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S 여러분! 반갑습니다.    [로그인]
키워드 :
한글 
끝 ▌
◈ 이인문 필 송석원시회도(李寅文 筆 松石園詩會圖) ◈
카탈로그   본문  
1791년 6월
이인문
1
이인문 필 송석원시회도(李寅文 筆 松石園詩會圖)
 
2
 
3
▶ 해설
 
4
고송유수관도인(古松流水館道人) 이인문(李寅文)이 단원(檀園) 김홍도(金弘道) 집에서, 그린『송석원시회도(松石園詩會圖』란 그림이다. 조선후기에 화가로서 쌍벽을 이루는 이인문, 김홍도 두 사람이 같은 화첩에 같이 남긴 그림 중 멋진 작품이다. 송석원(松石園)은 인왕산 동쪽 기슭, 지금의 종로구 옥인동이다.
 
5
조선후기 중인 출신의 시인이었던 천수경(千壽慶) 등 당시 시인묵객들이 모여 송석원시사(松石園詩社)를 만들어 놀던 곳이다. 이 그림이 실린 이인문의 시첩은 옥계청류첩(玉溪淸遊帖)으로 송석원의 시회에서 그린 작품을 모은 책이다. 그림 오른쪽 위에 이인문과 왼편에 마성린의 찬문이 있다. 내용은 아래와 같다.
 
6
▶ 이인문(李寅文)의『송석원시회도(松石園詩會圖』에 찬문을 씀
 
7
古松流水館道人 李寅文 文郁 寫於檀園所.
 
8
고송유수관도인(古松流水館道人) 이인문(李寅文)이 단원(檀園) 김홍도(金弘道) 집에서 그렸다.
 
9
謙玄以後 不見山水善畵者矣 今覽此帖 卽松水館 亦是名不虛傳 望八眉翁.
 
10
겸재(謙齋) 정선(鄭敾)과 현재(玄齋) 심사정(沈師正) 이후 산수 잘 그리는 이를 보지 못했더니, 이제 이첩을 보니 고송유수관도인(古松流水館道人) 이인문(李寅文) 역시 그 이름이 헛되이 전하지 않는 것을 알았다. 80세를 바라보는 미산(眉山) 마성린(馬聖麟) 이란 늙은이가 쓰다.
 
11
【인용】경북문화신문 조선시대의 서화평론<99> (독립큐레이터 이택용)
【원문】이인문 필 송석원시회도(李寅文 筆 松石園詩會圖)
▣ 커뮤니티 (참여∙의견)
내메모
여러분의 댓글이 지식지도를 만듭니다. 글쓰기
〔풍경화〕
▪ 최근 3개월 조회수 : 61
- 전체 순위 : 578 위 (2 등급)
- 분류 순위 : 53 위 / 228 작품
지식지도 보기
내서재 추천 : 0
▣ 함께 읽은 작품
(최근일주일간)
▣ 참조 지식지도
▣ 기본 정보
◈ 기본
  # 송석원시회도 [제목]
 
 
  이인문(李寅文) [저자]
 
  1791년 [발표]
 
  풍속화(風俗畵) [분류]
 
◈ 참조
 
 
 
 
▣ 참조 정보 (쪽별)
백과 참조
목록 참조
외부 참조

  지식놀이터 :: 원문/전문 > 고전 > 한국고전 > 어문/학습/예술 카탈로그   본문   한글 
◈ 이인문 필 송석원시회도(李寅文 筆 松石園詩會圖) ◈
©2021 General Libraries 최종 수정 : 2025년 03월 24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