보료 위에 가 사방침을 베고 드러누웠고, 행화는 가야금을 심심삼아 누르고 있다.
 
5
“자네, 집 장만했다면서 방이 몇인가? 남을 게 있나?”
 
6
태수가 마루로 올라서노라니까, 방에서 형보가 이런 소리를 먼저 묻는다. 형보는 태수가 결혼을 하고 살림을 차리면 비벼 뚫고 들어갈 요량을 대고 있는 참이다.
 
7
“염려 말게. 그러잖아두, 다아…….”
 
8
태수는 방으로 들어서면서 우선 양복 저고리를 훌러덩 벗어 들고 휘휘 둘러보다가 행화가 차고 앉은 가야금 위에다 휙 내던지고 모자는 벗어서 행화의 머리에다 푹 눌러 씌운다.
 
9
“와 이리 수선을 피우노?…… 남 안 가는 여학생 장가나 가길래 이라제?”
 
10
행화는 익살맞게 그대로 까딱 않고 앉아서 태수한테 눈을 흘긴다.
 
11
“하하하하, 그래그래, 내가 요새 대단히 유쾌해!”
 
12
“참 볼 수 없다!…… 그 잘난 제미할 여학생 장가로 못 갈까 봐서 코가 쉰댓 자나 빠져 갖고 댕길 때는 언제고, 저리 좋아서 야단스레 굴 때는 언제꼬!”
 
13
“하 이 사람, 그러잖겠나? 평생 소원을 이뤘으니…… 그렇지만 염려 말게…… 신정이 좋기루 구정이야 잊을 리가 있겠나?”
 
14
“아이갸! 내 차 타고 서울로 가서 한강 철교에 자살로 할라 캤더니, 그럼 그 말만 꼬옥 믿고 그만두오, 예?”
 
15
“아무렴, 그렇구말구…… 다아 염려 말래두 그래!”
 
16
시방 행화는 농담으로 농담을 하고 있지만, 태수는 진정을 농담으로 하고 있다. 그는 초봉이와 약혼을 한 그날부터는 근심과 불안을 요새 하늘처럼 말갛게 싹싹 씻어 버렸다.
 
17
그새까지는 근심이 되고 답답하고 할 적마다, 염불이나 기도를 하는 것과 일반으로, 뭘! 약차하거든 죽어 버리면 고만이지, 하고 그 임시 그 임시의 번뇌를 회피하기는 했지만, 그러면서도 한편으로는 어떻게 일을 좀 모면하고 싶은 마음이 간절하여, 늘 불안과 더불어 그것이 가슴에 서리고 있었다.
 
18
하던 것이, 영영 그를 모피하지는 못할 형편인데 일변 한 걸음 두 걸음 몸 바투 다가는 오고 그러자 마침 초봉이와 뜻대로 약혼까지 되고 나니, 그제는 아주 예라! 이놈의 것…… 하고, 정말로 죽어 버릴 결심을 하고 말았던 것이다.
 
19
해서, 그 무겁던 불안과 노심으로부터 완전히 해방을 받은 것이다.
 
20
―---제일 큰 소원이던 초봉이한테 여학생 장가를 들어 마지막 원을 푼 다음에야 단 하루라도 좋고 이 생에 아무 미련도 없다. 그리고 (그래서 장차 어느 날일지는 몰라도 그날에 임하여 종용자약하게 죽음을 자취할 테나) 그러나 그날의 최후의 일순간까지라도 이 세상을 깊이 있고 폭 넓게, 단연코 즐거운 생활을 해야만 한다.
 
21
그리하자면 첫째 초봉이로 더불어 맺은 꿈을 최대한으로 호화롭게 꾸며야 한다. 그러나 그러면서도 한편으로는 많이 많이 뚱땅거리고 술을 마시면서 놀아야 한다. 계집도 할 수 있는 껏 여럿을 두고 지내야 한다. 하니까 행화도 그대로 데리고 지낼 테다.
 
22
돈도 도적질도 좋고 빚도 좋고 사기 횡령 다 좋다. 재주껏 끌어 대면 그만이다.
 
