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S 여러분! 반갑습니다.    [로그인]
키워드 :
한글(고어) 
◈ 詩經諺解(시경언해) ◈
◇ 詩經諺解 卷之八 ◇
해설   목차 (총 : 20권)     이전 8권 다음
1613년
목   차
[숨기기]
 

1. 詩經諺解 卷之八

 

1.1. 豳

3
七月流火ᅵ어든 九月授衣노니라
4
七月에 火ᅵ 流거든 九月에 衣를 授니라
5
一之日觱發고 二之日栗烈니
6
一之日에 觱發고 二日에 栗烈니 (주석 : 觱^發)
7
無衣無褐이면 何以卒歲리오
8
衣 업고 褐이 업면 엇디  歲 卒리오
9
三之日于耜ᅵ오 四之日擧趾어든
10
三之日에 가 耜고 四之日에 趾를 擧거든
11
同我婦子야 饁彼南畝커든
12
우리 婦子 同야 뎌 南畝애 饁거
13
田畯至喜니라
14
田畯이 至야 喜니라
15
七月流火ᅵ어든 九月授衣니라
16
七月에 火ᅵ 流거든 九月에 衣 授니라
17
春日載陽야 有鳴倉庚이어든
18
春日이 비로소 陽야 倉庚이 鳴거든
19
女執懿筐야 遵彼微行야
20
女ᅵ 懿 筐을 執야 뎌 微行을 遵야
21
爰求柔桑며
22
이에 柔桑을 求며
23
春日遲遲어든 采蘩祁祁니
24
春日이 遲遲거든 蘩을 采홈을 祁祁히 니
25
女心傷悲ᅵ여 殆及公子同歸로다
26
女의 이 傷悲홈이여  公子로 가지로 歸리로다
27
七月流火ᅵ어든 八月萑葦니라
28
七月에 火ᅵ 流거든 八月에 萑葦를 니라
29
蠶月條桑이라
30
蠶月에 條桑논디라
31
取彼斧斨야 以伐遠揚이오
32
뎌 斧斨을 取야  遠揚을 伐고
33
猗彼女桑이니라
34
뎌 女桑을 猗리라
35
七月鳴鵙이어든 八月載績니
36
七月에 鵙이 鳴거든 八月에 곧 績니
37
載玄載黃야 我朱孔陽이어든
38
곧 玄며 곧 黃야 우리 朱ᅵ 심히 陽거든
39
爲公子裳니라
40
公子의 裳을 니라
41
四月秀葽ᅵ어든 五月鳴蜩ᅵ며
42
四月에 葽ᅵ 秀거든 五月에 蜩ᅵ 鳴며
43
八月其穫이어든 十月隕蘀이니라
44
八月에 그 穫거든 十月에 隕며 蘀니라
45
一之日于貉야 取彼狐貍야 爲公子裘고
46
一之日에 가 貉야 뎌 狐와 狸 取야 公子의 裘 고
47
二之日其同야 載纘武功야
48
二之日에 그 同야 곧 武功을 纘야
49
言私其豵이오 獻豣于公니라
50
그 豵을 私고 豣을 公애 獻니라
51
五月斯螽動股ᅵ오 六月莎鷄振羽ᅵ오
52
五月에 斯螽이 股 動고 六月에 莎鷄羽 振고
53
七月在野ᅵ오 八月在宇ᅵ오
54
七月에 野애 잇고 八月에 宇에 잇고
55
九月在戶ᅵ오 十月蟋蟀이 入我牀下니라
56
九月에 戶애 잇고 十月에 蟋蟀이 우리 牀 아래 드니라
57
穹窒熏鼠며 塞向墐戶고
58
穹을 窒며 鼠 熏며 向을 塞며 戶 墐고 (주석 : 墐^)
59
嗟我婦子아
60
嗟홉다 우리 婦子아
61
曰爲改歲어니 入此室處ᅵ어다
62
오 歲ᅵ 改커니 이 室에 드러 處홀띠어다
63
六月食鬱及薁며 七月亨葵及菽며
64
六月에 鬱과 밋 薁을 머그며 七月에 葵와 밋 菽을 亨며
65
八月剝棗며 十月穫稻야
66
八月에 棗 剝며 十月에 稻 穫야 (주석 : 에 ^ 棗)
67
爲此春酒야 以介眉壽니라
68
이 春酒 야  眉壽 介니라
69
七月食瓜며 八月斷壺며
70
七月에 瓜 食며 八月에 壺 斷며
71
九月叔苴며 采荼薪樗야
72
九月에 苴 叔며 荼 采며 樗 薪야
73
食我農夫니라
74
우리 農夫 食니라
75
九月築場圃ᅵ오 十月納禾稼니
76
九月에 場을 圃애 築고 十月에 禾稼 納니
77
黍稷重穋과 禾麻菽麥이니라
78
黍와 稷이 重며 穋니과 禾와 麻와 菽과 麥이니라
79
嗟我農夫아
80
嗟홉다 우리 農夫아
81
我稼旣同이어니 上入執宮功이니
82
우리 稼ᅵ 이믜 同거니 上入야 宮功을 執띠니
83
晝爾于茅ᅵ오 宵爾索綯야
84
나 네가 茅고 밤의 네 綯 索야
85
亟其乘屋이오 其始播百穀이니라
86
리 그 屋애 乘고 그 비로소 百穀을 播홀띠니라
87
二之日鑿冰沖沖야
88
二之日에 冰을 鑿홈을 冲冲히 야
89
三之日納于凌陰니
90
三之日에 凌陰에 納니
91
四之日其蚤애 獻羔祭韭니라
92
四之日 그 蚤애 羔 獻고 韭로 祭니라 (주석 : ^고)
93
九月肅霜이어든 十月滌場고
94
九月에 肅야 霜거든 十月에 場을 滌고
95
朋酒斯饗야 曰殺羔羊야
96
朋酒로 이예 饗야 羔와 羊을 殺야
97
躋彼公堂야 稱彼兕觥니
98
뎌 公堂의 躋야 뎌 兕觥을 稱니
99
萬壽無疆이로다
100
萬壽야 疆이 업리로다
101
七月 八章
 

