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S 여러분! 반갑습니다.    [로그인]
키워드 :
한글 
◈ 수계도권(修禊圖卷) ◈
카탈로그   본문  
1853년
유숙(劉淑)
제작 시기가 1853년 봄으로 확인되는 작품으로, 종이에 수묵담채(水墨淡彩)로 그렸으며, 크기는 모두 30ⅹ8백cm에 달하는 시화권(詩畵卷)이다.
1
제작 시기가 1853년 봄으로 확인되는 작품으로, 종이에 수묵담채(水墨淡彩)로 그렸으며, 크기는 모두 30ⅹ8백cm에 달하는 시화권(詩畵卷)이다.
 
2
이 작품은 중국의 난정모임이 있은지 1천5백 년이 되던 1853년 3월 3일을 기념하려고 당시 서울장안의 30명의 중인들이 남산 기슭에서 수계를 개최하고 각기 지은 시 30수(首)를 담고 있는 것으로 소당(小棠) 김상준(金爽準, 1831─1915)의 글에 의해 제작 당시의 작품상태와 배경에 대하여 자세히 알 수 있다.
 
 
3
4
▲ 유숙(劉淑) <수계도(修禊圖)> 1 (사진:한국저작권위원회 공유마당)
 
5
6
▲ 유숙(劉淑) <수계도(修禊圖)> 2 (사진:한국저작권위원회 공유마당)
 
7
8
▲ 유숙(劉淑) <수계도(修禊圖)> 3 (사진:한국저작권위원회 공유마당)
 
 
9
시작 부분에는 비스듬히 기운 담장을 두어 모임 장소로의 진입을 의미하였고, 6명의 인물을 안과 밖으로 나누어 배치해다. 화면 중앙은 시회장면으로 정자 앞에 모인 22명의 인물들이 탁자를 중심으로 동그렇게 둘러앉았다. 모임 왼편에는 동자가 차를 달이고 있어 모임의 흥을 돋우고, 시선은 바위에 걸텨앉아 담소를 나누는 두 선비를 지나 자연스레 건물의 지붕이 보이는 마무리 부분으로 이어진다. <수계도권>의 첫머리에는 계원이 소당 김석준의 예서체로 쓴 수계도 석자의 제목이 있으며 화면 끝에 '한양유선영작'의 묵서가 있고 백문방인은 '유숙사인'이다. 이때 유숙의 나이 27세로 그림 중에 자신도 그림을 그리는 이로 등장하는데, 그의 풍속화에 있어 기념비적인 작품이 되고있다. 등장인물의 얼굴 표정을 각각 다르게 묘사하였다. 아울러 그림에 이어 뒷부분은 참가한 모든 이들의 시가 첨부되어 있다.
 
10
【인용】한국저작권위원회 공유마당
 

 
11
진인난정수계유부작시자금어삼십인각계지이시역성의(晉人蘭亭修계有不作詩者今於三十人各係之以詩亦盛矣)
12
연각적기적미필유자구지간야(然各適其適未必囿字句之間也)
13
원당공상허추제이암손관사석미급경청이증소서증서화동심처오자기고람전기서청인굴위축두(阮堂公嘗許追題而庵損官舍惜未及更請以曾所書贈書畵同心處五字曁古藍田琦書淸人詘爲軸頭)
14
개상여고람경시차회조격천대경미득종사어사야(蓋嘗與古藍經始此會阻隔泉臺竟未得從事於斯也)
15
축성상여전완(軸成相與傳玩)…...
 
16
진나라 사람의 난정수계 때는 시를 모두 짓지 못했는데 지금의 30인은 각각 시를 지었다. 그러나 각각 적합한데에 저하고 싶은대로 했고 반드시 자구사이에 얽매이지 않았다.
17
원당공이 일찍이 여기에다 추가해서 써준다고 했는데 애석하게 갑자기 돌아가셔서 다시 요청하기가 어렵다. 그 때문에 이미 지난달에 써준 「서화동심처(글과 그림은 함께 한다)]와 그밖에 또 고람 전기가 써준 「청인굴(청인이 굴했다)」의 글씨로써 축두를 삼았다. 대개 일찍이 고람과 더불어 이런 모임을 갖자고 의논했으나 이 모임의 장소인 천대와 서로 떨어져 있어서 마침내 여기에 참석하지 못했다. 축을 이루어 서로 돌려가면서 감상했다.....
【원문】수계도권(修禊圖卷)
▣ 커뮤니티 (참여∙의견)
내메모
여러분의 댓글이 지식지도를 만듭니다. 글쓰기
〔풍속화〕
▪ 최근 3개월 조회수 : 53
- 전체 순위 : 631 위 (2 등급)
- 분류 순위 : 57 위 / 228 작품
지식지도 보기
내서재 추천 : 1
▣ 함께 읽은 작품
(최근일주일간)
▣ 참조 지식지도
▣ 기본 정보
◈ 기본
  # 수계도권 [제목]
 
  유숙(劉淑) [저자]
 
  1853년 [발표]
 
  풍속화(風俗畵) [분류]
 
◈ 참조
 
 
▣ 참조 정보 (쪽별)
백과 참조
목록 참조
외부 참조

  지식놀이터 :: 원문/전문 > 고전 > 한국고전 > 어문/학습/예술 카탈로그   본문   한글 
◈ 수계도권(修禊圖卷) ◈
©2021 General Libraries 최종 수정 : 2025년 03월 27일