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S 여러분! 반갑습니다.    [로그인]
키워드 :
한글(고어) 
◈ 詩經諺解(시경언해) ◈
◇ 詩經諺解 卷之七 ◇
해설   목차 (총 : 20권)     이전 7권 다음
1613년
목   차
[숨기기]
 

1. 詩經諺解 卷之七

 

1.1. 陣

3
子之湯兮ᅵ여 宛丘之上兮로다
4
子의 湯홈이여 宛丘ᄉ 上애 놋다
5
洵有情兮나 而無望兮로다
6
진실로 情이 이시나 望 거시 업도다
7
坎其擊鼓ᅵ여 宛丘之下ᅵ로다
8
坎히 그 鼔 擊홈이여 宛丘ᄉ 下애 놋다 (주석 : 下^애)
9
無冬無夏히 値其鷺羽ᅵ로다
10
冬이 업며 夏ᅵ 업시 그 鷺羽 値놋다
11
坎其擊缶ᅵ여 宛丘之道ᅵ로다
12
坎히 그 缶 擊홈이여 宛丘ᄉ 道애 놋다
13
無冬無夏히 値其鷺翿ᅵ로다
14
冬이 업며 夏ᅵ 업시 그 鷺翿 値놋다
15
宛丘 三章
 

 
16
東門之枌과 宛丘之栩애 子仲之子ᅵ 婆娑其下ᅵ로다
17
東門엣 扮과 宛丘엣 栩애 子仲의 子ᅵ 그 下애 婆娑놋다
18
穀旦于差니 南方之原이로다
19
穀 朝를 差니 南方ᄉ 原에 놋다
20
不績其麻ᅵ오 市也婆娑ᅵ로다
21
그 麻를 績디 아니코 市예 婆娑놋다
22
穀旦于逝니 越以鬷邁로다
23
穀 朝애 逝니 이에 鬷으로  邁놋다
24
視爾如荍호니 貽我握椒ᅵ로다
25
너 봄을 荍티 호니 내게 握椒 貽놋다
26
東門之枌 三章
 

 
27
衡門之下ᅵ여 可以棲遲로다
28
衡門ᄉ 下ᅵ여 可히  棲遲리로다
29
泌之洋洋ᅵ여 可以樂飢로다
30
泌의 洋洋홈이여 可히  飢를 樂리로다
31
豈其食魚 必河之魴ᅵ리오
32
엇디 그 魚를 食홈을 반시 河앳 魴을 리오
33
豈其取妻 必齊之姜이리오
34
엇디 그 妻를 取홈을 반시 齊ᄉ 姜을 리오
35
豈其食魚 必河之鯉리오
36
엇디 그 魚를 食홈을 반시 河앳 鯉를 리오
37
豈其取妻 必宋之子ᅵ리오
38
엇디 그 妻를 取홈을 반시 宋ᄉ 子를 리오 (주석 : 宋^ᄉ)
39
衡門 三章
 

 
40
東門之池ᅵ여 可以漚麻ᅵ로다
41
東門엣 池ᅵ여 可히  麻를 漚리로다
42
彼美淑姬ᅵ여 可與晤歌ᅵ로다
43
뎌 美 淑姬ᅵ여 可히 더브러 歌를 晤리로다
44
東門之池ᅵ여 可以漚紵ᅵ로다
45
東門엣 池ᅵ여 可히  紵를 漚리로다
46
彼美淑姬ᅵ여 可與晤語ᅵ로다
47
뎌 美 淑姬ᅵ여 可히 더브러 語를 晤리로다
48
東門之池ᅵ여 可以漚菅이로다
49
東門엣 池ᅵ여 可히  管을 漚리로다
50
彼美淑姬ᅵ여 可與晤言이로다
51
뎌 美 淑姬ᅵ여 可히 더브러 言을 晤리로다
52
東門之池 三章
 

 
53
東門之楊이여 其葉牂牂이로다
54
東門엣 楊이여 그 葉이 牂牂도다
55
昏以爲期호니 明星煌煌이로다
56
昏으로  期호니 明星이 煌煌도다
57
東門之楊이여 其葉肺肺로다
58
東門엣 楊이여 그 葉이 肺肺도다
59
昏以爲期호니 明星晳晳로다
60
昏으로  期호니 明星이 哲哲도다
61
東門之楊 二章
 

