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S 여러분! 반갑습니다.    [로그인]
키워드 :
한글(고어) 
◈ 詩經諺解(시경언해) ◈
◇ 詩經諺解 卷之十 ◇
해설   목차 (총 : 20권)     이전 10권 다음
1613년
목   차
[숨기기]
 

1. 詩經諺解 卷之十

 

1.1. 彤弓之什

3
彤弓弨兮 受言藏之라니
4
彤 弓이 弨 이 受야 藏얏다니
5
我有嘉賓이어 中心貺之라
6
내 嘉 賓이 잇거늘 中心에 貺호려 혼디라
7
鐘鼓旣設이오 一朝饗之호라
8
鐘과 鼓 이믜 設고 一朝애 饗호라
9
彤弓弨兮 受言載之라니
10
彤 弓이 弨 이 受야 載엿다니
11
我有嘉賓이어 中心喜之라
12
내 嘉 賓이 잇거늘 中心에 喜논디라
13
鐘鼓旣設이오 一朝右之호라
14
鐘과 鼓 이믜 設고 一朝애 右호라
15
彤弓弨兮 受言櫜之라니
16
彤 弓이 弨 이 受야 櫜엿다니 (주석 : ^엿)
17
我有嘉賓이어늘 中心好之라
18
내 嘉 賓이 잇거늘 中心에 好논디라
19
鐘鼓旣設이오 一朝醻之호라 (주석 : ‘醻’는 한글2007에서 다른 형태로 나옴)
20
鐘과 鼓 이믜 設고 一朝애 醻호라
21
彤弓 三章
 

 
22
菁菁者莪ᅵ여 在彼中阿ᅵ로다
23
菁菁 莪ᅵ여 뎌 中阿의 잇도다
24
旣見君子호니 樂且有儀로다
25
이믜 君子 보니 樂고  儀 잇도다
26
菁菁者莪ᅵ여 在彼中沚로다
27
菁菁 莪ᅵ여 뎌 中沚예 잇도다
28
旣見君子호니 我心則喜로다
29
이믜 君子 보니 내 이 곧 喜도다
30
菁菁者莪ᅵ여 在彼中陵이로다
31
菁菁 莪ᅵ여 뎌 中陵에 잇도다
32
旣見君子호니 錫我百朋이로다
33
이믜 君子 보니 내게 百ᄉ 朋을 錫 도다
34
汎汎楊舟ᅵ여 載沈載浮ᅵ로다
35
汎汎 楊으로  舟ᅵ여 곧 沉며 곧 浮놋다
36
旣見君子호니 我心則休ᅵ로다
37
이믜 君子 보니 내 이 곧 休도다
38
菁菁者莪 四章
 

