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S 여러분! 반갑습니다.    [로그인]
키워드 :
한글 
◈ 내용(內容)과 기교(技巧) ◈
카탈로그   본문  
1929.7
최서해
1
內容[내용]과 技巧[기교]
 
 
2
기교는 예술에 있어서 무시할 수 없는 것이다. 어떠한 사상 감정을 예술로 표현하자면 반드시 거기에 적응한 기교를 요하게 되는 것이다. 그러므로 아무리 훌륭한 想[상]이라도 그것을 표현할 만한 기교가 없으면 그 想[상]은 한 개의 想[상]으로서 어떤 사람의 머릿속에서 돌고 있을 뿐이지 예술품은 아니다.
 
3
여기서 예술가는 기교를 무시할 수 없는 것이다. 또 같은 예술품에 있어서도 그 표현 기교의 우열에 따라서 그 가치가 좌우되는 것이다. 그러나 기교는 기교이므로 어떠한 내용을 표현하는 한 수단과 방법으로 써야할 것이다. 그렇지 않고 기교를 위하여 내용 ─ 사상 감정을 수단과 방법으로 끄집어 온다면 그 예술품은 하등의 가치도, 없게 되는 것이다. 그것은 마치 화장과의복 치장으로만 미인이 되려는 것과 별로 틀릴 것이 없다. 몸의 영양은 생각지 않고 분과 연지와 울긋불긋한 빛으로써 말라빠진 얼굴과 비린내 나는 몸을 가리워 가지고 사람들의 눈을 끄는 화장 미인을 보고 육체의 발육이 건전하고 얼굴의 혈색이 좋아서 화장과 몸사림을 그리 애쓰지 않았어도 사람의 눈을 끄는 건강미를 가진 미인을 보면, 화장미에서는 찾을 수 없는 생명의 저류를 느끼게 된다. 전자는 조화요 후자는 생화이다. 하나는 한 개의 사람으로서 사람다운 미를 나타내기 위한 것이 아니라 자위의 만족과 어떤 계급의 오락의 대상으로 지어진 인형이요, 하나는 건전한 인간으로서 당연히 소유하고 있는 생활과 육체의 완전한 결합물이다. 예술도 이와 같은 것이다. 내용은 인격 문제다. 기교는 그 인격의 종속물로 그 인격을 드러내는 한 수단과 방법에서 지나지 못하는 것이다. 인격의 충실 ─ 예술의 영양소가 되는 내용은 돌보지 않고 수단과 방법에만 끌려서 기교를 위한 기교에만 충실한다면 그 인격은 결국 총 파멸을 당하게 되는 것이다. 여기서 재미있는 이야기가 하나 생각난다.
 
4
작년 여름에 어떤 친구를 찾아갔더니 그는 그의 친구인 漢詩人[한시인]의 감상을 말하였다. 그 한시인은 한시로써 이름이 높은 사람인데 만년에 이르러서 자기의 시집을 편집하노라고 산재한 시고를 모아 놓고 일일이 推敲[추고]의 붓을 넣었다. 少時[소시]의 작품과 만년의 작품이 다를 것은 그로서도 면치 못할 일이었다. 경향도 다르려니와 기교의 서투른 점도 많이 발견하게 되었다. 그는 删[산]할 것은 删[산]하고 添[첨]할 것은 添[첨]하였으나 첨산을 더할수록 그 시의 면목은 없어져서 油頭粉面[유두분면]의 화장을 보는 듯이 불쾌하였다. 그것은 그시가 가진 상은 생각지 않고 문자의 巧[교]에 너무 힘쓴 것과 모든 것을 만년의 표준으로써 규범하려는 데서 생긴 병이라 하여 그는 침산의 붓을 단연히 버리고 본래의 시 그대로를 창작의 연대순만 적어서 梓[재]에 올렸다고 한다. 이것은 내용과 기교의 관계를 무엇보다도 절실히 가르쳐 주는 동시에 문예와 시대의 관계까지도 보여 주는 이야기다.
 
5
그러므로 문예에 기교를 필요로 하는 것은 그 문예가 가진 바 想[상] 내용을 표현하기 위함으로서요 결코 기교 그 물건을 위함은 아니다.
 
6
그런 까닭에 내용에 따라서 기교가 규범되는 것이요 또 규범되어야 하지만 기교를 위하여 내용을 규범하려는 것은 의복을 따라 몸을 늘이고 줄이려는 것과 같이 별로 틀릴 것이 없을 것이다. 그런데 세상에는 내용이 없이 기교로서만 읽히는 작품이 없지 않다고 하나 그런 화장 미인 같은 작품은 우리의 생활과는 아무러한 관계도 없거니와 다소라도 관계가 있다하면 그것은 해독될 것뿐일 것이다. 그러므로 어떤 예술가든지 기교를 내용의 종속물로 할 것이나 특히 목적 의식을 강조하는 우리 무산 문예가들은 더욱 그러하여야 될 것은 더 말할 필요도 없는 일이다.
【원문】내용(內容)과 기교(技巧)
▣ 커뮤니티 (참여∙의견)
내메모
여러분의 댓글이 지식지도를 만듭니다. 글쓰기
〔수필〕
▪ 분류 : 근/현대 수필
▪ 최근 3개월 조회수 : 3
- 전체 순위 : 7076 위 (4 등급)
- 분류 순위 : 1648 위 / 1821 작품
지식지도 보기
내서재 추천 : 0
▣ 함께 읽은 작품
(최근일주일간)
▣ 참조 지식지도
▣ 기본 정보
◈ 기본
  # 내용과 기교 [제목]
 
  최서해(崔曙海) [저자]
 
  동아 일보(東亞日報) [출처]
 
  1929년 [발표]
 
  수필(隨筆) [분류]
 
◈ 참조
▣ 참조 정보 (쪽별)
백과 참조
목록 참조
외부 참조

  지식놀이터 :: 원문/전문 > 문학 > 한국문학 > 근/현대 수필 카탈로그   본문   한글 
◈ 내용(內容)과 기교(技巧) ◈
©2021 General Libraries 최종 수정 : 2022년 02월 27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