23
즐겁고 유쾌하자면 그러므로 몸에 고통이 없어야 한다. 그러니까 병원에를 다니면서 ××도 치료를 받아야 한다.
 
24
이렇듯 태수는, 마치 무슨 의식을 거행하는 데 순서를 작정해 논 것처럼, 앞일을 가뜬하고 분명하게 짜놓았다.
 
25
해서 그는 진정으로 유쾌하고 명랑했던 것이지 조금도 억지로 그러는 것이 아니던 것이었다.
 
26
태수와 행화가 주거니 받거니 한참 지껄이는 동안, 형보는 제 생각에 골몰해 있다가 이윽고 끙 하면서 일어나 앉더니 태수 앞에 놓인 해태 곽을 집어다가 한 대 피워 물고는, 저도 말에 한몫 끼자고,
 
27
“행화가 말루는 아무렇지도 않은 체해두 다아, 속은 단단히 꽁한 모양이지?”
 
28
“와?”
 
29
“아, 저렇게 이쁜 서방님을 뺏기니깐…….”
 
30
“하! 고주사가 이쁘문 거저 이뻤나? 돈을 주니 이뻤제…….”
 
31
“조건 농담을 해두 꼭 저따우루 한단 말야!”
 
32
“와 농담고? 진정인데…….”
 
33
“그래그래, 말이야 말루 바른말이다…… 그런데, 아무튼 고주사가 장가를 든다니깐 섭섭하긴 섭섭하지?”
 
34
“체! 고주사가 장가 안 가구 있으문 언제 나한테루 장가온다 카던기요?…… 내는 조강지처 바래지도 않소.”
 
35
“거저 저건 팔자에 타고난 화루곗물건이야!”
 
36
“아니, 장주사두 철부지 소리로 하지 않소?”
 
37
더럭 성구는 행화는 그렇다고 흥분한 것은 아니나, 농담하는 낯꽃도 아니다.
 
38
“……기생이문 기생답게 돈이나 벌고 다아 그랄끼지, 아이고 무얼 팔자 탄식을 하고, 첩이 싫다고 남의 조강지처나 바라고 하는 거 내 그만에 구역이 나더라, 제에!”
 
39
“흥!”
 
40
“그라제…… 또오, 기생년이 뭣이냐 연애한다고 껍덕대는 거, 내 참 눈이 시여 못 보겠더라.”
 
41
“아니, 기생이라구 연애하지 말라는 법두 있나? 이 사람 자네 너무 겸손허이!…… 괜히 동무들한테 몽둥이 맞일…….”
 
42
“기생이 연애가 어데 당한 거꼬?…… 주제에 연애로 한다는 년도 천하 잡년, 기생년하고 연애하자구 덤비는 놈팽이두 천하 잡놈…….”
 
43
“아니 어째서……?”
 
44
여태 싱글싱글 웃고 앉아서 저 하는 양만 보고 있던 태수가, 저도 어디 말을 시켜 본다는 듯이 얼른 거들고 나서던 것이다.
 
45
“……이건 내가 되려 행화 말마따나, 차를 타구 서울로 가서 자살을 하던지 해야 할까 보아 응?…… 아, 그래두 난 여태 행화허구 연애를 하거니 하구서, 멋없이 좋아하잖앴나!”
 
46
“하아! 당신네들이 암만 그란다고, 내 무척 입살을 탈 내오!…… 아예 말두 마소…… 돈 받고 × ××× 연애라 카오?…… 뭇놈이 디리 주무르던 몸뚱이제, ××이야 매독이 시글시글해서 그만에 한쪽이 썩어 들어가제, 그런 주제에 연애가 무어 말라죽은 거꼬?”
 
47
“허!…… 그래두 난 행화한테 연앨 한걸?”
 
48
“말두 마소?…… 글쎄 고주사만 해두, 나하구 살로 섞고 지내문서 달리 초봉이라 카는 색시하고 연애로 해서 장가가지 않소?…… 그걸 쥐×도 내가 시기로 하는 기 아니라, 그것만 봐도 기생하고는 연애가 안 되길래 그러는 기 아니오? 이 답답한 되련님, 요!”
 
49
“흥! 그래두 난 보니깐…….”
 
