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S 여러분! 반갑습니다.    [로그인]
키워드 :
한문  한글 
◈ 《詩經(시경)》 『國風(국풍)』 ◈
◇ 齊風 (제풍) ◇
카탈로그   목차 (총 : 15권)     이전 8권 다음
목   차
[숨기기]
1
《詩經(시경)》 『國風(국풍)』
2
齊風 (제풍)
 
 

1. 雞鳴(계명) / 닭이 운다

4
雞既鳴矣, 朝既盈矣. (계기명의, 조기영의)
5
닭이 우니, 조정에는 대신들 다 모였겠지
6
匪雞則鳴, 蒼蠅之聲. (비계칙명, 창승지성)
7
닭이 아니면 울지 못하니, 파리의 소리구나
8
東方明矣, 朝既昌矣. (동방명의, 조기창의)
9
동방이 밝았으니, 조정의 조회는 한창이겠지
10
匪東方則明, 月出之光. (비동방칙명, 월출지광)
11
동방이 아니면 밝지 않으니, 달빛이 비치는 것이겠지
12
蟲飛薨薨, 甘與子同夢. (충비훙훙, 감여자동몽)
13
벌레들은 윙윙 나느데, 당신과 함께 누워 단꿈을 꾸고 싶어요
14
會且歸矣, 無庶予子憎. (회차귀의, 무서여자증)
15
조회에 모였다가 돌아오리니, 저 때문에 당신 미움받지 말아요
 
 

2. 還(환) / 당신은 날래었다

17
子之還兮, 遭我乎峱之閒兮. (자지환혜, 조아호노지간혜)
18
당신은 날래었네, 나와 만난 곳은 노산 골짜기
19
並驅從兩肩兮, 揖我謂我儇兮. (병구종량견혜, 읍아위아현혜)
20
말을 나란히 달려 두 짐승을 쫓으며, 당신은 나에게 인사하며 날래다 했네
21
子之茂兮, 遭我乎峱之道兮. (자지무혜, 조아호노지도혜)
22
당신은 멋있었네, 나와 만난 곳은 노산 골짜기
23
並驅從兩牡兮, 揖我謂我好兮. (병구종량모혜, 읍아위아호혜)
24
말을 나란히 달려 두 숫짐승을 쫓으며, 당신은 나에게 인사하며 날래다 했네
25
子之昌兮, 遭我乎峱之陽兮. (자지창혜, 조아호노지양혜)
26
당신은 씩씩했네, 나와 만난 곳은 노산 남쪽 기슭
27
並驅從兩狼兮, 揖我謂我臧兮. (병구종량낭혜, 읍아위아장혜)
28
말을 나란히 달려 두 이리를 쫓으며, 당신은 나에게 읍하며 날래다 했네
 
 

3. 著(저) / 문간에서

30
俟我於著乎而, 充耳以素乎而, 尚之以瓊華乎而. (사아어저호이, 충이이소호이, 상지이경화호이)
31
나를 문간에서 기다리시니, 흰 귀걸이 하시었어라, 더구나 꽃 새긴 옥돌을 달으셨어라
32
俟我於庭乎而, 充耳以青乎而, 尚之以瓊瑩乎而. (사아어정호이, 충이이청호이, 상지이경영호이)
33
나를 뜨락에서 기다리시니, 파란 귀걸이 하시었어라, 더구나 꽃같은 그 구슬 빛이났지요
34
俟我於堂乎而, 充耳以黃乎而, 尚之以瓊英乎而. (사아어당호이, 충이이황호이, 상지이경영호이)
35
나를 방에서 기다리시니, 노란 귀걸이 하시었어라, 더구나 보석처럼 곱기도 하여라
 
 

4. 東方之日(동방지일) / 동쪽에 돋는 해

37
東方之日兮. (동방지일혜)
38
동쪽에 돋는 해
39
彼姝者子, 在我室兮. (피주자자, 재아실혜)
40
저 아름다운 사람, 내 방에 와 있네
41
在我室兮, 履我即兮. (재아실혜, 리아즉혜)
42
내 방에 와 있어서는, 나만 따라다닌다
43
東方之月兮. (동방지월혜)
44
동쪽에 뜬 달
45
彼姝者子, 在我闥兮. (피주자자, 재아달혜)
46
저 아름다운 사람, 내 집안에 와 있네
47
在我闥兮, 履我發兮. (재아달혜, 리아발혜)
48
내 집안에 와서는, 나만 따라다닌다
 
 