 
62
墓門有棘이어 斧以斯之로다
63
墓門애 棘이 잇거늘 斧로  斯놋다
64
夫也不良이어 國人知之로다
65
夫ᅵ 良티 아니커늘 國人이 아놋다
66
知而不已니 誰昔然矣로다
67
아로 마디 아니니 녜로 그러토다
68
墓門有梅어늘 有鴞萃止로다
69
墓門애 梅ᅵ 잇거늘 鴞ᅵ 萃놋다
70
夫也不良이어늘 歌以訊之로다
71
夫ᅵ 良티 아니커늘 歌야  訊놋다
72
訊予不顧니 顚倒思予ᅵ리라
73
訊호 나 顧티 아니니 顚倒케야 나 思리라
74
墓門 二章
 

 
75
防有鵲巢ᅵ며 邛有旨苕ᅵ로다
76
防애 鵲의 巢ᅵ 이시며 邛애 旨 苕ᅵ 잇도다
77
誰侜予美야 心焉忉忉오
78
뉘 내 美 이를 侜야 心애 忉忉케 뇨 (주석 : 야 ^ 心)
79
中唐有甓며 邛有旨鷊이로다
80
中堂애 鼊이 이시며 邛애 旨 鷊이 잇도다
81
誰侜予美야 心焉惕惕고
82
뉘 내 美 이를 侜야 心애 惕惕게 뇨
83
防有鵲巢 二章
 

 
84
月出皎兮어늘 佼人僚兮로다
85
月이 出홈애 皎거 佼人은 僚도다 (주석 : 僚^)
86
舒窈糾兮어뇨 勞心悄兮호라
87
窈糾를 舒려뇨  勞홈을 悄히 호라
88
月出皓兮어늘 佼人懰兮로다
89
月이 出홈애 皓거늘 佼人은 懰도다
90
舒懮受兮어뇨 勞心慅兮호라
91
懮受를 舒려뇨  勞홈을 慅히 호라
92
月出照兮어늘 佼人燎兮로다
93
月이 出홈애 照거늘 佼人은 燎도다 (주석 : 燎^)
94
舒夭紹兮어뇨 勞心慘兮호라
95
夭紹를 舒려뇨  勞홈을 悄히 호라
96
月出 三章
 

 
97
胡爲乎株林고 從夏南이니라
98
엇디 株林애 뇨 夏南을 從홈이니라
99
匪適株林이라 從夏南이니라
100
株林애 適홈이 아니라 夏南을 從홈이니라
101
駕我乘馬야 說于株野ᅵ로다
102
우리 乘馬 鴐야 株野애 說놋다
103
乘我乘駒야 朝食于株ᅵ로다
104
우리 乘駒를 乘야 아의 株애 食놋다
105
株林 二章
 

 
106
彼澤之陂애 有蒲與荷ᅵ로다
107
뎌 澤ᄉ 陂애 蒲와 다믓 菏ᅵ 잇도다
108
有美一人이여 傷如之何오
109
美 一人이여 傷 엇디리오
110
寤寐無爲야 涕泗滂沱호라
111
寤며 寐홈애 욤이 업서 涕며 泗 滂沱히 호라 (주석 : 寤^)
112
彼澤之陂애 有蒲與蕳이로다
113
뎌 澤ᄉ 陂애 蒲와 다믓 簡이 잇도다
114
有美一人이여 碩大且卷이로다
115
美 一人이여 碩大고  卷도다
116
寤寐無爲야 中心悁悁호라
117
寤며 寐홈애 욤이 업서 中心애 悁悁호라
118
彼澤之陂애 有蒲菡萏이로다
119
뎌 澤ᄉ 陂애 蒲와 菡萏이 잇도다
120
有美一人이여 碩大且儼이로다
121
美 一人이여 碩大고  儼도다
122
寤寐無爲야 輾轉伏枕호라
123
寤며 寐홈애 욤이 업서 輾轉야 枕애 伏호라
124
澤陂 三章
 

 
 

1.2. 檜

126
羔裘逍遙며 狐裘以朝ᅵ로다
127
羔裘로 逍遙며 狐裘로  朝놋다
128
豈不爾思ᅵ리오 勞心忉忉호라
129
엇디 너를 思티 아니리오  勞홈을 忉忉호라
130
羔裘翶翔며 狐裘在堂이로다
131
羔裘로 翶翔며 狐裘로 堂의 잇도다
132
豈不爾思ᅵ리오 勞心憂傷호라
133
엇디 너를 思티 아니리오 내 애 憂傷호라
134
羔裘如膏니 日出有曜ᅵ로다
135
羔裘ᅵ 膏 니 日이 出홈애 曜ᅵ 잇도다
136
豈不爾思ᅵ리오 中心是悼호라
137
엇디 너를 思티 아니리오 中心에 이 悼호라
138
羔裘 三章
 