50
태수가 미처 무어라고 대거리를 못 하는 사이에 형보가 도로 말참견을 하고 나서던 것이다.
 
51
“……기생들두 버젓하게 연애만 하구, 다아 그러더라.”
 
52
“그기 연애라요?…… 활량이 오입한 거 아니고? 기생이 오입 받은 거 아니고?…… 오입 길게 하는 걸로 갖고 연애라 캐싸니 답답한 철부지 소리 아니오? 예? 장주사 나리님!”
 
53
“저게 끄은히 날더러 철부지래요! 허어 그거 참…… 그러나저러나 이 사람아, 글쎄 기생두 다아 같은 사람이래서 연앨 해먹게 마련이구, 그래서 더러 연앨 하기두 하구 하는데 자넨 어찌 그리 연애하는 기생이라면 비상 속인가?”
 
54
“연애로 하문 다아 사람질하나? 체! 요번엔 저 앞에서 보니 개두 연앨 하던데?”
 
55
태수는 형보와 어울려 한참이나 웃다가, 빈 담뱃갑을 집어 보고는 돈을 꺼내면서 바깥을 기웃기웃 내다본다.
 
56
“와?”
 
57
“담배…….”
 
58
“아무두 없는데!…… 피죵 피우소.”
 
59
행화는 제 경대 서랍에서 담뱃갑을 꺼내다 놓는다.
 
60
“요전날 뭣이냐, 계집애 하나 데려오기루 한 건 어떻게 했나? 참.”
 
61
태수가 마침 심부름이 아쉽던 끝이라 무심코 생각이 난 대로 지날말같이 물어 보던 것이다.
 
62
“응? 계집애?”
 
63
형보는 행화가 미처 대답도 할 겨를이 없게시리 딱지를 떼고 덤빈다. 임의롭고 한 행화의 집이니 혹시 제 소일거리라도 생기나 해서…….
 
64
“웬 거야? 어떻게 생긴 거야?”
 
65
“와 이리 안주 없이 좋아하노?…… 우리 딸로 데리올라 캤더니 아직 어려서 조꼼 더 크게로 두었소, 자아…….”
 
66
“허 거 참…… 그러나저러나 인제 어린것이 딸이라니?”
 
67
“하아! 내 나이 한갑 아니오?”
 
68
“기생의 한갑?”
 
69
“뉘 한갑이거나 인제는 딸이나 길러야 늙밭에 밥이라두 물어다 멕여 살릴 기 아니오?”
 
70
“아서라!…… 남의 계집애 자식을 몇 푼이나 주구서 사다갈랑은 디리 등골을 뽑아 먹을 텐구?…… 쯧쯧!”
 
71
“등골은 와?…… 다아 제 좋고 내 좋고 하제!”
 
72
“대체 몇 푼이나 주구서 사오기루 했던가?”
 
73
“하아따, 장주사는 푼돈 크기 쓰나 보제?…… 백 원짜리로 두 푼에 정했소, 정했다가 제도 마단다 하고, 내도 급하잖길래 후제 보자 했소, 속이 시원하오?”
 
74
양서방네 딸 명님이의 이야기다. 그러나 태수고 형보고, 그들은 명님인 줄도 모르고, 또 코가 어디 붙은 계집아인지 알 턱도 없던 것이다.
 
75
“집을 도배를 하나? 원…….”
 
76
태수가 혼자말로 중얼거리면서 방바닥에 놓인 양복 저고리를 집어 들고 일어선다.
 
77
“좀…… 가보아야겠군.”
 
78
“어딘데?”
 
79
“그전 큰샘거리…… 자네두 같이 가세. 오늘 가서 집을 알아 뒀다가, 도배 끝나거든 짐짝 떠짊어지구 가서 있게.”
 
80
“아니 내가 먼점 집을 들어?”
 
81
형보는 두루마기를 내려 입으면서 속으로는 어찌하면 일이 이렇게도 군장맞게 잘 맞아떨어지느냐고 좋아한다.
 
82
“식모는 벌써 집하구 한꺼번에 구해서 집을 맡겨 뒀는데, 인제 살림을 딜여놓자면 식모만 믿을 수가 없으니까, 자네가 기왕 와서 있을 테고 하니 미리 오란 말이지.”
 