5. 東方未明(동방미명) / 동 트기 전

50
東方未明, 顚倒衣裳. (동방미명, 전도의상)
51
동녘이 밝기도 않았는데, 거꾸로 옷을 입는다
52
顚之倒之, 自公召之. (전지도지, 자공소지)
53
옷을 거꾸로 입음은, 관청에서 급히 불러서 라네
54
東方未晞, 顚倒裳衣. (동방미희, 전도상의)
55
동녘이 트지도 않았는데, 거꾸로 옷을 입는다
56
倒之顚之, 自公令之. (도지전지, 자공령지)
57
옷을 거꾸로 입음은, 관청에서 급히 불러서 라네
58
折柳樊圃, 狂夫瞿瞿. (절류번포, 광부구구)
59
버들가지 꺾어 채마밭에 울타리 치면, 광포한 사람도 두려워하는데
60
不能辰夜, 不夙則莫. (불능진야, 불숙칙막)
61
새벽과 밤을 가리지 않고, 이른 아침 아니면 저물어 부른다
 
 

6. 南山(남산) / 앞 산

63
南山崔崔, 雄狐綏綏. (남산최최, 웅호수수)
64
앞 산은 높고 높아, 숫여우 어슬렁 어슬렁
65
魯道有蕩, 齊子由歸. (노도유탕, 제자유귀)
66
노나라로 가는 평탄한 길, 제나라 딸 그 길로 시집갔다
67
既曰歸止, 曷又懷止. (기왈귀지, 갈우회지)
68
이미 시집갔는데 돌아온다니, 어찌 또 그리워할까
69
葛屨五兩, 冠緌雙止. (갈구오양, 관수쌍지)
70
칡 신 다섯 켤레, 갓끈 한 쌍
71
魯道有蕩, 齊子庸止. (노도유탕, 제자용지)
72
노나라로 가는 평탄한 길, 제나라 딸 그 길로 시집갔다
73
既曰庸止, 曷又從止. (기왈용지, 갈우종지)
74
이미 시집갔는데 돌아온다니, 어찌 또 그를 따를까
75
蓺麻如之何, 衡從其畝. (예마여지하, 형종기무)
76
삼을 심으려면 어떻게 해야 하나, 가로로 세로로 밭을 잘 갈아야한다
77
取妻如之何, 必告父母. (취처여지하, 필고부모)
78
장가를 들려면 어떻게 해야 하나, 반드시 부모님께 고해야한다
79
既曰告止, 曷又鞠止. (기왈고지, 갈우국지)
80
이미 부모님께 고했으니, 어찌 또 어렵게하나
81
析薪如之何, 匪斧不克. (석신여지하, 비부불극)
82
장작을 패려면 어떻게 해야 하나, 도끼 없이는 팰 수가 없다
83
取妻如之何, 匪媒不得. (취처여지하, 비매불득)
84
장가를 들려면 어떻게 해야 하나, 중매 없이는 들 수가 없다
85
既曰得止, 曷又極止. (기왈득지, 갈우극지)
86
이미 장가 든 사람이, 어찌 또 아내를 내버려 두는가
 
 

7. 甫田(보전) / 넓은 밭

88
無田甫田, 維莠驕驕. (무전보전, 유유교교)
89
넓은 밭, 밭농사 짓지 마라, 강아지풀만 무성하구나
90
無思遠人, 勞心忉忉. (무사원인, 로심도도)
91
멀리 떠나 있는 사람 생각지 말라, 마음만 괴롭다
92
無田甫田, 維莠桀桀. (무전보전, 유유걸걸)
93
넓은 밭, 밭농사 짓지 마라, 강아지풀만 자라는구나
94
無思遠人, 勞心怛怛. (무사원인, 로심달달)
95
멀리 떠나 있는 사람 생각지 말라, 마음만 아프다
96
婉兮孌兮, 總角丱兮. (완혜련혜, 총각관혜)
97
어리고 예쁜, 두 갈래 떠꺼머리 총각이여
98
未幾見兮, 突而弁兮. (미기견혜, 돌이변혜)
99
얼마 지나지 않아 만나니, 어느새 관 쓴 어른
 
 

8. 盧令(노령) / 사냥개 방울

101
盧令令, 其人美且仁. (로령령, 기인미차인)
102
사냥개 방울소리 딸랑딸랑, 그 사람 아름답고 인자하도다
103
盧重環, 其人美且鬈. (로중환, 기인미차권)
104
사냥개 겹 목걸이, 그 사람 아름답고 씩씩하도다
105
盧重鋂, 其人美且偲. (로중매, 기인미차시)
106
사냥개 겹 사슬 목걸이, 그 사람 아름답고 인자하도다
 
 