 
102
鴟鴞鴟鴞아
103
鴟鴞아 鴟鴞아
104
旣取我子ᅵ어니 無毁我室이어다
105
이믜 내 子 取여니 내 室을 毁티 마롤띠어다
106
恩斯勤斯야 鬻子之閔斯ᅵ라니라
107
恩며 勤야 子 鬻홈이 閔다니라
108
迨天之未陰雨야 徹彼桑土야
109
天의 陰雨티 아닌 저글 믿처 뎌 桑土 撤야
110
椆繆牖戶ᅵ면 今女下民이 或敢侮予아
111
牖와 戶 綢繆면 이제 너 下民이 或 敢히 나 侮랴
112
予手拮据야 予所捋荼ᅵ며
113
내 手ᅵ 拮据야 내 荼 捋논 배며
114
予所蓄租ᅵ라
115
내 蓄며 租논 배라
116
予口卒瘏 曰予未有室家ᅵ니라
117
내 口ᅵ 다 瘏홈은 내 室家 두디 몯여실니라
118
予羽譙譙며 予尾翛翛야
119
내 羽ᅵ 譙譙며 내 尾ᅵ 翛翛야
120
予室翹翹ᅵ어
121
내 室이 翹翹거
122
風雨所漂搖ᅵ라
123
風雨ᅵ 漂搖 배라
124
予維音嘵嘵호라
125
내 音을 哮哮히 호라
126
鴟鴞 四章
 