83
“원 그렇다면 모르거니와…….”
 
84
“행화두 미리서 집 알이 겸 가세그려?…… 아무래도 또 만나서 저녁이나 먹어야 할 테니 아주 나갈 길에…….”
 
85
태수는 시방 태평으로 집을 둘러보러 가는 것이나, 그와 거의 같은 시각에서 조금 돌이켜, 초봉이도 계봉이와 같이 그 집에를 가게 된 것은 생각도 못 한 일이다.
 
86
집은 다른 서두리와 마찬가지로, 탑삭부리 한참봉네 아낙 김씨가 나서서 얻어 놓았다.
 
87
태수는 실상 돈만, 같은 솜씨로 소절주 농간을 해서 오백 원을 마련해다가 김씨한테 내맡겨 버리고 기껏해야 청첩 박는 것, 식장으로 쓸 공회당이며, 예식집에 전화로 교섭하는 것, 요릿집에다가 음식 맞추는 것, 이런 것이나 누워 떡 먹기로 슬슬 하고 있지, 정작 힘 드는 일은 김씨가 통 가로맡아서 하고 있다.
 
88
그러하되 그는 마치 며느리를 볼 아들의 혼인이나 당한 것처럼 팔을 걷어붙이고 나서서 일을 했다.
 
89
돈도 태수가 가져다 준 오백 원은 거진 다 없어졌다. 정주사네 집으로 현금 이백 원에, 혼수가 옷감이야 무어야 해서 오륙십 원 어치가 가고, 다시 반지를 산다, 신랑의 옷을 한다, 집을 세로 얻는다, 살림 제구를 장만한다…… 이래서 그 오백 원은 거진 다 없어진 것이다.
 
90
인제는 돈이 앞으로 얼마가 들든지 제 돈을 찔러 넣어야 할 판이다.
 
91
그러나 그는 그것도 아깝지가 않고 도리어 그리할 수 있는 것이 좋아 신이 났다.
 
92
집을 얻어 놓고서 그는 정주사네 집에다가는, 새 집을 사려고 했었으나 마침 마음에 드는 집이 없어서 종차 새로 짓든지 사든지 할 테거니와, 급한 대로 우선 셋집을 이러이러한 곳에다 얻어 놓았다고 혹시 규수가 나올 길이 있거든 마음에 드는지 둘러나 보라고 태수의 전갈로 기별을 했다.
 
93
그러자 오늘 마침 초봉이가 계봉이를 데리고 목간을 하러 나가겠다니까 유씨가, 기왕 나갔던 길이니 구경이나 하고 오라고 두번 세번 신신당부를 했다.
 
94
초봉이는 보아도 그만 안 보아도 그만이라고 생각했지만, 또 기별까지 왔고, 모친도 보고 오라고 해싸니까, 그런 것을 굳이 안 보려고 할 것도 없겠다 싶어 목간을 하고 오는 길에 들러 본 것이다.
 
95
새길 소화통(昭和通)이 뻗어 나간 뒤꼍으로 예전 ‘큰샘거리’의 복판께 가서 바로 길 옆에 나앉은 집이다.
 
96
밖에서 보기에도 추녀며 기둥이 낡지 않은 것이, 그리 묵은 집은 아니고, 대문으로 들어서면서 장독대가 박힌 좁지 않은 뜰 앞이 우선 시원스러웠다.
 
97
좌는 동향한 기역자요, 대문을 들어서면 부엌이 마주 보이고 부엌에 연달아 안방이 달리고 마루와 건넌방이 왼편으로 꺾여 있다. 그리고 뜰아랫방은 부엌 바른편에 달려 있다.
 
98
도배꾼이 셋이나 들끓고, 방이며 마루며 마당이 안팎없이 종이부스러기야 흙이야 너절하니 널려 있어 어설프기는 어설퍼도 집은 선뜻 초봉이의 마음에 들었다.
 
99
그것은 이 집이 그다지 훌륭한 집인 줄 알아서 그런 것이 아니라, 지금 사는 둔뱀이 집에 빗대어 보면 훤하니 드높고 뚜렷한 게, 속이 답답하지 않은 때문이다.
 