 
139
庶見素冠兮ᅵ 棘人欒欒兮아
140
혀 素冠 棘人이 欒欒 이 보랴
141
勞心慱慱兮호라
142
 勞홈을 慱慱히 호라
143
庶見素衣兮아
144
혀 素衣를 보랴
145
我心傷悲兮로니 聊與子同歸兮호리라
146
내 애 傷悲노니 애야로시 子로 더브러 가지로 歸호리라 (주석 : ‘내 애’는 자형이 다소 불명확함)
147
庶見素韠兮아
148
혀 素韠을 보랴
149
我心蘊結兮로니 聊與子如一兮호리라
150
내 애 蘊結노니 애야로시 子로 더브러 一티 호리라
151
素冠 三章
 

 
152
隰有萇楚니 猗儺其枝로다
153
隰에 萇楚ᅵ 이시니 猗儺 그 枝로다
154
夭之沃沃니 樂子之無知노라
155
夭홈이 沃沃니 子의 知ᅵ 업을 樂노라
156
隰有萇楚니 猗儺其華ᅵ로다
157
隰에 萇楚ᅵ 이시니 猗儺 그 華ᅵ로다
158
夭之沃沃니 樂子之無家노라
159
夭홈이 沃沃니 子의 家 업을 樂노라
160
隰有萇楚니 猗儺其實이로다
161
隰에 萇楚ᅵ 이시니 猗儺 그 實이로다
162
夭之沃沃니 樂子之無室노라
163
夭홈이 沃沃니 子의 室 업을 樂노라
164
隰有萇楚 三章
 

 
165
匪風發兮며 匪車偈兮라
166
風이 發 줄이 아니며 車ᅵ 偈 줄이 아니라
167
顧瞻周道ᅵ오 中心怛兮호라
168
周道를 도라 보고 中心에 怛호라
169
匪風飄兮며 匪車嘌兮라
170
風이 飄 줄이 아니며 車ᅵ 嘌 줄이 아니라
171
顧瞻周道ᅵ오 中心弔兮호라
172
周道를 도라 보고 中心에 弔호라
173
誰能亨魚오 漑之釜鬵호리라
174
뉘 能히 魚를 烹료 釜와 鬵을 漑호리라
175
誰將西歸오 懷之好音호리라
176
뉘  西로 歸뇨 好音으로 懷호리라
177
匪風 三章
 

 
 

1.3. 曹

179
蜉蝣之羽ᅵ여 衣裳楚楚ᅵ로다
180
蜉蝣의 羽ᅵ여 衣裳이 楚楚도다
181
心之憂矣로니 於我歸處ᅵ어다
182
心의 憂노니 내게 歸야 處홀띠어다
183
蜉蝣之翼이여 采采衣服이로다
184
蜉蝣의 翼이여 采采 衣服이로다
185
心之憂矣로니 於我歸息이어다
186
心의 憂노니 내게 歸야 息홀띠어다
187
蜉蝣掘閱니 麻衣如雪이로다
188
蜉蝣ᅵ 掘閱니 麻衣雪 도다
189
心之憂矣로니 於我歸說어다
190
心의 憂노니 내게 歸야 說홀띠어다
191
蜉蝣 三章
 

 
192
彼候人兮 何戈與祋이어니와
193
뎌 候人 戈와 다 祋을 何 꺼시어니와
194
彼其之子 三百赤芾이로다
195
뎌 之子 三百인 赤芾이로다
196
維鵜在梁니 不濡其翼이로다
197
鵜ᅵ 梁에 이시니 그 翼이 濡티 아니놋다
198
彼其之子ᅵ여 不稱其服이로다
199
뎌 之子ᅵ여 그 服이 稱티 아니도다
200
維鵜在梁니 不濡其咮ᅵ로다
201
鵜ᅵ 梁에 이시니 그 咮ᅵ 濡티 아니놋다 (주석 : 니^)
202
彼其之子ᅵ여 不遂其媾이로다
203
뎌 之子ᅵ여 그 媾에 遂티 아니도다
204
薈兮蔚兮南山朝隮로다
205
薈며 蔚 南山 朝애 隮놋다
206
婉兮孌兮季女斯飢로다
207
婉며 孌 季女ᅵ 이 飢놋다
208
候人 四章
 