 
127
我徂東山야 慆慆不歸호라
128
내 東山의 가 慆慆히 歸티 몯호라
129
我來自東일 零雨其濛이리라
130
내 옴을 東으로브터  零 雨ᅵ 그 濛더라
131
我東曰歸예 我心西悲호라
132
東애셔 歸 제 내 이 西로 悲호라
133
制彼裳衣야 勿士行枚로다
134
뎌 裳衣 制야 行枚 士티 마롤띠로다
135
蜎蜎者蠋이여 烝在桑野ᅵ로다
136
蜎蜎 蠋이여 桑野의 잇도다
137
敦彼獨宿이여 亦在車下ᅵ로다
138
敦히 뎌 獨宿 이여  車下의 잇도다
139
我徂東山야 慆慆不歸호라
140
내 東山의 가 慆慆히 歸티 몯호라
141
我來自東일 零雨其濛이러라
142
내 옴을 東으로브터  零 雨ᅵ 그 濛더라
143
果臝之實이 亦施于宇ᅵ며
144
果臝의 實이  宇에 施며
145
伊威在室이며 蠨蛸在戶ᅵ며
146
伊威ᅵ 室에 이시며 蠨蛸ᅵ 戶애 이시며
147
町畽鹿場이며 熠燿宵行이로소니
148
町畽이 鹿의 場이며 熠燿 宵行이로소니
149
不可畏也ᅵ라 伊可懷也ᅵ로다
150
可히 저프디 아니혼디라 可히 懷홉도다 (주석 : 可^히)
151
我徂東山야 慆慆不歸호라
152
내 東山의 가 慆慆히 歸티 몯호라
153
我來自東일 零雨其濛이러라
154
내 옴을 東으로브터  零 雨ᅵ 그 濛더라
155
鸛鳴于垤이어
156
鸛이 垤에셔 鳴거
157
婦歎于室야 洒掃穹窒니
158
婦ᅵ 室에셔 嘆야 洒掃며 穹을 窒니
159
我征聿至로다
160
우리 征이 드듸여 至도다
161
有敦瓜苦ᅵ여 烝在栗薪이로다
162
敦 瓜苦ᅵ여 栗薪에 잇도다
163
自我不見이 于今三年이엇다
164
내 보디 몯홈으로브테 이제 三年이엇다
165
我徂東山야 慆慆不歸호라
166
내 東山의 가 慆慆히 歸티 몯호라
167
我來自東일 零雨其濛이러라
168
내 옴을 東으로브터  零 雨ᅵ 그 濛더라
169
倉庚于飛ᅵ여 熠燿其羽이로다
170
倉庚의 飛홈이여 熠燿 그 羽ᅵ로다
171
之子于歸ᅵ여 皇駁其馬ᅵ로다
172
之子의 歸홈이여 皇이며 駁인 그 馬ᅵ로다
173
親結其褵니 九十其儀로다
174
親이 그 褵 結니 九ᅵ며 十인 그 儀로다
175
其新孔嘉니 其舊如之何오
176
그 新이 심히 嘉니 그 舊ᅵ 엇더뇨
177
東山 四章
 

 
178
旣破我斧ᅵ오 又缺我斨이나 (주석 : ‘이나’는 영인본에서 ‘이니’처럼 나타나나 탈획자로 판단하여 보사함)
179
이믜 우리 斧 破고  우리 斨을 缺나
180
周公東征은 四國是皇이시니
181
周公의 東으로 征샤 四國을 이예 皇케 홈이시니
182
哀我人斯ᅵ 亦孔之將이샷다
183
우리 사을 哀샤미  심히 將샷다
184
旣破我斧ᅵ오 又缺我錡나
185
이믜 우리 斧 破고  우리 錡 缺나 (주석 : 缺^)
186
周公東征은 四國是吪ᅵ시니
187
周公의 東으로 征샤 四國을 이예 吪홈이시니
188
哀我人斯ᅵ 亦孔之嘉ᅵ샷다
189
우리 사을 哀샤미  심히 嘉샷다
190
旣破我斧ᅵ오 又缺我銶ᅵ나
191
이믜 우리 斧 破고  우리 銶 缺나
192
周公東征은 四國是遒ᅵ시니
193
周公의 東으로 征샤 四國을 이예 遒홈이시니
194
哀我人斯ᅵ 亦孔之休ᅵ샷다
195
우리 사을 哀샤미  심히 休샷다
196
破斧 三章
 

 
197
伐柯如何오 匪斧不克이니라
198
柯 伐홈을 엇디료 斧ᅵ 아니면 克디 몯니라
199
取妻如何오 匪媒不得이니라
200
妻 取홈을 엇디료 媒 아니면 得디 몯니라
201
伐柯伐柯ᅵ여 其則不遠이로다
202
柯 伐며 柯 伐홈이여 그 則이 머디 아니도다 (주석 : 則^이)
203
我覯之子호니 籩豆有踐이로다
204
우리 之子 遘호니 籩과 豆ᅵ 踐얏도다
205
伐柯 二章
 