 
39
六月棲棲야 戎車旣飭며
40
六月애 棲棲야 戎車 이믜 飭며
41
四牡騤騤ᅵ어늘 載是常服니
42
四牡ᅵ 騤騤거늘 이 常服을 載니
43
玁狁孔熾라 我是用急이니
44
玁狁이 심히 熾혼디라 우리 이  急홈이니
45
王于出征야 以匡王國이시니라
46
王이 이에 出야 征야  王國을 匡라 시니라
47
比物四驪ᅵ여 閑之維則이로다
48
物이 比 四驤여 閑야 則도다
49
維此六月애 旣成我服야
50
이 六月의 이믜 우리 服을 成야
51
我服旣成이어 于三十里니
52
우리 服이 이믜 成거늘 三十里 니
53
王于出征야 以佐天子ᅵ시니라
54
王이 이예 出야 征야  天子 佐시니라
55
四牡脩廣니 其大有顒이로다
56
四牡ᅵ 脩고 廣니 그 큼이 顒도다
57
薄伐玁狁야 以奏膚公이로다
58
잠 玁狁을 伐야  큰 을 奏놋다
59
有嚴有翼야 共武之服니
60
嚴고 翼야 武ᄉ 服을 共니
61
共武之服야 以定王國이로다
62
武ᄉ服을 共야  王國을 定놋다
63
玁狁匪茹야 整居焦穫야
64
玁狁이 茹티 아니야 焦ᅵ며 穫애 整히 居야 (주석 : 穫^애)
65
侵鎬及方야 至于涇陽이어
66
鎬와 믿 方을 侵야 涇陽의 至거
67
織文鳥章이며 白旆央央니
68
織의 文이 鳥章이며 白旆 央央니
69
元戎十乘으로 以先啓行이로다
70
元戎 十乘으로  몬져 길흘 여놋다
71
戎車旣安니 如輊如軒이며
72
戎車ᅵ 이믜 편안니 輊 고 軒 며
73
四牡旣佶니 旣佶且閑이로다
74
四牡ᅵ 이믜 佶니 이믜 佶고  閑도다 (주석 : 니 ^ 이)
75
薄伐玁狁야 至于大原니
76
잠 玁狁을 伐야 大原의 至니
77
文武吉甫ᅵ여 萬邦爲憲이로다
78
文고 武 吉甫ᅵ여 萬邦이 법을 삼놋다
79
吉甫燕喜니 旣多受祉로다
80
吉甫ᅵ 燕야 喜니 이믜 祉 해 受놋다
81
來歸自鎬니 我行永久ᅵ로다
82
도라옴을 鎬로브터 니 내 行이 永久도다 (주석 : 내 ^ 行)
83
飮御諸友니 炰鼈膾鯉로다
84
모든 벋의게 飮며 御니 鼈을 炰며 鯉 膾놋다
85
侯誰在矣오 張仲孝友ᅵ로다
86
뉘 인뇨 張仲이 孝며 友니로다
87
六月 六章
 

 
88
薄言采芑 于彼新田이며 于此菑畝ᅵ로다
89
잠 芑 采홈을 뎌 新田에 며 이 菑畝애 놋다
90
方叔涖止니
91
方叔이 涖니
92
其車三千이로소니 師干之試로다
93
그 車ᅵ 三千이로소니 師ᅵ 干을 試얏도다
94
方叔率止니 乘其四騏로다
95
方叔이 率니 그 四騏 탓도다
96
四騏翼翼니 路車有奭이로소니
97
四騏 翼翼니 路車ᅵ 奭도소니
98
簟笰魚服이며 鉤膺鞗革이로다
99
簟으로  笰과 魚로  服이며 鉤ᅵ며 膺이며 鞗革이로다
100
薄言采芑 于彼新田이며 于此中鄕이로다
101
잠 芑 采홈을 뎌 新田에 며 이 中鄕애 놋다
102
方叔涖止니
103
方叔이 涖니
104
其車三千이로소니 旂旐央央이로다
105
그 車ᅵ 三千이로소니 旂와 旐ᅵ 央央도다
106
方叔率止니
107
方叔이 率니
108
約軝錯衡이며 八鸞瑲瑲이로다
109
約 軝와 錯 衡이며 八鸞이 瑲瑲도다 (주석 : 瑲^)
110
服其命服니
111
그 命신 服을 닙어시니
112
朱芾斯皇이며 有瑲葱珩이로다
113
朱 芾이 이 皇며 瑲 葱  珩이로다
114
鴥彼飛隼이여
115
鴥 뎌 飛 隼이여
116
其飛戾天이며 亦集爰止로다
117
그 飛홈이 天애 戾며  이예 止  集놋다 (주석 : 天^애)
118
方叔涖止니
119
方叔이 涖니
120
其車三千이로소니 師干之試로다
121
그 車ᅵ 三千이로소니 師ᅵ 干을 試얏도다
122
方叔率止니
123
方叔이 率니
124
鉦人伐鼓ᅵ어 陳師鞠旅ᅵ로다
125
鉦人이 鼓 伐거늘 師 陳며 旅 鞠놋다
126
顯允方叔이여
127
顯고 允 方叔이여
128
伐鼓淵淵이며 振旅闐闐이로다
129
붑을 팀애 淵淵히 며 旅 振홈애 闐闐놋다
130
蠢爾蠻荊이 大邦爲讎ᅵ로다
131
蠢 蠻荊이 大邦을 讎 삼놋다
132
方叔元老ᅵ나 克壯其猶ᅵ로다
133
方叔이 키 老나 능히 그 猶 壯히 놋다 (주석 : ‘키’의 자형은 다소 이상함)
134
方叔率止니 執訊獲醜로다
135
方叔이 率니 訊을 執며 醜 獲놋다
136
戎車嘽嘽니
137
戎車ᅵ 嘽嘽니
138
嘽嘽焞焞야 如霆如雷로다
139
嘽嘽며 焞焞야 霆 며 雷 도다
140
顯允方叔이여
141
顯고 允 方叔이여 (주석 : 叔^이)
142
征伐玁狁니 蠻荊來威로다
143
玁狁을 征伐니 蠻荊이 來야 威놋다
144
采芑 四章
 

