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S 여러분! 반갑습니다.    [로그인]
키워드 :
한글(고어) 
◈ 교주별곡 (交州別曲) ◈
해설   본문  
1820년(순조 20)
구강(具康)
회양부사직을 맡아 현지에서 보고 겪은 바를 가사로 지은 「교주별곡(交州別曲)」은 명승지 금강산으로 관광차 오는 상위 계층들의 횡포가 현지 백성들에게 얼마나 가혹했는지 그 실상이 생생하게 부각되어 있다.
1
교주별곡(交州別曲)
2
구강(具康, 1757~1832)
 
3
이 몸이   업셔
4
궁항(窮巷)의 누엇더니
5
셩은(聖恩)이 지즁(至重)샤
6
비옥(緋玉)을 쥬신 후의
7
일망(一望)이 겨우 넘어 회양(淮陽)을 맛기시니
8
 가 더워지고 말은 남긔 치로다
9
비(比)컨 늙은 계집
10
님의 랑 의외(意外)로다
11
봉오운(蓬萊五雲) 깁흔 곳의
12
하직(下直)고 물너오니
13
션죠(先朝)의 노신(老臣)으로
14
금일(今日)의 신션(神仙) 되야
15
오마(五馬)를 밧비 몰아 잣바고 넘어셔니
16
심벽(深僻) 산듕(山中)이오
17
쇼죠(蕭條) 읍(邑內)로다
 
18
젼패(殿牌)의 연명(連名)고 도임(到任)니
19
금댱유(汲長孺)의 고군(故郡)이라
20
유풍(遺風)을 볼거이고
21
득듕당(得中堂)이 동헌이오 와치헌(臥治軒)이 별당이라
22
집일홈 불감(不堪)다
23
그 사  뉘신고
24
근심을 난화오니 내 죠 붓그럽다
25
두쇼(斗筲) 엇더며 공황(恐惶)은 엇더턴지
26
셩은 식이라 식을 침학(侵虐)랴
27
열스물 게 되면 먹여 살녀 련마
28
챵늠(倉廩)이 부죡니 여러 식 엇디리
29
농 셔속(黍粟)이오 업(生業)은 마젹(麻績)이라
30
이 두 가지 그릇되면 방의 뉴리(流離)리
31
보고 가 음
32
참측(慘惻)을 이긜소냐 –
33
근심 우(憂) 난흘 분(分)이 이거슬 일음이라
34
만(萬幸)으로 낙셰(樂歲) 만나 갓던 셩 도로와셔
35
쳐형뎨 잘 잇가면 츔이라도 츄올너라
36
이 를 당케 되면
37
온갖 맛시 더육 죠희
38
동면(泗東面) 고치(膏雉) 굽고
39
당양면(長楊面) 잣쥭 어
40
옥흔 소금 고 눈흔 을 타셔
41
단단이 어 먹고 훌훌이 마신 후의
42
산(山査) 머루 다 졍과(正果)
43
(色色)으로 입의 너허
44
비린 비위 졍(淨) 의 경옥고(瓊玉膏)와 밧굴소냐
45
민간은 무고 관가 한가 제
46
쥬묵(朱墨)을 거두치고 긔반(朞伴)을 불너다가
47
기쟝 슐 두어잔을
48
건드러니 반(半醉)고
49
쳥풍(淸風)이 오 곳의
50
낙셩(落子聲)이 한가다
51
시붕(侍奉)은 겻 안져
52
일흥(逸興)을 도을 즈음
53
댱표량(長表兩寺) 삼보(三甫)즁이
54
 마쵸와 보쟝(報狀)되
55
화악(華嶽)의 치 퓌고 풍악(楓嶽)의 닙히 고희
56
남여(藍輿) 며두고 지로승(指路僧)도 령니
57
어늬  지
58
아모 가 한챵이오
59
쳥금(靑禽)이 움즉이니 글마다 비졈(批點)이라
60
츈츄(春秋)의 이 보쟝이 어느 곳셰 이슬소냐
61
봉각(蓬萊閣) 쥬인들은
62
션리(仙吏)라도 리로다
63
젹이라 형니(刑吏)아 그졔 무어신고
64
화하동(化鶴洞)이 최다며
65
풍하암(楓花岩)이 절호(絕好)런고
66
동여(東濾) 홍혜(虹蜺) 도도니
67
부듸 일지(一智) 쟝모(長謀)로다
68
두어 말노 보 후의 쟝을 슈습니
69
시츅(詩軸)은 뉘가 고
70
긔국(碁局)은 네가 져라
71
지고 고 막 집허 금강산 드러가니
72
츈하츄동 시졀이 죠만(早晩)은 잇건마
73
두견은 월이오 단풍은 구월일네
74
삼일 두루 보고 아듕(衙中)으로 도라오니
75
디방(地方)은 넓다마 십니(十里)의 두세 집식
76
벽공(碧空)의 별인가 희쇼(稀疎)도 올시고
77
챵(蒼海)의 셤이런가 외롭기도 돗더라
78
셕긔고 삭은 울의
79
잔연(殘煙)은 를 고
80
엉셩 너홰집은 엄샹(嚴霜)을 옷 입은 듯
81
낙(冷落)이 이러니
82
(生涯)를 알니로다
 