 
206
九罭之魚ᅵ여 鱒魴이로다
207
九罭읫 魚ᅵ여 鱒과 魴이로다
208
我覯之子호니 袞衣繡裳이로다
209
우리 之子 보니 袞衣와 繡裳이로다
210
鴻飛遵渚니 公歸無所아
211
鴻이 飛홈애 渚 遵니 公이 歸심애 所ᅵ 업랴
212
於女信處ᅵ시니라
213
네게 信處만 시니라
214
鴻飛遵陸니 公歸不復이시리니
215
鴻이 飛홈애 陸을 遵니 公이 歸야 復디 아니시리니
216
於女信宿이시니라
217
네게 信宿만 시니라
218
是以有袞衣兮러니
219
이러모로  袞衣ᅵ 잇더니
220
無以我公歸兮야 無使我心悲兮어다
221
우리 公으로  歸티 마라 우리 으로 여곰 悲케 마롤띠어다
222
九罭 四章
 

 
223
狼跋其胡ᅵ오 載疐其尾로 (주석 : 구결 ‘로’는 언해문과 일치하지 않음. 탈자일 가능성이 있으나 원인본에 나타난 대로 입력함.)
224
狼이 그 胡 跋고 곧 그 尾 疐놋다
225
公孫碩膚시니 赤舃几几샷다
226
公이 碩膚 孫시니 赤舃이 几几샷다
227
狼疐其尾오 載跋其胡ᅵ로다
228
狼이 그 尾 疐고 곧 그 胡 跋놋다
229
公孫碩膚시니 德音不瑕ᅵ샷다
230
公이 碩膚 孫시니 德音이 瑕티 아니샷다
231
狼跋 二章
 

 
 

2. 詩經諺解 卷之八 物名

 

2.1. 豳風

234
七月
235
• 倉庚 아리새
236
• 萑
237
• 女桑 움
238
• 鵙 未詳
239
• 葽 遠志鄕名 阿只草 (주석 : ‘遠’ 불확실)
240
• 蜩 얌이
241
• 貉 너구리
242
• 貍
243
• 豣 사돋
244
• 斯螽 묏도기
245
• 莎雞 뵈이
246
• 鬱 아가외 / 뫼이랏
247
• 薁 산 / 멀위
248
• 葵 아혹
249
• 菽
250
• 棗 대쵸
251
• 瓜
252
• 壺
253
• 苴 얼
254
• 樗 개나모
255
• 禾
256
• 重
257
• 穋
258
• 韭 염규
259
鴟鴞
260
• 鴟鴞 부훵이
261
• 荼 달이삭
262
東山
263
• 蠋 나모 벌에
264
• 果臝 하타리
265
• 伊威 쥐며리
266
• 蠨蛸 거믜
267
• 宵行 반
268
• 鸛 한새
269
九罭
270
• 鱒 未詳
【원문】詩經諺解 卷之八
▣ 커뮤니티 (참여∙의견)
내메모
여러분의 댓글이 지식지도를 만듭니다. 글쓰기
〔언해〕
▪ 최근 3개월 조회수 : 404
- 전체 순위 : 145 위 (1 등급)
- 분류 순위 : 15 위 / 212 작품
지식지도 보기
추천 : 0
▣ 함께 읽은 작품
(최근일주일간)
▣ 참조 지식지도
▣ 기본 정보
◈ 기본
  # 시경언해 [제목]
 
  1613년 [발표]
 
  언해(諺解) [분류]
 
◈ 참조
 
▣ 참조 정보 (쪽별)
백과 참조
목록 참조
외부 참조

  지식놀이터 :: 원문/전문 > 고전 > 한국고전 > 어문/학습/예술 해설   목차 (총 : 20권)     이전 8권 다음 한글(고어) 
◈ 詩經諺解(시경언해) ◈
©2021 General Libraries 최종 수정 : 2022년 02월 16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