9. 敝笱(폐구) / 낡은 통발

108
敝笱在梁, 其魚魴鰥. (폐구재량, 기어방환)
109
낡은 통발 어살에 치니, 잡힌 그 고기 방어와 잉어
110
齊子歸止, 其從如雲. (제자귀지, 기종여운)
111
제나라 딸 시집가네, 따라가는 사람들 구름처럼 많구나
112
敝笱在梁, 其魚魴鱮. (폐구재량, 기어방서)
113
낡은 통발 돌다리에 치니, 잡힌 그 고기 방어와 연어
114
齊子歸止, 其從如雨. (제자귀지, 기종여우)
115
제나라 딸 시집가네, 따라가는 사람들 비 쏟아지듯 많구나
116
敝笱在梁, 其魚唯唯. (폐구재량, 기어유유)
117
낡은 통발 돌다리에 치니, 잡힌 그 고기 유유히 논다
118
齊子歸止, 其從如水. (제자귀지, 기종여수)
119
제나라 딸 시집가네, 따라가는 사람들 물 흐르듯 많구나
 
 

10. 載驅(재구) / 수레를 타고 달려

121
載驅薄薄, 簟茀朱鞹. (재구박박, 점불주곽)
122
수레타고 빨리빨리, 대로 엮은 발에 붉은 가죽 장식
123
魯道有蕩, 齊子發夕. (노도유탕, 제자발석)
124
노나라 가는 길 평탄하여, 제나라 딸 아침저녁 간다
125
四驪濟濟, 垂轡濔濔. (사려제제, 수비니니)
126
네 필 검정말 타고 여유롭게, 늘어진 고삐 부드럽자
127
魯道有蕩, 齊子豈弟. (노도유탕, 제자기제)
128
노나라 가는 길 평탄하여, 제나라 딸 어찌 태연하다
129
汶水湯湯, 行人彭彭. (문수탕탕, 행인팽팽)
130
문수는 넘실넘실, 행인들 가득하다
131
魯道有蕩, 齊子翱翔. (노도유탕, 제자고상)
132
노나라 가는 길 평탄하여, 노나라 딸 여유롭다
133
汶水滔滔, 行人儦儦. (문수도도, 행인표표)
134
문수는 도도하고, 행인은 들끊는다
135
魯道有蕩, 齊子遊遨. (노도유탕, 제자유오)
136
노나라 가는 길 평탄하여, 제나라 딸 오만하게 놀러다닌다
 
 

11. 猗嗟(의차) / 아, 멋져라

138
猗嗟昌兮, 頎而長兮, 抑若揚兮, 美目揚兮. (의차창혜, 기이장혜, 억약양혜, 미목양혜)
139
아, 멋있고 창대하여라, 씩씩하고 훤칠한 키, 활을 올리고 내리며, 아름다운으로 올려 겨누어본다
140
巧趨蹌兮, 射則臧兮. (교추창혜, 사칙장혜)
141
교묘한 걸음걸이, 쏘시면 맞추신다
142
猗嗟名兮, 美目清兮. (의차명혜, 미목청혜)
143
아, 멋지고 훌륭하여라, 고운 눈빛 맑기도 하다
144
儀既成兮. (의기성혜)
145
몸자세 이미 갖추시고
146
終日射侯, 不出正兮. (종일사후, 불출정혜)
147
종일토록 과녁을 쏘신다, 한 번도 빗나가지 않는구나
148
展我甥兮. (전아생혜)
149
정말로 우리 임금의 조카이시네
150
猗嗟孌兮, 清揚婉兮. (의차련혜, 청양완혜)
151
아, 멋지고 사랑스러워라, 맑은 눈과 넓은 이마
152
舞則選兮, 射則貫兮. (무칙선혜, 사칙관혜)
153
춤추면 사뿐사뿐, 활을 쏘면 과녁을 쏘네
154
四矢反兮, 以禦亂兮. (사시반혜, 이어란혜)
155
네 개의 화살 다 정곡을 맞추시어, 그 재주로 세상 어지러움을 막으시리
【원문】齊風 (제풍)
▣ 커뮤니티 (참여∙의견)
내메모
여러분의 댓글이 지식지도를 만듭니다. 글쓰기
〔동양고전〕
▪ 분류 : 인문/사회과학
▪ 최근 3개월 조회수 : 3560
- 전체 순위 : 5 위 (1 등급)
- 분류 순위 : 1 위 / 155 작품
지식지도 보기
내서재 추천 : 0
▣ 함께 읽은 작품
(최근일주일간)
• (16) 논어(論語)
• (11) 예기(禮記)
▣ 자료 세분화
 
  2. 환(還)
 
  3. 저(著)
 
 
 
 
 
 
 
 
 
▣ 참조 지식지도
▣ 기본 정보
◈ 기본
  시경(詩經) [제목]
 
◈ 참조
 
 
▣ 참조 정보 (쪽별)
백과 참조
목록 참조
외부 참조
백과사전 으로 가기

  지식놀이터 :: 원문/전문 > 고전 > 동양고전 > 인문/사회과학 카탈로그   목차 (총 : 15권)     이전 8권 다음 한문  한글 
◈ 《詩經(시경)》 『國風(국풍)』 ◈
©2021 General Libraries 최종 수정 : 2021년 03월 26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