 
209
鳲鳩在桑니 其子七兮로다
210
鳲鳩ᅵ 桑에 이시니 그 子ᅵ 七이로다
211
淑人君子ᅵ여 其儀一兮로다
212
淑人 君子ᅵ여 그 儀ᅵ 一도다
213
其儀一兮니 心如結兮로다
214
그 儀ᅵ 一니 이 結홈 도다
215
鳲鳩在桑니 其子在梅로다
216
鳲鳩ᅵ 桑에 이시니 그 子ᅵ 梅예 잇도다
217
淑人君子ᅵ여 其帶伊絲ᅵ로다
218
淑人 君子ᅵ여 그 帶ᅵ 絲ᅵ로다 (주석 : 絲^ᅵ)
219
其帶伊絲ᅵ니 其弁伊騏로다
220
그 帶ᅵ 絲ᅵ니 그 弁이 騏로다
221
鳲鳩在桑니 其子在棘이로다
222
鳲鳩ᅵ 桑에 이시니 그 子ᅵ 棘에 잇도다
223
淑人君子ᅵ여 其儀不忒이로다
224
淑人 君子ᅵ여 그 儀ᅵ 忒디 아니도다
225
其儀不忒니 正是四國이로다
226
그 儀ᅵ 忒디 아니니 이 四國을 正리로다
227
鳲鳩在桑니 其子在榛이로다
228
鳲鳩ᅵ 桑에 이시니 그 子ᅵ 榛에 잇도다
229
淑人君子ᅵ여 正是國人이로다
230
淑人 君子ᅵ여 이 國人을 正리로다
231
正是國人니 胡不萬年이리오
232
이 國人을 正니 엇디 萬年을 아니리오
233
鳲鳩 四章
 

 
234
冽彼下泉이여 浸彼苞稂이로다
235
冽 뎌 下泉이여 뎌 苞稂을 浸놋다
236
愾我寤嘆야 念彼周京호라
237
愾히 내 寤야 嘆야 뎌 周京을 念호라
238
冽彼下泉이여 浸彼苞蕭ᅵ로다
239
冽 뎌 下泉이여 뎌 苞蕭를 浸놋다
240
愾我寤嘆야 念彼京周호라
241
愾히 내 寤야 嘆야 뎌 京周를 念호라
242
冽彼下泉이여 浸彼苞蓍로다
243
冽 뎌 下泉이여 뎌 苞蓍를 浸놋다
244
愾我寤嘆야 念彼京師호라
245
愾히 내 寤야 嘆야 뎌 京師를 念호라
246
芃芃黍苗 陰雨膏之니라
247
芃芃 黍苗를 陰雨ᅵ 膏니라
248
四國有王이어시 郇伯勞之러니라
249
四國에 王이 잇거시 郇伯이 勞더니라
250
下泉 四章
 

 
 

2. 詩經諺解 卷之七 物名

 

2.1. 陣風

253
東門之枌
254
• 枌 느릅
255
• 荍 규화
256
東門之池
257
• 紵 모시
258
• 菅 글희 (주석 : 자형이 다소 불확실함)
259
東門之楊
260
• 楊 묏버들
261
墓門
262
• 鴞 옫바미 / 오도새
263
防有鵲巢
264
• 苕 (俗名 金藤花) (주석 : 자형이 다소 불확실함)
265
• 鷊 未詳
266
澤陂
267
• 蒲 부들
268
• 荷
269
• 菡萏 년곳
 
 

2.2. 檜風

271
隰有萇楚
272
• 萇楚 未詳
 
 

2.3. 曹風

274
蜉蝣
275
• 蜉蝣 사리 (주석 : ‘’ 불확실. ‘로’의 탈획자일 수 있음)
276
候人
277
• 鵜 사새
278
鳲鳩
279
• 鳲鳩 법국새
280
下泉
281
• 稂 랏
282
• 蓍 지초
【원문】詩經諺解 卷之七
▣ 커뮤니티 (참여∙의견)
내메모
여러분의 댓글이 지식지도를 만듭니다. 글쓰기
〔언해〕
▪ 최근 3개월 조회수 : 346
- 전체 순위 : 219 위 (1 등급)
- 분류 순위 : 15 위 / 211 작품
지식지도 보기
내서재 추천 : 0
▣ 함께 읽은 작품
(최근일주일간)
▣ 참조 지식지도
▣ 기본 정보
◈ 기본
  # 시경언해 [제목]
 
  1613년 [발표]
 
  언해(諺解) [분류]
 
◈ 참조
 
▣ 참조 정보 (쪽별)
백과 참조
목록 참조
외부 참조

  지식놀이터 :: 원문/전문 > 고전 > 한국고전 > 어문/학습/예술 해설   목차 (총 : 20권)     이전 7권 다음 한글(고어) 
◈ 詩經諺解(시경언해) ◈
©2021 General Libraries 최종 수정 : 2022년 02월 16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