100
식모는 먼저 구해 두기로 했다더니 어디로 가고 보이지 않고, 건넌방에서 도배하던 사내들만 끼웃끼웃 내다본다.
 
101
초봉이는 그만 하고 돌아서서 나올까 하는데 계봉이가 별안간 반색을 하여,
 
102
“어쩌믄! 꽃밭이 있어!”
 
103
하면서 마당 귀퉁이로 뛰어간다.
 
104
아닌게아니라, 전에 살던 사람의 알뜰한 맘씨인 듯싶게 조그마한 화단이 무어져 있고, 백일홍과 봉선화와 한련화가 모두 망울망울 망울이 맺었다. 코스모스도 서너 포기나 한창 자라고 있고, 화단 가장자리로는 채송화가 아침에 피었다가 반일(半日)이 지난 뒤라 벌써 시들었다.
 
105
화단은 그러나 주인 없이 집이 빈 동안에 하릴없이 거칠었다. 꽃 목이 꺾이기도 하고, 흉한 발자국에 밟히기도 했다. 저편 담 밑으로는 ‘아사가오’ 서너 포기가 타고 올라갈 의지가 없어 땅바닥에서 덩굴이 헤매고 있다.
 
106
초봉이는 마음 깐으로는 지금이라도 꽃들을 추어 올리고, 아사가오도 줄을 매주고 이렇게 모두 손질해 주고 싶은 생각이 간절했으나 차마 못 하고 돌아서면서, 집을 들면 그 이튿날 바로 이 화단에 먼저 손을 대주리라고, 꼬옥 염량을 해두었다.
 
107
초봉이가 마악 돌아서려니까, 대문간에서 뚜벅뚜벅 요란스런 발자국 소리가 들리면서 사람들이 한떼나 되는 듯싶게 몰려들었다.
 
108
태수가 행화와 나란히 서고 형보가 그 뒤를 따라 처억척 들어서던 것이다.
 
109
양편이 다 놀란 것은 말할 것도 없다.
 
110
초봉이는 고개를 푹 숙이고, 계봉이는 덤덤하니 서 있고, 형보는 히죽이 웃고, 행화는 의아하고, 태수는 어쩔 줄을 몰라 허둥지둥이다.
 
111
그는 뒤를 돌려다보다가 초봉이를 건너다보다가, 뒤통수를 긁으려고 하다가 밭은 기침을 하다가, 벙끗 웃다가 하는 양이 보기에도 민망할 지경이다.
 
112
다섯 남녀의 마음은 다 제각기 다르게 동요가 되었다. 얼굴마다 또렷또렷하게 마음을 드러내 놓는다.
 
113
초봉이는 행화가 웬일인가 싶어 이상하게도 했으나, 그런 것을 생각해 볼 겨를 없이 수줍은 게 앞서서 얼굴이 홍당무가 되어 가지고 빗밋이 돌아서 있다.
 
114
계봉이는 태수의 얼굴은 알아볼 수 있으나 형보를 보고, 저건 어디서 저런 숭한 게 있는고, 또 태수가 웬 기생을 데리고 다니니 필경 부랑자이기 쉽겠다 하여, 눈살이 꼬옷꼬옷하고 이미를 찡그린다.
 
115
형보는 속으로 고소해서 죽는다.
 
116
‘너 요 녀석, 거저 잘꾸사니야!’
 
117
‘바짓가랭이가 조옴 캥기리!’
 
118
‘조롷게 생긴 계집애한테루 장가를 들랴면서 기생년을 뀌어차구 다니니 하눌이 알아보실 일이지.’
 
119
‘아무려나 초봉이 너는 내 것이니 그리 알아라, 흐흐.’
 
120
행화는 초봉이가 초봉이인 줄도 모르거니와, 그가 태수하고 결혼을 하게 된 ‘초봉이’라는 것도 몰랐고, 단지 제중당에서 친한 새악시가 와서 있으니까, 반갑기도 하고 이상하기도 하여 뽀르르 초봉이한테로 달려든다.
 
121
태수는 이리도 못 하고 저리도 못 하고, 그러나 이렇게고 저렇게고 간에 무얼 어떻게 분별할 도리도 없어 필경 울상을 한다.
 