83
풍헌(風憲) 동댱(洞長) 니졍(里正)들은
84
무어슬 촉노라
85
문의 셔셔 나오라니 놀난 만 즛고나
86
아병긔병(牙兵騎兵) 금위보(禁衛資保)
87
션무번포(宣武番布) 군관젼(軍官錢)과
88
관쳥쇼랍(官廳所納) 허다명(許多名色)
89
치계싀탄(雉鷄柴炭) 유쳥(有廳)이오
90
영문(營門)의 별복졍(別卜定)은
91
녹각(鹿角) 오소리 산양피(山羊皮)와
92
이외에 허다 것 쥬
93
갑시 변변랴
94
험녕쥰판(險嶺峻阪) 교군(轎軍)들은
95
억긔 쉴  드무더라
96
더듸 온다 질이오 적게 멘다 호령이라
97
북관(北關) (詞客) 낙역(絡繹)고
98
금강산이 거폐(巨弊)로다
99
이런 일 혜여보소
100
잔민(殘民)이 견딀소냐
101
졔게 무엇 잇다고 이다지 보고
102
졔 살도 사이라 피가 나게 엇디치리
 
103
이 몸은 공노(功勞) 업시 쳔은(天恩)으로 원이 되야
104
쳐(妻子)를 불니고 노복(奴僕)은 쥬림 업시
105
 넘어 여러 을 일업시 즑엿시나
106
셩(百姓)은 궁곤(窮困)니 븟그럽다 네 원(怨)이야
107
군은(君恩)은 젼혀 잇고 낙(行樂)은 무 일고
108
읍한졍(挹漢亭)의 관어(觀魚)고
109
슈댱헌(水長軒)의 낙화(落花)며
110
옥녀봉(玉女峰) 연하긔(煙霞氣)를
111
마다 마셧시며
112
은파동(恩波洞)  구슐
113
손으로 희롱고
114
병(翠屛坮) 병풍바회 녹파(綠波)의 둘너치고 –
115
홍년(紅蓮) 련(翠蓮) 은 노래
116
반공(半空)의 엿시니
117
내 노름 하다니 더 놀 것 업건마
118
오두속(五斗粟)의 근 허리
119
귀거(歸去來辭) 더듸고나
120
비소암(飛巢巖) 놉흔 구름 멍에를 촉 듯
121
양(白羊)탄 구(白鷗)들은 더듸 간다 긔롱(欺弄)이라
122
장증(江東)의 노어(鱸魚) 각 댱한(張翰)이만 랴마
123
칠니탄(七里灘) 릉(子陵臺)의 황혼(黃昏)이 못 미쳣
124
쳥츈(靑春)이면 혈마 랴
125
발(白髮)이 붓그럽다
126
현거(懸車)  머지 아니
127
괘과(改過)  업슬소냐
128
내 을 를 치면 언마야 내 집이리
129
하손(何遜)의 동각화(東閣梅花)
130
고향(故鄕)의도 착화(着花)며
131
도잠(陶潛)의 츌쥬(彭澤秫酒)
132
야옥(野屋)의도 영쥰(盈罇)리
133
쥬남(周南)의 뉴쳬(留滯)키
134
무어시 권련(眷戀)인고
135
츄풍(秋風)이 쳥냥(淸凉) 녯 병이 소복(蘇復)니
136
산음(山陰)의 하셜(下雪) 젹
137
교(覇橋)의 건녀(蹇驢)로다
138
니(四百里) 머단 길의 날 르리 누구누구
139
셔진강의 쳥풍(淸風)이오
140
동님산의 명월(明月)이라
【원문】교주별곡
▣ 커뮤니티 (참여∙의견)
내메모
여러분의 댓글이 지식지도를 만듭니다. 글쓰기
〔가사〕
▪ 분류 : 가사
▪ 최근 3개월 조회수 : 9
- 전체 순위 : 5087 위 (4 등급)
- 분류 순위 : 216 위 / 266 작품
지식지도 보기
내서재 추천 : 0
▣ 함께 읽은 작품
(최근일주일간)
▣ 참조 지식지도
▣ 기본 정보
◈ 기본
  교주별곡(交州別曲) [제목]
 
  구강(具康) [저자]
 
  1820년 [발표]
 
  가사(歌辭) [분류]
 
  # 기행가사 [분류]
 
◈ 참조
 
 
▣ 참조 정보 (쪽별)
백과 참조
목록 참조
외부 참조
백과사전 으로 가기

  지식놀이터 :: 원문/전문 > 문학 > 한국문학 > 고전 시가 > 가사 해설   본문   한글(고어) 
◈ 교주별곡 (交州別曲) ◈
©2021 General Libraries 최종 수정 : 2021년 02월 24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