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S 여러분! 반갑습니다.    [로그인]
키워드 :
한글 
◈ 성동도(城東途) ◈
카탈로그   본문  
1928.4.22
최서해
1
城 東 途[성 동 도]
 
 
2
城東[성동] 가는 길이었다.
 
3
우리는 농업학교 앞을 지나 산허리길을 더듬더듬 올라갔다. 신작로를 보던 눈에는 초라한 촌길이나 그래도 옛날에는 호남 대로이었었다. 교통 기관이 없었던 그때이오 봉건 제도의 주종 관계가 심하였던 그때이라 이리로 내려오는 벼슬아치들은 四人轎[사인교]로 저 들길을 지나고 이 산길을 넘었었다.
 
4
나는 이러한 이야기를 듣고 알지 못할 옛날의 꿈을 마음 속에 꾸면서 바른편 골을 내려다보고 더듬더듬 걸어 올라 산허리 길가에 앉았다.
 
5
시골의 봄빛은 꿈 같다.
 
6
北國[북국]에는 그저 눈이 펄펄 날릴 터인데 여기는 어느새 보리가 두세 치나 자라서 녹색이 돋은 논판으로 스쳐오는 실바람에 두어 살 된 어린애 머리카락같이 날리고 있다.
 
7
동편으로 玉女峰[옥녀봉] 아랫골에 벌어진 논뺨들은 지형을 따라 수평을위하여 뺨뺨이 엇이은 것은 신화나 전설에 나오는 신비로운 궁전의 층계돌 같다. 뺨마다 녹색이 푸르고 간밤 스친 비에 유들유들하니 그것은 유창한 비취축대라 할까 ?
 
8
보리가 푸른 앞언덕을 스치어서 멀리 내다보이는 높고 낮은 산물결들은 아른한 엷푸른 안개에 윤곽만이 희미히 떠올랐다. 바로 서남편으로 일 마장 가까이 내려다보이는 城內[성내]의 공기도 아른한 하늘 아래 따분한 저녁빛 속에서 조는 것 같다.
 
9
청춘을 위하여 쉬어 주지 않는 볕은 점점 서산에 가까왔다. 그가 하루의 소임을 다하고 마지막 운명의 길을 들게 되니 그는 온몸의 힘과 열과 光[광]을 다하여 온누리를 더욱 눈부시게 더욱 붉게 물들였다. 이 웅장한 태양의 최후 일막의 餘影[여영]에 들은 산이며 들이며 그새에서 움직거리는 생물들까지도 최후 일막을 연출하는 꿈속의 꿈같이 내 눈에 비치었다.
 
10
어느 때에 저렇게 붉어져서 몇 억 몇 천의 세기를 스쳐왔는지 가물다물 하는 밤하늘 뉘 별들이나 알까 ? 나로서는 추측도 못 할 玉女峰[옥녀봉] 푸른 높고 높은 봉우리도 아침 햇발에 보여 주던 偉觀[위관]은 스러지고 그윽히 머리를 숙여서 마지막 넘어가는 저 햇발의 만가를 꿈꾸는 듯하였다.
 
11
어느새 夕煙[석연]이 이 마을 저 마을에서 붉은 석양 속에 푸른 장막을 펼치었다. 먼산은 더욱 흐리고 가까운 언덕과 들에 보이는 농군들의 동작은 그 빛 그 기운에 더욱 아른히 싸여서 천지는 더욱 꿈속이다. 길가 속잎 나는 잔디판에 앉아서 그 모든 것을 보던 나도 꿈을 꾸는 것 같았다. 곁에 앉은 동무들도 꿈을 꾸는가 ?
 
12
그러나 봄은 꿈이다. 그는 꿈같이 와서 꿈같이 허리를 싸고 돈다. 그러나그 꿈은 옛날의 죽은 벗들을 생각하는 늙은이의 꿈은 아니다. 미래를 향하여 뛰고 발육을 위하여 動[동]하는 젊은이의 꿈이다. 교태를 머금은 처녀의 눈동자같이 속에는 끝없는 생명과 불타는 열정을 품은 것이다.
 
13
이 모든 것을 보고 앉았으니 시들어 가는 이 청춘의 가슴에도 한줄기의 실 비가 스치는 듯하다.
 
14
“얘 저기 봐라 저 탁발승을 봐라.”
 
15
석양을 옆으로 받고 황홀히 앉았던 우리들은 김군의 손가락 끝을 스쳐 玉女峰[옥녀봉] 나지막한 산에 시선을 보내었다.
 
16
허리를 한 경계로 위는 송림이오 아래는 보리가 실바람에 하늘거리는 그 산 비탈길에 언제 올라왔는지 바랑을 지고 송락을 쓴 탁발승의 그림자가 나타났다. 그는 붉은 볕을 모로 받고 올라가다가 錫杖[석장]을 돌려 석양을 등지고 보리밭가 속잎 나는 잔디판으로 송림을 향하여 올라간다.
 
17
그도 봄꿈에 취하였던가 ? 아니면 속잎 나는 잔디를 밟기가 발바닥이 간지러웠는가 ! 70된 老[노]박이 아니면 2, 3세된 어린애와 같이 錫杖[석장]에 의지하여 발랑발랑 올라갔다.
 
 
18
그대여 !
19
산이 그리도 그립던가 ?
20
아니 가든 못할손가 ?
21
그대의 혀[舌]가
22
五味[오미]를 잃기 전에는
23
그대는 娑婆[사파]와
24
인연을 끊지 못하리라
 
 
25
탁발승의 그림자가 먼 하늘의 저녁빛같이 송림에 스러지자 마자 처음 그 僧[승]이 올라가던 그 비탈길로 말쑥한 춘복[春服]에 말을 몰아 마을로 내려오는 行客[행객]이 있다. 석양이 비낀 길에 말을 채치는 그 그림자를 보니 옛날의 唐詩[당시]를 읽는 듯도 하고 水墨[수묵]으로 그어놓은 그윽한 고전서를 보는 듯도 하였다.
 
26
하나는 娑婆[사파]가 귀치않아 산으로 가는데 하나는 산을 버리고 사바로 향한다. 이것이 사람의 생활인가 ? 나는 그윽히 가슴을 만지면서 여럿을 따라서 다시 올라갔다.
【원문】성동도(城東途)
▣ 커뮤니티 (참여∙의견)
내메모
여러분의 댓글이 지식지도를 만듭니다. 글쓰기
〔수필〕
▪ 분류 : 근/현대 수필
▪ 최근 3개월 조회수 : 10
- 전체 순위 : 4321 위 (3 등급)
- 분류 순위 : 789 위 / 1831 작품
지식지도 보기
내서재 추천 : 0
▣ 함께 읽은 작품
(최근일주일간)
▣ 참조 지식지도
▣ 기본 정보
◈ 기본
  # 성동도 [제목]
 
  최서해(崔曙海) [저자]
 
  조선 일보(朝鮮日報) [출처]
 
  1928년 [발표]
 
  수필(隨筆) [분류]
 
◈ 참조
▣ 참조 정보 (쪽별)
백과 참조
목록 참조
외부 참조

  지식놀이터 :: 원문/전문 > 문학 > 한국문학 > 근/현대 수필 카탈로그   본문   한글 
◈ 성동도(城東途) ◈
©2021 General Libraries 최종 수정 : 2022년 02월 22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