 
145
我車旣功며 我馬旣同야
146
우리 車ᅵ 이믜 攻며 우리 馬ᅵ 이믜 同야
147
四牡龐龐니 駕言徂東이로다
148
四牡ᅵ 龐龐니 駕여 東으로 가놋다
149
田車旣好니 四牡孔阜ᅵ로다
150
田車ᅵ 이믜 好니 四牡ᅵ 심히 阜도다
151
東有甫草ᅵ어 駕言行狩ᅵ로다
152
東의 甫草ᅵ 잇거 駕야 行야 狩놋다
153
之子于苗니 選徒囂囂ᅵ로다
154
之子ᅵ 苗니 徒 選홈이 囂囂도다
155
建旐設旄야 搏獸于敖ᅵ로다
156
旐 建며 旄 設야 敖의 가 獸 搏놋다
157
駕彼四牡니 四牡奕奕이로다
158
뎌 四牡 駕니 四牡ᅵ 奕奕도다
159
赤芾金舃으로 會同有繹이로다
160
赤 芾과 金으로  舃으로 會며 同홈을 繹놋다
161
決拾旣佽며 弓矢旣調니
162
決과 拾이 이믜 佽며 弓과 矢 이믜 調니
163
射夫旣同야 助我擧柴로다
164
射 夫ᅵ 이믜 同야 우리 도아 柴 擧놋다 (주석 : 야 ^ 우)
165
四黃旣駕니 兩驂不猗로다
166
四黃을 이믜 駕니 兩驂이 猗티 아니도다
167
不失其馳어 舍矢如破ᅵ로다
168
그 馳 失티 아니거 矢 舍홈애 破 놋다
169
蕭蕭馬鳴이며 悠悠旆旌이로다
170
蕭蕭 馬의 鳴이며 悠悠 旆와 旌이로다 (주석 : 旆^와)
171
徒御不驚이며 大庖不盈이로다
172
徒와 御ᅵ 驚티 아니며 大庖ᅵ 盈티 아닌놋다
173
之子于征니 有聞無聲이로다
174
之子ᅵ 征니 聞홈이 잇고 聲이 업도다
175
允矣君子ᅵ여 展也大成이로다
176
진실로 君子ᅵ여 진실로 키 成도다
177
車功 八章
 