122
행화는 초봉이의 손목이라도 잡을 듯이 호들갑스럽게,
 
123
“아이고, 오래간만이오!”
 
124
하면서 초봉이의 숙인 얼굴을 들여다본다.
 
125
초봉이는 입이 안 떨어져서 인사 대답은 하지 못하고 눈으로만 반가워한다.
 
126
“……근데, 웬일이오? 예?”
 
127
웬일이라니, 행화 네야말로 웬일이냐고 물어 보아야 할 판인데, 그러고 보니 초봉이는 말은 못 하고 이쁘게 웃는 턱 아래만 손으로 만진다.
 
128
형보는 제가 나서야 할 때라고, 아기작아기작 세 여자가 서 있는 옆으로 가까이 가더니, 아주 점잔을 빼어,
 
129
“아, 이 두 분이 진작 아십니까?”
 
130
“아이갸, 알구말구요! 어떻게 친했다고! 하하.”
 
131
“원 그런 줄은 몰랐군그랴! 허허허허…… 저어 참, 이 행화루 말하면 나하구 그저 참 그저 다아 그렇습니다. 허허…… 그리구 행화, 이 초봉 씨루 말하면 바루 저 고주사하구 이번에 결혼하실, 응? 알겠지?”
 
132
“아이갸아! 원 어쩌문!”
 
133
행화는 신기하다고 연신 고개를 끄덕거리다가 태수를 돌려다보면서 눈 하나를 째긋한다.
 
134
“거 참, 두 분이 아신다니 나두 반갑습니다. 허허…… 나는 이 사람하구 거기까지 좀 갔다 오느라구 이 앞으로 지나던 길인데 바루 문 앞에서 고군을 만났어요.”
 
135
이만하면 초봉이나 계봉이의 행화에게 대한 의혹은 넉넉히 풀 수가 있다.
 
136
그러나 실상 초봉이는 그들이 행화를 데리고 온 것을 계봉이처럼 태수한테다 치의를 하거나 그래서 불쾌하게 여기거나 그러지는 않았고, 좀 이상하게 보고 말았을 따름이다.
 
137
초봉이가 겨우 허리만 나풋이 숙여 뉘게라 없이 인사를 하는 체하고 계봉이를 데리고 대문간으로 나가는 것을, 행화가 해뜩해뜩 태수를 돌려다보고 웃으면서 따라나간다.
 
138
태수는 형보의 재치로 일이 무사하게 피어 가슴이 겨우 가라앉는데, 행화가 그들을 따라나가니까 혹시 무슨 이야기나 할까 봐서 대고 눈을 흘긴다.
 
139
“잘 가시오, 예?…… 내 혼인날 국수 묵으로 가께요?”
 
140
행화는 바깥대문 문지방을 짚고 서서 작별을 한다.
 
141
초봉이는 꼭 와달라는 말을, 말 대신 웃음으로 대답하면서 고개를 끄덕거린다.
 
142
행화는 그대로 오도카니 서서, 초봉이가 계봉이와 나란히 가고 있는 뒤태를 바라보고 있다. (조금 가다가 계봉이가 해뜩 돌려다보더니, 초봉이한테로 고개를 처박고 무어라고 쌔왈거리는 모양인데, 그건 행화 제 말을 하는 것이라고 생각했고…….)
 
143
행화는 제중당 전방에서 처음 초봉이를 만나던 때부터 어딘지 모르게 그가 좋았고, 그래서 말하자면 서로 터놓고 친해지기 전에 정이 먼저 갔던 것이라고 할 수 있었다.
 
144
그러자 어저껜지 그저껜지는 마침 제중당에를 들르니까, 웬 낯선 사람이 있고 그는 보이지 않아서 물어 보았더니 며칠 전에 주인이 갈리면서 같이 그만두었다고 해, 그래 심심찮은 동무 하나를 불시에 잃어버린 것 같아서 적잖이 섭섭했어, 하다가 또, 오늘은 생각도 않은 곳에서 뜻밖에 그를 만나, 만났는데 알고 본즉, 그가 바로 초봉이―---태수의 아낙이 될 그 색시가 아니냔 말이다.
 
145
행화는 그것이 마치, 모르고 구경했던 구경거리를 속내를 알고 나니까 깜빡 신기하듯이 인제야 비로소 일이 자꾸만 희한스럽고 재미가 나고 했다.
 
146
그러나 그는 단지 그렇게 희한스럽고 재미가 나고 하기나 할 뿐이지, 가령 탑삭부리 한참봉네 안가 김씨처럼 태수를 놓고 초봉이를 질투하는 그런 마음은 역시 조금치도 우러나지 않았다.
 
147
질투가 없을 뿐만 아니라 (그역, 김씨가 강짜에 가슴을 쥐어뜯기는 하면서도, 일변 그들의 결혼에 대해서는 도맡아 가지고 일을 성취시켜 주듯이 그러한) 호의나 관심도 또한 생기지를 않았다.
 
148
다만 한 가지, 그것도 아주 담담한 정도의 애석한 생각으로 초봉이가 좀 가엾기는 했다.
 
149
행화는 보기에 태수라는 사람이 돈냥 있는 집 자식 같기는 해도, 그저 돈이나 있고 생긴 거나 매초롬하고 했지 그 밖에는 별수없는 사내였었다.
 
150
그렇다고 그가 태수를 나삐 여기느냐 하면, 그런 것도 아니다. 도대체 행화는 오입판에서 언뜻 만나 잠시 같이 지내는 사내가 하상 좋고 나쁘고가 없었다.
 
151
그처럼 두드러지게 좋아하는 것도 아니요 편벽되게 나빠하는 것도 아니요, 그런즉 태수가 별수가 있거나 말거나 또한 행화 저한테는 아랑곳이 없는 일이었었다.
 
152
그러해서, 그러므로 결코 태수에게 대한 관심으로서가 아니라, 단지 초봉이―---제 마음에 좋아서 정이 끌리던 초봉이요, 더구나 저렇듯 손도 댈까 무섭게 애련한 처녀가 이건 마구 주색에 푹 빠져 세월 모르고서 덤벙거리는, 게다가 ××이 부글부글 괴는 천하 난봉이지 별반 취할 것이 없는 그러한 고태수의 아낙이 된다는 것이 그래서 좀 애석하고 가엾다 하는 것이다.
 
153
‘그래도 할 수 없지!…… 남의 일 내가 와 알아서?…… 쯧! 굿이나 보고 떡이나 얻어묵지…….’
 
154
초봉이 아우 형제가 휘어진 길 저쪽으로 사라지고 보이지 않았을 때 비로소 행화는 혼자말로 중얼거리면서 돌아선다. 마침 태수와 형보가 뭐라고 지껄이던 끝에 킬킬거리고 웃으면서 대문간으로 나온다.
【원문】9 행화(杏花)의 변(辯)
▣ 커뮤니티 (참여∙의견)
내메모
여러분의 댓글이 지식지도를 만듭니다. 글쓰기
〔소설〕
▪ 분류 : 근/현대 소설
▪ 최근 3개월 조회수 : 1365
- 전체 순위 : 20 위 (1 등급)
- 분류 순위 : 8 위 / 881 작품
지식지도 보기
추천 : 0
▣ 함께 읽은 작품
(최근일주일간)
• (43) 삼대(三代)
• (25)
• (21) 날개
▣ 참조 지식지도
▣ 기본 정보
◈ 기본
  탁류(濁流) [제목]
 
  채만식(蔡萬植) [저자]
 
  조선 일보(朝鮮日報) [출처]
 
  1937년 [발표]
 
  사실주의(寫實主義) [분류]
 
  소설(小說) [분류]
 
◈ 참조
▣ 참조 정보 (쪽별)
백과 참조
채만식의 장편소설 (탁류)
목록 참조
 
외부 참조
 
백과사전 으로 가기
▣ 인용 디렉터리
☞ [인물] 채만식

  지식놀이터 :: 원문/전문 > 문학 > 한국문학 > 근/현대 소설 해설   목차 (총 : 19권)     이전 9권 다음 한글 
◈ 탁류(濁流) ◈
©2021 General Libraries 최종 수정 : 2021년 03월 11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