 
178
吉日維戊애 旣伯旣禱니
179
吉 日戊에 이믜 伯애 이믜 禱니
180
田車旣好며 四牡孔阜ᅵ어
181
田車ᅵ 이믜 好며 四牡ᅵ 심히 阜커
182
升彼大阜야 從其群醜로다
183
뎌 大阜애 升야 그 群醜 從놋다
184
吉日庚午애 旣差我馬야
185
吉 日 庚午애 이믜 우리 馬 差야 (주석 : 差^)
186
獸之所同애 麀鹿麌麌 漆沮之從이여
187
獸의 同 바애 犘鹿이 麌麌 漆沮애 從홈이여
188
天子之所ᅵ로다
189
天子의 所ᅵ로다
190
瞻彼中原호니 其祁孔有ᅵ로다
191
뎌 中原을 보니 그 祁 거시 심히 잇도다
192
儦儦俟俟야 或群或友ᅵ어
193
儦儦며 俟俟야 或 群며 或 友거
194
悉率左右야 以燕天子ᅵ로다
195
左右 다 率야  天子 燕케 놋다 (주석 : 야 ^ )
196
旣張我弓고 旣挾我矢야
197
이믜 우리 弓을 張고 이믜 우리 矢 挾여
198
發彼小𧲧며 殪此大兕야
199
뎌 小豝 發며 이 大兕 殪야
200
以御賓客고 且以酌醴ᅵ로다
201
 賓客의게 御고   醴 酌놋다
202
吉日 四章
 

 
203
鴻鴈于飛니 肅肅其羽ᅵ로다
204
鴻鴈이 飛니 그 羽ᅵ 肅肅놋다
205
之子于征니 劬勞于野ᅵ로다
206
之子ᅵ 征니 野의 劬勞놋다
207
爰及矜人이 哀此鰥寡ᅵ로다 (주석 : 영인본에는 ‘다’가 ‘따’와 같이 나타남)
208
이예 미츠니 矜 사이 이 鰥寡ᅵ 哀홉도다
209
鴻鴈于飛니 集于中澤이로다
210
鴻鴈이 飛니 中澤애 集놋다
211
之子于垣니 百堵皆作이로다
212
之子ᅵ 垣니 百堵 다 作놋다
213
雖則劬勞ᅵ나 其究安宅이로다
214
비록 劬勞나 그 내의 安宅리로다
215
鴻鴈于飛니 哀鳴嗷嗷ᅵ로다
216
鴻鴈이 飛니 哀히 鳴홈을 嗷嗷히 놋다
217
維此哲人은 謂我劬勞ᅵ어
218
이 哲 사은 날을 닐오 劬勞다 거 (주석 :  ^ 劬)
219
維彼愚人은 謂我宣驕ᅵ라 다
220
뎌 愚 사은 날을 닐오 驕 宣다 다
221
鴻鴈 三章
 

 
222
夜如何其오
223
夜ᅵ 엇더뇨
224
夜未央이나 庭燎之光이로다
225
夜ᅵ 央이 몯여시나 庭燎ᅵ 光도다
226
君子至止니 鸞聲將將이로다
227
君子ᅵ 至니 鸞ᄉ 聲이 將將놋다
228
夜如何其오
229
夜ᅵ 엇더뇨
230
夜未艾나 庭燎晣晣로다
231
夜ᅵ 艾티 몯여시나 庭燎ᅵ 晣晣도다
232
君子至止니 鸞聲噦噦로다
233
君子ᅵ 至니 鸞ᄉ 聲이 噦噦도다
234
夜如何其오
235
夜ᅵ 엇더뇨
236
夜鄕晨이라 庭燎有煇이로다
237
夜ᅵ 晨을 鄕혼디라 庭燎ᅵ 燻도다
238
君子至止니 言觀其旂이로다
239
君子ᅵ 至니 그 旂 볼이로다 (주석 : 니 ^ 그)
240
庭燎 三章
 

 
241
沔彼流水ᅵ여 朝宗于海로다
242
沔 뎌 流水ᅵ여 海예 朝며 宗놋다
243
鴪彼飛隼이여 載飛載止로다 (주석 : ‘鴪’는 한글2007에서는 다른 자형으로 나타남)
244
鴪 뎌 飛 隼이여 곧 飛며 곧 止놋다
245
嗟我兄弟邦人諸友ᅵ 莫肯念亂니
246
嗟홉다 우리 兄弟와 邦人ᄉ 모든 버디 즐겨 亂을 念티 아니니 (주석 : 念^티)
247
誰無父母오
248
뉘 父母ᅵ 업료
249
沔彼流水ᅵ여 其流湯湯이로다
250
沔 뎌 流水ᅵ여 그 流ᅵ 湯湯도다
251
鴪彼飛隼이여 載飛載揚이로다
252
鴪 뎌 飛 隼이여 곧 飛며 곧 揚놋다
253
念彼不蹟야 載起載行이로다
254
뎌 蹟디 아니믈 念야 곧 起며 곧 行호라
255
心之憂矣여 不可弭忘이로다
256
心의 憂홈이여 可히 弭야 忘티 몯리로다
257
鴪彼飛隼이여 率彼中陵이로다
258
鴪 뎌 飛 隼이여 뎌 中陵을 率놋다
259
民之訛言을 寧莫之懲고
260
民의 訛言을 엇디 懲리 업슨고
261
我友敬矣면 讒言其興가
262
우리 友ᅵ 敬면 讒言이 그 興랴
263
沔水 三章
 

 
264
鶴鳴于九皐ᅵ어든 聲聞于野ᅵ니라
265
鶴이 九皐애셔 鳴거든 聲이 野에 聞니라
266
魚潛在淵나 或在于渚ᅵ니라
267
魚ᅵ 潛여 淵의 이시나 或渚에 인니라
268
樂彼之園애 爰有樹檀니 其下維蘀이니라
269
나온 뎌 園애 이예 樹 檀이 이시니 그 아래 蘀얀니라
270
他山之石니 可以爲錯이니라
271
他山앳 石이 可히  錯을 삼을띠니라
272
鶴鳴于九皐ᅵ어든 聲聞于天이니라
273
鶴이 九皐애셔 鳴거든 聲이 天에 聞니라
274
魚在于渚나 或潛在淵이니라
275
魚ᅵ 渚에 이시나 或 潛야 淵에 인니라
276
樂彼之園애 爰有樹檀니 其下維穀이니라
277
나온 뎌 園애 이예 樹 檀이 이시니 그 아래 穀이니라
278
他山之石이 可以攻玉이니라
279
他山앳 石이 可히  玉을 攻띠니라
280
鶴鳴 二章
 

 
 

2. 詩經諺解 卷之十 物名

 

2.1. 彤弓之什

283
菁菁者莪
284
• 莪 埤雅莪亦日廩蒿廩之爲言高也芽生澤國漸洳之地葉似斜蒿而細科生可食 一名 蘿蒿 一名 角蒿 (주석 : 영인본상 ‘莪’ 자는 ‘ᅵ’로 표시됨)
285
六月
286
• 鼈 쟈라
287
采芑
288
• 芑 샤라부
289
• 隼 나친이
290
吉日
291
• 麀 암사슴
【원문】詩經諺解 卷之十
▣ 커뮤니티 (참여∙의견)
내메모
여러분의 댓글이 지식지도를 만듭니다. 글쓰기
〔언해〕
▪ 최근 3개월 조회수 : 404
- 전체 순위 : 145 위 (1 등급)
- 분류 순위 : 15 위 / 212 작품
지식지도 보기
추천 : 0
▣ 함께 읽은 작품
(최근일주일간)
▣ 참조 지식지도
▣ 기본 정보
◈ 기본
  # 시경언해 [제목]
 
  1613년 [발표]
 
  언해(諺解) [분류]
 
◈ 참조
 
▣ 참조 정보 (쪽별)
백과 참조
목록 참조
외부 참조

  지식놀이터 :: 원문/전문 > 고전 > 한국고전 > 어문/학습/예술 해설   목차 (총 : 20권)     이전 10권 다음 한글(고어) 
◈ 詩經諺解(시경언해) ◈
©2021 General Libraries 최종 수정 : 2022년 02월 16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